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팅콘텐츠

가락지(3000167)
- 국적/시대
- 한국/조선
- 재질
- 금속/은제
- 용도
- 장신구
- 소장처
- 전주대학교박물관
- 3D프린팅 가이드
-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여자의 손가락에 끼는 장식물을 말한다. 안쪽은 판판하고 겉은 퉁퉁하게 만든 두 쪽의 고리로 되어 있다. 한 짝으로 된 것은 반지라고 한다. 지환(指環)은 가락지와 반지의 총칭이면서, 가락지만을 뜻하기도 한다. 가락지의 유물은 조선시대 이후의 것만 볼 수 있다. 당시 가락지는 기혼여자만이 사용할 수 있었고, 미혼여자는 반지를 사용하였다. 이 가락지는 은과 백동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표면에 연꽃무늬를 세공하여 만들었다.
활용설명
가락지는 부녀자들이 손가락에 끼는 장식물로 두 개가 한 짝을 이룬다. 가락지의 형태는 물론 표면에 보이는 연꽃을 원형 그대로 재현하였다. 가락지는 현재도 사용이 가능하며 세부적인 표현기법이 섬세하고 장식성이 높아 현대의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기가 좋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