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공연/전시

  • 국악
  • 국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
  • 취학아동이상

창극 춘향실록 춘향은 죽었다

기간
2018-02-08~2018-02-09 (종료)
공연시간
20시~21시40분
가격
전석1만원
장소
서울 | 국립국악원 예악당
소요시간
100분
문의
02-580-3300
공연장명
국립국악원 예악당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 국립국악원
문의
02-580-3300
전시장의 다른전시로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
무용단 기획공연 <상선약수II> 2025.06.26 ~ 2025.06.27 자세히 보기
한·일 무형유산의 만남 종묘제례악, 구미오도리 2025.06.13 ~ 2025.06.13 자세히 보기
국악의 날 기념 기획공연 <연희-판, 흥으로 잇는 세상> 2025.06.05 ~ 2025.06.05 자세히 보기
창작악단 기획공연, 연주자 그리고 작곡가 Ⅱ 2025.05.30 ~ 2025.05.30 자세히 보기
제7회 영동군 난계국악단 기획 연주회, 차세대 명인 발굴 프로젝트 Ⅰ: 청어람 2025.05.20 ~ 2025.05.20 자세히 보기
[국악방송] 2025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2025.05.15 ~ 2025.05.15 자세히 보기
제67회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정기연주회: 잇고, 있다Ⅳ 2025.05.03 ~ 2025.05.03 자세히 보기
[서울] 부처님오신날, 광복 80주년 기념 봉축음악회 교성곡: 용성 2025.04.30 ~ 2025.04.30 자세히 보기
뮤지컬퍼포먼스 아리아라리 2025.04.25 ~ 2025.04.26 자세히 보기
김천금릉빗내농악보존회, 진굿 2025.04.20 ~ 2025.04.20 자세히 보기
주변관광지
관광지 위치 연락처
청계산 서울 서초구 원지동, 성남시 수정구, 의왕시 청계동, 경기 과천시 막계동
양재천 생태공원 서울 서초구 양재동 ~강남구 대치동
헌인릉 생태경관보전지역(오리나무림)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반포 서래섬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1길 40 (반포동, 반포안내센터) 02-3780-0541
서울 헌릉과 인릉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인릉길 34 (내곡동)
효령대군이보묘역 서울 서초구 효령로 135 (방배동) 02-584-3121~4
대성사(서울)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328길 49 (서초동) 02-583-1475
관문사(서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7길 111 (우면동)
황금온천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143 (서초동) 02-581-4888
스파레이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107길 5 (잠원동)

창극 춘향실록 춘향은 죽었다 춘향의 비극적 운명을 노래한다. 평창동계올림픽성공기념 2018.2.8.(목)~9(금) 오후 8시 국립국악원 예악당 국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 창극 춘향실록 ? 춘향은 죽었다 는 1999년 KBS 역사 스페셜에 방영된 이몽룡은 실존 인물이었다 다큐멘터리에서 받은 인상과 판소리 춘향가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념 절개 지조의 상징인 춘향에 대한 소리광대들이 올리는 헌사 작품이다. 공연내용 춘향전의 이야기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실제 춘향의 이야기. 이몽룡의 실존인물인 성이성이라는 인물을 통해 알게 된 진짜 춘향, 진짜 사랑을 창극 춘향실록-춘향은 죽었다를 통해 전달하려 한다. 인적이 끊어진 눈 내리는 광한루, 초로에 접어든 선비가 찾아온다. 선비는 춘향전 속 실존인물로 추정되는 성이성, 이를 뒤 따르는 인물은 방자로 추정되는 늙은 사내이다.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인 광한루에서 두 사람이 기억하는 봄날의 이야기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판소리 춘향가가 되어 되살아난다. 춘향실록은 잊을 수도, 잊혀질 수도 없는 운명같은 사랑, 그 사랑을 지키기 위해 춘향은 죽은 것으로 역설된다. 소신! 자신이 믿는 바를 지키기 위해 춘향은 죽었다! 그리고 그 소신 있는 사랑이야기는 소리 광대들에 의해 영원무변한 사랑이야기가 되어 간다. 출연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 기악단 제작진 대본 및 연출 지기학(예술감독) 소리지도 김현주 음악작곡 김백찬 의상디자인 송은주 무대디자인 정윤정 조명디자인 공연화 분장 김종한 조연출 원세은(부수석) 예매 관람료 전석 1만원 예매처 국립국악원 인터파크 국립국악원 국립민속국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