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공연/전시

김 웅 Woong Kim, Untitled Landscape | 명제 없는 풍경 | 2024-05-31~2024-06-22 | 이길이구갤러리
  • 전시
  • 이길이구갤러리
  • 전체연령

김 웅 Woong Kim, Untitled Landscape | 명제 없는 풍경

공연기간
2024-05-31~2024-06-22 (진행중)
공연시간
공연가격
무료
장소
서울 | 이길이구갤러리
관람시간
문의
02-6203-2015
전시장명
이길이구갤러리
주소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158길 35
전화번호
02-6203-2015
 
 
상세주소
-
홈페이지
http://www.2gil29gallery.com
전시장의 다른전시로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
김 웅 Woong Kim, Untitled Landscape | 명제 없는 풍경 2024.05.31 ~ 2024.06.22 자세히 보기
최인선 Insun Choi, Beyond the Looking Glass_Into the Looking Glass | 거울 너머로_거울 속으로 2024.03.23 ~ 2024.04.20 자세히 보기
콰야 Qwaya, What should we do?|어떻게 해야 할까 2024.02.03 ~ 2024.02.24 자세히 보기
주변관광지
관광지 위치 연락처
탄천 서울 강남구 율현동·수서동·일원동·대치동과 송파구의 문정동·가락동·석촌동·삼전동·잠실동
서울 선릉과 정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100길 1 (삼성동)
전주이씨광평대군파묘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31길 20 (수서동)
봉은사(서울)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531 (삼성동)
불국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10길 30-71 (일원동) 02-445-4543
능인선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양재대로 340 (개포동) 02-577-5800
차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42 (청담동) 피앤폴루스 2~7층
청담공원 서울 강남구 청담동 66
도산공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45길 20 (신사동) 02-3423-6245
대모산공원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10길 50 (일원동,청솔빌리지) 부근

