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험 한눈에 보는 문화정보

공연/전시

Oh Se-yeol: Since 1965 | 2025-08-28~2025-09-20 | 갤러리조은
  • 전시
  • 갤러리조은
  • 전체연령

Oh Se-yeol: Since 1965

기간
2025-08-28~2025-09-20 (진행중)
공연시간
가격
무료
장소
경북 | 씨네Q 칠곡
소요시간
문의
02-790-5889
전시장명
씨네Q 칠곡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석적로 646 씨네Q 칠곡
문의
1544-1533
 
 
홈페이지
-
전시장의 다른전시로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
장소명 기간 상세정보
Oh Se-yeol: Since 1965 2025.08.28 ~ 2025.09.20 Oh Se-yeol: Since 1965 자세히 보기
주변관광지
관광지 위치 연락처
칠곡 황학산휴양림 경북 칠곡군 지천면 황학2길 16-38 054-972-8686, 011-527-8309, 019-528-3824
칠곡 송정자연휴양림 경북 칠곡군 석적읍 반계3길 88 054-979-6600~1
칠곡 가산산성 및 가산바위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98-1
곤산서원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신유로 60 (약목면)
사양서당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신동서원길 15-10 (지천면)
소암서당 경상북도 칠곡군 기산면 지산로 807-11 (기산면)
화산서원 경상북도 칠곡군 석적읍 성곡2길 81-5 (석적읍)
신동입석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로 5-7 (지천면)
도덕암(칠곡)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한티로 260 (동명면) 054-976-8380
선봉사(칠곡)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1446 (북삼읍) 054-972-4278

오세열의 작업은 언제나 일상에서 출발한다. 병뚜껑과 단추, 수저, 넥타이, 서툴게 오려낸 그림과 글귀 등 아이들의 장난감 같은 사소한 사물들이 그의 손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 그것들은 단순한 오브제를 넘어, ‘오세열표 시적 울림’을 절정으로 드러내며, 무의식 속 저편에 깃든 동심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때로는 함지박이나 소쿠리가 액자가 되고, 버려진 사물이 작품의 일부가 된다. 그의 회화는 늘 경계를 넘어서는 방식으로 현실과 상상, 일상과 예술을 잇는다.
소재뿐 아니라 그의 회화적 방식 또한 독창적이다. 캔버스 천을 뒤집어 씌운 뒤 유화 물감을 겹겹이 덧칠하고 동시에 기름기를 제거하며, 시간이 흐르며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크랙까지도 일부로 받아들인다. 작업실에서 붓 대신 칼이나 송곳 같은 날카로운 도구를 주로 사용하는 그는 화면을 긋고 갈아내며 자유로운 형태의 스크래치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행위는 오세열의 전 작업을 관통하는 정체성이자 회화적 본질이다. 단순해 보이는 화면 속에는 여러 겹의 색채와 두터운 질감(Ma- terial)이 축적되어 있으며, 즉흥성과 솔직함에서 비롯된 회화적 힘이 응축되어 있다. 천진난만한 선과 형상은 ‘아이 같은 어른’이라는 그의 내면을 반영하고, 단색의 배경 아래에는 세월의 흔적이 지층처럼 켜켜이 쌓여 있다.


Oh Se-Yeol’s work always begins with the everyday. Bottle caps, buttons, spoons, neckties, clumsily cut drawings and words―objects reminiscent of children’s toys―gain new life in his hands. They transcend mere things, becoming poetic resonances unique to Oh Se-Yeol, guiding us into a childlike world dwelling deep in the unconscious. At times, washbasins or baskets become frames, and discarded items transform into art. His paintings consistently cross boundaries, bridg- ing reality and imagination, the ordinary and the artistic.
Equally distinctive is his painterly method. He reverses and stretches canvas, layering oil paint while stripping away its sheen, even embracing the natural cracks that emerge over time. Using knives or awls instead of brushes, he scratches and carves the surface to create free, spontaneous marks. This process forms the essence of his practice―a direct, raw pictorial identity. Beneath the seemingly simple surfaces lie layers of color and dense materiality, condensed with the force of improvisation and candor. Childlike lines and shapes mirror the “adult as child” within him, while the mono- chrome backgrounds reveal strata of time accumulated like geological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