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메인
형태별문양
문양설명
포도문은 대개 덩굴을 달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하였다. 중국 당나라 때 인도의 금공미술에서 영향을 받아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특히 견직물에 나타나는 포도금문에는 포도덩굴 사이에 천신(天神)이 보인다. 포도와 같은 덩굴식물의 경우는 덩굴이 끊임없이 뻗어나가는 것처럼 자손이 끊이지 않기를 바라는 의미가 강하다. 포도는 한 가지에 많은 열매를 맺는데서 풍요를 상징한다. 고려청자의 술병과 주전자에 동자들이 포도송이가 달린 덩굴을 잡아당기며 노는 모습이 상감된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유형안내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이용자는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 또는 저작권자를 표시해야 합니다.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기관사용자는 공공누리 유형마크를 다운로드 후 사용시 지정된 유형마크 파일명 변경을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