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공연/전시

  • 무용/발레
  • 서울시무용단
  • 만 7세 이상 (미취학 아동 입장불가)

서울시무용단 '더 토핑'

기간
2017-07-06~2017-07-07 (종료)
공연시간
오후8시
가격
전석 20,000원
장소
서울 | 세종문화회관 세종M씨어터
소요시간
70분
문의
02-399-1766
공연장명
세종문화회관 세종M씨어터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세종문화회관
문의
02-399-1000
전시장의 다른전시로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
최수열X서울시국악관현악단 <Re-프로젝트 장단의 재발견> 2025.06.26 ~ 2025.06.26 자세히 보기
서울시뮤지컬단 <더 퍼스트 그레잇 쇼> 2025.05.29 ~ 2025.06.15 자세히 보기
서울시발레단 <워킹 매드&블리스> 2025.05.09 ~ 2025.05.18 자세히 보기
동방미래특급 2025.05.02 ~ 2025.05.04 자세히 보기
제26회 한국미래춤 페스티벌: 춤의 세계로... 2025.04.24 ~ 2025.04.24 자세히 보기
서울시극단 연극 <코믹> 2025.03.28 ~ 2025.04.20 자세히 보기
코믹 2025.03.28 ~ 2025.04.20 자세히 보기
세일즈맨의 죽음 2025.01.07 ~ 2025.03.03 자세히 보기
주변관광지
관광지 위치 연락처
인왕산 서울 종로구 무악동 산3-1
북악산 서울 종로구 삼청동 , 청운동, 성북구 성북2동
자생식물학습장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백사실계곡 서울 종로구 부암동 산25번지 일대
창덕궁 향나무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창덕궁 다래나무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서울 운현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운니동)
경희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
경복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창경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02-762-4868~9

I.SEOUL.U 2017 2018 SEJONG SEASON 한국무용을 토핑하라! 더 토핑 7월 6일(목) - 7일(금) 저녁 8시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topping 더 토핑 중의적 의미와 표현으로 더(THE)는 부사로 정도 이상의 라는 의미, 토핑(topping)은 명사로 요리나 과자를 만들 때 맛과 장식을 위한 마무리 작업을, 형용사로 최상의 라는 뜻을 가진 이 두 단어가 합쳐진 더 토핑(The topping)이라는 타이틀 그대로 무용공연이 주를 이루는 안무가전(작가전)에 타장르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무한한 움직임의 가능성과 에너지의 흐름이 접목되어 무용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한국무용 X 뮤지컬 다섯가지 사랑이야기 작품의도 뮤지컬 파이브 코스 러브(Five Course Love)를 각색하여 춤과 노래, 연기가 어우러지는 무용극으로 재해석. 극중극 형식의 5가지 옴니버스식 구성. 어리석음에서 달콤함 까지, 섹시함에서 로맨틱까지, 가벼움에 진지한 무거움까지, 진실한 사랑을 이야기하기 위한 각각의 사랑과 에피소드. 사랑에 관한 재기발랄한 5가지 독특한 사랑을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정지현(안무자) 경성대학교 무용학고 졸업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무용공연예술학과 석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 박사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한국춤협회 이사 한국무용 X 판소리 여민도기 작품의도 하늘이 빛. 땅의 소리. 사람의 마음. 혼연하면서도 하나이며 이어지고 이어진 끝 같아알. 동작이 없는 것의 동작을 일러 황홀이라고 한다.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잇으니 이는 곳 여민(與民)이라 한다. 백성의 안위를 위해 우주만물에게 고하는 하나의 제의(祭儀 ). 최태선(안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 한양대학교 무용학박사 수료 한국미래춤학회 이사 두리춤터 운영위원 한국무용협회 감사 한국무용 X  우도농악(부포놀이) 계집, 女 작품의도 단순한 여자(女子)의 이야기가 아니다. 그렇다고 여성(女性)의 이야기도 아닌 오롯한 女만을 드러낸다. 부드러움, 풍성함, 요염함을 여민 채 세월을 응시하는 부포가 되어 춤을 추고 숨을 쉰다. 첼로음악을 통해 여성성을 나타내고 자신의 이름을 찾아가는 몸놀림을 예리하게 담는다. 부포와의 극적인 만남을 이루고 에필로그에서 여자에서 女로 태어난 숭고를 맛보게 하면서 마무리 된다. 전진희(안무자) 세종대학교 무용학박사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전수자 전) 브니엘예고, 서울예대, 세종대 출강 한국무용 X 드로잉아트 작품의도 택시기사 철수가 바라본 세상...... 달리는 택시와 꼭 닮은 세상이다. 갖은 사람들은 갖은 데로.... 없는 사람들은 없는대로...... 살아간다. 각자의 패턴 속에 살면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철수의 방에서 풀어낸다. 멍에처럼 주어진 틈바구니 속에서 한조각의 unit으로 취급 받으며 굴러가는 삶. 실패한 자, 재기를 꿈꾸는 자, 포기한 자들 모두가 모이는 택시라는 소통의 작은 광장에 드나드는 사람들....... 내일의 희망을 향해 철수의 택시는 오늘도 달린다. 김진원(안무자) 상명대학교 공연예술경영학과 박사과정 수료 한국무용협회 총무이사 대한민국 무형문화재 춤제전 운영위원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진주대사습놀이 무용부 장원 topping 서울시무용단 소개 한국창작춤의 역사를 쓰는 시민의 무용단 예술은 동시대의 고찰(考察)과 정신세계의 반영이며, 사회가 나가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좌표(座標)이다. 1974년 이러한 모토로 창단돈 서울시무용단은  예술 단체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을 위해서 반복적인 자기 물음과 치열한 창작 작업을 해왔다. 지난 30여 년간의 수많은 국내외 공연에서 서울시무용단의 그러한 고심의 흔적과 변모의 기록을 읽을 수 있다. 우수한 한국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자랑스런 무용단 84 LA 올림픽 폐막식, 90 북경 아시안 게임 예술축전 등의 국제 행사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무용단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며, WDA 필라델피아 공연, 남미 순회공연, 대만 2000 아.태 문화시자 회의 특별공연, 2002 한일 국민교류의 해 일본 오샄마 초청공연, 2003 유럽, 미국 순회공연, 2006, 2007 아시아무대예술제 초청공연,  2008 한일관광교류의 해 - 교토 초청공연, 2009북유럽순회공연, 2011상하이국제아트페스티벌 등 국제적인 문화예술 축전에 초빙되어 우리 춤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국제문확류에 이바지했다. 서울시무용단은 미래의 꿈과 희망을 지향하는 무용단으로서 국민에게 한발 다가서는 예술 활동을 펼쳐 나갈 것이며, 우리 문화 속에 뿌리를 둔 세계적인 무용단으로 거듭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