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3D프린팅콘텐츠

3D프린팅콘텐츠

청자 기름병(3000099) 크게보기 3D 뷰어
청자 기름병(3000099)
국적/시대
한국/고려
재질
도자기/청자
용도
식기
소장처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청자 기름병은 고려시대의 화장품용기 중에 하나이다. 화장품 용기 중에는 청자 기름병이 가장 많은 편이다. 청자 기름병은 신라의 토기 기름병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몸통이 넓어지고 높이가 낮아지는 변화를 가져온다. 순청자 기름병이 바로 이러한 것으로서 무늬가 엷게 음각 되어있다. 순청자 기름병 중에는 신라 토기 기름병의 일반형처럼 몸통이 원형에 가까운 것도 있다. 고려시대의 유병은 형태와 문양 또한 다양하다. 이와 같이 유병의 형태와 무늬가 다양한 까닭은 기물 형태에 대한 기호가 시대에 따라서 달라진 점도 있지만, 각기 다른 기름을 담은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유병 중에서 비교적 큰 토기유병은 소비량이 많은 머릿기름 저장용이었으리라고 보인다. 반면에 아주 소형의 청자병들은 향수(엄밀히 말하면 꽃잎을 압착시켜서 만든 즙)를 담은 것이다. 따라서 소형이면서도 표주박 모양에 아래 몸통은 7면으로 하는 등 정교하고 앙증스럽게 만들었다. 이 병들은 몸체와 같은 재질의 뚜껑을 덮은 것도 있고, 뚜껑이 아예 없는 것도 있다. 종이와 헝겊으로 뚜껑을 대신하였는데, 뚜껑이 있는 것도 종이나 헝겊 따위로 뚜껑 갈피에 끼워 증발을 막았다. 본 청자 기름병은 주판알모양의 몸통에 짧은 굽을 갖추고 있다. 뚜껑은 길고 위와 아래가 바라져서 우아한 곡선미를 보여준다. 뚜껑의 가운데에는 돋은 선을 둘러 장식효과를 냈으며 꼭대기에는 유두형의 꼭지가 달려있다. 전면에 유약이 입혀져 있다.
활용설명
청자기름병을 활용하여 주방용품을 개발하였다. 본래 기름병은 고려시대 당시에는 화장용구로 쓰였지만, 지금은 이런 형태는 사용되지 않는다. 때문에 주방에서 사용하는 물품으로 바꾼 것이다. 주판알 같이 생긴 몸통의 특성을 잘 살리는 한편,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