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분청사기철화초문항아리(3000160)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사기철화초문항아리(3000160)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항아리
소장처
전주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항아리는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불룩한 그릇을 일컫는다.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준말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와 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이 분청사기 항아리의 전체적인 형태는 주판알 모양으로 약간 밖으로 벌어진 입과 작은 입술을 갖추고 있다. 몸통 위쪽으로 철화를 이용해서 백토 위에 풀잎사귀를 두 곳에 그려 넣었다. 잎사귀는 둥글게 말려서 자유분방하게 뻗어나가는 모습이다. 몸통의 아래쪽에는 유약이 닿지 않아 회청색의 태토가 그대로 노출되었다. 외면의 하부에는 분청유약이 시유되지 않아 회청색의 태토(胎土)가 노출되어 있다.
활용설명
항아리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항아리는 요즘에도 사용하는 저장용기의 일종으로 우리 식기의 전통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