이길이구 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김웅 작가가 지금까지의 예술 여정을 통해 축적해 온 깊은 사색과 예술적 성찰을 공유하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울에서 13년 만에 열리는 이 스물아홉 번째 개인전은 그의 긴 예술 여정과 깊이 있는 사유가 집약된 자리입니다. 김웅 작가의 작품들은 시간과 기억, 공간을 초월하는 추상화의 언어로 표현되며, 그의 독특한 미술 세계는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사물의 표면 너머에 숨겨진 이야기와 감정의 층을 드러냅니다. 그의 작품 속에서는 개인의 기억이라는 주제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 경험의 감정과 연결되어, 각자의 내면에 숨어 있는 기억의 파편들을 호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게 합니다. 이번 전시는 과거의 순간들이 시간 속에서 어떻게 층층이 쌓이고, 어떻게 그 순간들이 현재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합니다. 작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과 뉴욕, 그리고 더 넓은 세계에서의 삶을 거쳐온 시간의 흔적들을 재구성하며, 이러한 다층적인 시간의 경험을 통해 관람객에게 더 깊고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1970년 이후 뉴욕으로 건너가 시각예술학교(SVA)를 졸업하고 예일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공부한 후, 1979년부터 1987년까지 한국인 최초로 SVA에서 미술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교수직을 그만둔 후, 김 웅 작가는 뉴욕 미술계에서 전업 작가로서 활동하며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작가로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단순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넘어서, 감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기억을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미술이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서는 깊은 철학적 사유와 만남을 가능하게 합니다. 김 웅은 현재도 맨해튼 바워리의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활발하게 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의 작업은 뉴욕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전시는 그의 예술적 지평을 한층 더 넓히고, 그의 작품들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예술적 대화를 시도하는 장이 될 것입니다. 이길이구 갤러리의 이번 전시는 김 웅 작가의 깊은 내적 세계와 예술적 여정을 집중 조명함으로써, 현대 미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중요한 담론을 제공합니다. 뉴욕에서의 오랜 경험과 한국에서의 근원적 감성이 결합된 김 웅의 작품들은 글로벌 아트 신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며, 전통과 현대성,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예술적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작가의 《명제 없는 풍경》 전은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그가 직면한 문화적 다양성과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술적 언어를 창조해내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인 한국 미술의 요소들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보편적 감정과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이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은 김 웅이라는 예술가가 지난 수십 년 간 뉴욕과 서울을 오가며 펼쳐온 창조적 여정의 정수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서 표현된 시간의 층위와 기억의 풍경은 감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신만의 기억과 감정을 되새겨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그의 예술을 통해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이 단순한 이미지나 형태를 넘어서는,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과 생각을 탐구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그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는 것은 그의 예술적 성취와 깊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입니다. 예일 대학교 박물관, 뉴 헤이븐, 코네티컷;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로어노크 시빅 센터, 로어노크, 버지니아; 인터메트로 인더스트리, 윌크스 배러, 펜실베이니아; 소기간 & 마추가, 워싱턴 D.C.; 로스, 란팡 플라자, 워싱턴 D.C.; 성곡미술관, 서울, 한국;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 대한상공회의소, 서울, 한국;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대한민국 유엔 상임대표부, 뉴욕 등 세계 유수의 기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는 그의 예술에 대한 열정과 집념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이길이구 갤러리에서 열리는 이번 개인전은 김 웅 작가의 진정한 회화의 무게감을 느낄 수 있는 전시로, 그의 긴 예술 여정과 풍부한 감성을 관람객과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단지 미술작품을 관람하는 행위를 넘어서, 예술이 어떻게 인간의 내면과 대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김 웅의 이번 전시는 그의 80세를 기념하는 의미에서도 특별하며, 그의 평생의 예술적 업적을 기리는 시간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예술계 안팎에서 그의 작업에 대한 평가와 그가 남긴 발자취를 조명하면서, 그의 예술적 유산이 앞으로 어떻게 평가될지에 대한 흥미로운 논의의 장도 마련될 것입니다. 이번 전시가 미술 애호가들에게 깊은 인상과 영감을 제시하기를 기대합니다.

김웅 Woong Kim 2024 Untitled Oil on Canvas 149x180cm

2GIL29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the solo exhibition 《Untitled Landscape 》 by artist Woong Kim, from May 31 to June 22, 2024.  2GIL29 Gallery's exhibition focuses intensely on Woong Kim's inner world and artistic journey, offering crucial discourse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contemporary art. His long experience in New York combined with his foundational Korean sensibilities positions his works uniquely within the global art scene, continuing his artistic experiments across the boundaries of tradition and modernity, East and West. The "Landscape without Proposition" exhibition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creating a new artistic language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personal experiences he has faced. His works reinterpret traditional Korean artistic elements with a contemporary sense, striving to convey universal emotions and message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Visitors to this exhibition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Woong Kim's creative journey, which has spanned decades between New York and Seoul. Moreover, the layers of time and landscapes of memory expressed in his works will allow viewers to look inward, reflecting on their own memories and emotions. Through his art, Woong Kim explores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s and thoughts, going beyond mere images or forms. The presence of his works in prestigious museums worldwide, such as Yale University Museum, New Haven, Connecticu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Roanoke Civic Center, Roanoke, Virginia; and others, underscores his artistic achievements and depth.

This exhibition at 2GIL29 Gallery is set to be a profound showcase of Woong Kim's weighty paintings, sharing his long artistic journey and rich sensibilities with the audience. It transcends the act of merely viewing art, showing how art can engage with the inner self, and is especially significant as it marks his 80th birthday, celebrating his lifelong artistic achievements. The ongoing discourse around his work within the art community and the spotlight on his artistic legacy will offer intriguing discussions about how his art will be perceived in the future. This exhibition is expected to leave a deep impression and inspire art enthusiasts.

