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화덕(3000336) 크게보기 3D 뷰어
화덕(3000336)
국적/시대
한국/광복이후
재질
금속/철제
용도
난방, 취사
소장처
문경석탄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화덕은 쇠붙이나 흙으로 아궁이처럼 만들어 솥을 얹을 수 있도록 만든 물건을 일컫는다. 화로는 인류가 불을 이용하면서 만들기 시작하여 신석기시대의 움집터에서도 화덕자리가 발견되고 있다. 이 시대의 화로는 음식물을 익히고, 흙을 빚어 그릇을 만들거나 가락바퀴 등을 제작하여 말리거나 굽는 일에 이용되었다. 이러한 일은 결과적으로 생활양식을 변화시켰다. 고구려에서는 이동할 수 있는 화덕을 만들어 썼는데 무쇠를 부어 만든 화덕이 유행하였고, 고분의 부장품으로 채택되기도 하였다. 솥을 걸 수 있는 자리와 바람이 통하고 숯을 지필 수 있는 부분과 연기가 빠져나갈 굴뚝이 한꺼번에 만들어진 형태이다. 이러한 화덕은 때로 규모를 크게 하여 설비하기도 한다. 여러 사람의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 부잣집이나 벼슬이 높은 집에서는 취사장을 따로 만들고 반빗간이라 부르는데 거기에 거대한 화덕이 만들어진다. 조선시대에 차를 다려 먹던 풍로와 비슷한 형상이다. 조선시대의 일부지방 사람들은 화강암을 다듬어 화덕을 만들어 쓰기도 하였다. 이는 흙을 빚어 만드는 임시적인 것에 비하여 영구적인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산간마을에서는 지금도 대청에 화강석으로 화로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엌에서는 작고 큰 냄비나 솥 여러 개를 나란히 걸 수도 있는 화덕을 설치하기도 한다. 온돌이 발달하기 이전까지는 화덕이 중심이었으나, 아궁이와 부뚜막이 본격적으로 설치된 이후로는 간이형이거나 여름철의 일시적인 필요에 따라서만 만들어지게 되었다. 화로나 풍로는 이동식인 것과 설치용의 두 가지가 있어, 이동형인 것에는 나무, 오지, 구리, 놋쇠, 무쇠로 만든 것이 있고, 설치용에는 돌 셋을 놓은 것, 흙을 빚어 쌓아 만든 것, 향로처럼 만든 것 등이 있다. 아주 고급용으로 음식 익히는 데 쓰던 것은 신선로로 그릇과 화덕이 함께 달린 형태이다.
활용설명
화덕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난방이나 요리에 사용된다. 화덕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서 생활 소품으로 제작하였다. 넓은 아가리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측면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한 모습이다. 화덕은 우리의 난방이나 식문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재현된 소품을 통해서 당대 사람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