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유공광구소호(3000275) 크게보기 3D 뷰어
유공광구소호(3000275)
국적/시대
한국/삼국
재질
토제/경질
용도
의례, 부장품
소장처
경북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유공광구소호는 둥그런 몸통에 아랫부분이 좁으면서 외반하는 목이 붙어 있고 아가리가 넓은 기형의 토기를 말한다. 특히 몸통의 가운데 부분에 조그만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었는데, 김제, 고창 등의 전북지역과 충남 홍성 신금성 유적에서 출토된 예가 있으며 동쪽으로는 고령 지산동 고분군이나 동래 복천동 1호분 등 낙동강 유역에서도 출토된다. 이 특수 형태 토기의 기능에 대해서는 첫째 조그만 구멍에 대나무관을 끼워 술 등의 액체를 따르는 용기로서 후대 주자의 원류로 보거나, 둘째 맹세나 의식을 행할 때 술과 피 등을 나누어 마시기 위해 갈대 같은 것을 꽂아 빨아 마시는 그릇으로 보는 견해, 셋째 기름등잔으로 사용한 경우, 넷째 고배 등과 같이 제기로 사용하였다는 견해 등이 있다. 본 유공광구소호는 암갈색의 경질토기이다. 태토에는 사립이 포함되어 있고 소성은 양호하다. 입술부분은 밖으로 바라졌으며 바로 아래로 한 줄의 돌대를 돌렸다. 목은 짧은 편이며 어깨에서 급격히 벌어져서 몸통으로 이어진다. 몸통의 가운데에 한 줄의 돌대를 돌려서 상하로 구분하였다. 몸통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구멍(귀때)이 하나 있으며 지름은 1.5㎝이다. 바닥은 편평하다. 목의 안쪽에는 성형당시의 도구흔으로 보이는 것이 남아 있고 내외면 전체에는 회전물손질 흔적이 남아있다. 아가리의 입술부분에는 일부 결실이 보인다.
활용설명
색다른 소품을 활용하면 일상 공간의 단조로움도 해소될 수 있다. 유공광구소호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 생활소품으로 제작하였다. 몸통에 뚫린 구멍을 그대로 나타냈으며 결실된 부분을 복원해서 완형을 이루도록 활용, 제작한 모습이다. 토기를 활용해서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장식성을 살려 시각적 즐거움을 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