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흑유자라병(3000273) 크게보기 3D 뷰어
흑유자라병(3000273)
국적/시대
한국/고려
재질
도자기/흑유
용도
식기, 저장운반
소장처
경북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자라병은 야외에서 술, 물을 담을 때 사용하던 용기를 일컫는다. 고려시대 자기는 상감청자 외에 흑유계자기(黑釉系瓷器)와 철사유자기류(鐵砂釉瓷器類) 등이 제작되었다. 흑유는 산화철 성분이 많은 유약을 두껍게 발라서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띠는 자기를 말한다. 대부분 그릇이 묵직하며 유약의 농도에 따라 흑유자기 또는 흑(갈)유 자기로 부른다. 흑(갈)유 자기는 황해남도 배천 원산리에서 청자와 함께 출토되었으며, 전남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에서는 상감청자와 함께 나왔다. 또한 해남 진산리 일대의 가마터에서는 녹갈유도기와 함께 흑(갈)유 자기 조각들이 많이 발견되었으며, 충남 공주군 반포면 학봉리 일대에서는 15~16세기 무렵의 귀얄분청자와 함께 흑유자기가 출토된 바 있다. 특히 공주 학봉리 일대에서 발견된 흑유자기 약탕기나 약그릇들 중에는 불에 닿는 굽주변 부분에 내열 처리로서 백토분장을 한 것도 보인다. 흑유의 그릇의 형태는 주로 납작병, 장군, 매병 종류가 많다. 이 병은 아가리가 짧으며 밖으로 바라져 있다. 몸통의 중간쯤에 한 줄의 돌대를 돌렸다. 몸통의 위쪽에는 점토를 꼬아서 붙이고 그 위에 한 번 더 교차하는 점토띠를 두 줄로 붙여서 손잡이 형태로 만들었다. 흑갈색유를 두껍게 시유해 흑색을 띠고 있으며 빙렬은 거의 없다. 바닥은 평편하며 태토비짐한 받침자국이 일곱 군데 남아있다.
활용설명
흑유자라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해서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 제작하였다. 납작한 병의 형태는 지금은 거의 볼 수 없지만 이러한 독특한 형태를 통해 자기가 가진 다양한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