김웅 Woong Kim 2024 Untitled Oil on Canvas 112x96cm

작가소개

김 웅(1944년생)은 한국에서 뉴욕의 활발한 예술 현장까지 눈부신 여정을 거쳐왔습니다. 1970년 한국을 떠나 스쿨 오브 비주얼 아트(SVA)와 예일대학교 미술대학원에서 교육을 마친 후, 1979년부터 1987년까지 SVA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인 최초로 그 자리를 맡았습니다. 그 후 뉴욕의 하워드 스콧 갤러리에서 18년 동안 전속 작가로 활동하며 크리스티와 소더비 같은 유명 경매에서 작품을 활발히 거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뉴욕 미술계에서 인정받는 한국 작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김 웅의 작품은 첫눈에 추상화로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깊은 형상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독특함은 그의 작품의 원천인 깊숙이 뿌리박힌 유년의 기억에서 비롯됩니다. 이 기억들은 지층처럼 그의 캔버스 위에 겹겹이 쌓여 있습니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직접 지어주시던 옷이나 창호지에 쑥이나 꽃잎을 붙여 멋을 낸 기억 등이 예술가의 시선을 통해 보물 같은 작품으로 재탄생합니다. 김웅은 이러한 사물들을 단순히 재현적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창조적 영감의 원형으로 바라보며, 그 속에 숨어 있는 한국적 미감을 색채와 형식으로 표현해냅니다.

그의 그림 작업 방식은 현대 회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순간적 영감에 의존하기보다는, 기억을 하나하나 꺼내어 중첩시키듯이 반복적인 붓질로 색층을 쌓아 올리는 더 심도 있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변형된 기억들은 과거를 단순히 대표하는 것을 넘어 시간을 초월하여 현재에도 영적인 본질로 캔버스에서 되살아납니다. 김 웅의 작품은 관람객을 그의 기억의 풍경 속으로 안내하며, 그의 유년 시절의 보물 상자를 열어보게 합니다. 이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지속적으로 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을 따라가는 예술가의 역사를 탐색하는 심미적 여정을 제공합니다. 현재도 김 웅은 뉴욕에서 생활하며 예술 작업에 열심히 매진하고 있으며, 국제 무대에서 현대 미술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About the Artist

Woong Kim, born in 1944, has traversed a remarkable journey from his native Korea to the vibrant art scene of New York. After relocating in 1970, he completed his education at the School of Visual Arts (SVA) and the Yale University School of Art. His tenure at SVA from 1979 to 1987 marked him as the first Korean to serve as a professor there. Following his academic career, Kim was a resident artist at Howard Scott Gallery in New York for eighteen years (1988-2006), during which time his works were actively traded at prestigious auction houses like Christie's and Sotheby's, affirming his status as a recognized Korean artist in the New York art scene.While Kim's artworks might initially appear as abstract paintings, a closer examination reveals a profound figurative essence. This uniqueness stems from the source of his creations―deeply embedded memories of his youth. These memories, like geological strata, layer upon one another on his canvases. Childhood memories of his mother sewing, or the decorative use of mugwort and petals on traditional Korean paper windows and tablecloths, transform through his artistic lens into treasure-like artworks. Kim does not merely reproduce these items; he reinterprets them as original inspirations, melting the inherent Korean aesthetic into colors and forms on the canvas.

His approach to painting eschews the quick inspirations typical of modern art; instead, it involves a meticulous process of extracting and layering memories with repetitive brushstrokes, building up color layers that converge into a form of spiritual regression that serves as a totemic source for the artist. These transformed memories do not just represent the past; they transcend time, revitalizing in the present as spiritual essences on the canvas.Woong Kim's works invite viewers to journey through the tapestry of his recollections, unlocking the treasure box of his youth and offering an aesthetic voyage that traces the enduring history of an artist whose identity is perpetually shaped by his origins. Today, Kim continues to reside and work in New York, diligently pursuing his craft and contributing to the dialogue of contemporary art on an international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