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분청사기인화문대접(3000356)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사기인화문대접(3000356)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토제/경질
용도
식기
소장처
옛길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분청사기는 청자와 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대접의 안쪽으로 가운데 부분에는 국화문을 배치하였으며 그 둘레에 동그라미를 반복해서 나타냈다. 동그라미의 바깥쪽으로 연판문이 보이며 다시 3줄의 동그라미를 반복하고 마치 점처럼 보이는 인화문을 찍어서 장식하였다. 대접의 바깥쪽으로는 백토를 바르고 몇 개의 선을 돌려서 나타냈다. 유약은 회색을 띤다.
활용설명
분청사기대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이런 종류의 대접은 요즘에도 사용하는 식기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식기의 전통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