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문화유산
  • 서울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 기억광장을 걷다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4:00
등록일
2025-08-08
 
광복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도시 곳곳에서 피어난 기억의 조각들로 이루어진 역사이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단순한 구조물의 재현이 아닌, 각각의 장소가 담고 있는 상징성과 감정을 한자리에 모으는 ‘기억의 재배치’에 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 공간들을 한 장(場)에 엮어냄으로써, 우리는 광복이라는 거대한 이 야기를 보다 입체적이고 개인적인 방식의 경험을 유도하고자 한다.
 
본 영상에는 클로바더빙(CLOVA Dubbing)의 AI 보이스가 사용되었습니다.
#클로바더빙 #고은 바로 가기 URL: https://clovadubbing.naver.com 사용폰트 GS칼텍스- 한용운체, GoogleXAdobe -본명조 사용음원 한국저작권위원회(https://www.copyright.or.kr/main.do) - “국악연주곡_묵념” Korean by CrazyTunes CrazyTunes “Korean”(유료) original_soundtrack “Korea”(유료) Tatamusic “Korea”(유료) (라이센스 보유)
 
본 저작물는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20&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70998&menuNo=200018, (저 작권자: 한국정책방송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4&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한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85937&division=img, (저작권자: 국가유산청)]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유마당: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38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 recommendIdx=6841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 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29&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0417&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76428&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63&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공공누리] :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recommendIdx=68382&division=img, (저작권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대본
 

여러분은 독립운동이 어디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독립운동은 하나의 장소에서 일어난 일이 아닙니다. 서울 곳곳, 거리와 공원, 광장마다 그날의 기억은 남아 있습니다.

저는 그 흩어진 기억들을 디지털 공간 위에 다시 모아보려 합니다.

 

그 여정은 광화문에서 시작됩니다.

광화문은 일제에 의해 해체됐다가, 2010년이 되어서야 제자리를 되찾았습니다. 그 복원은 단순한 건축이 아니라되찾은 기억의 상징입니다.저는 이 광장을 무대로 직접 3D 스캔한 장소들을 다시 엮어보려 합니다.

 

포토그래메트리는 사진을 통해 실물을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입니다. 이 방식을 통해, 각기 다른 장소들을 하나의 기억 광장안에 연결하고자 합니다.

 

처음 찾은 곳은 서대문독립공원입니다.

독립문은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한 자취입니다

일제의 지배가 시작되기 전, 이 문에는 자주와 개혁을 향한 민중의 뜻이 담겨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정신은, 20년 뒤 3.1 만세운동으로 이어졌습니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탑골공원입니다.

191931, 이 평화로운 공원은 민중의 외침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 외침은 조선 전역을 흔든 독립의 불꽃이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찾은 곳은 성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 평화의 소녀상이 놓인 자리입니다.

이 소녀상은 평화의 나비를 품고, 우리를 향해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 그 손엔 과거를 넘어, 미래와 연대를 향한 희망이 담겨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찾은 곳은 구서울역 앞 광장입니다.

이 광장에서 1919년 강우규 의사는 조선총독을 향해 폭탄을 던지며 대한의 독립정신을 알렸습니다. 서울역은 귀환의 장소이자, 목숨을 건 저항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이제 서로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태어난 기억들을 하나의 광장에 다시 모읍니다. 현실에 존재하진 않지만, 우리가 함께 기억하고 싶은 모습입니다.

이제 광복: 기억광장을 소개하겠습니다.

 

독립을 향한 선언, 민중의 외침, 아직 끝나지 않은 증언, 그리고 기꺼이 맞선 저항. 이 모든 기억은 광복을 향한 여정의 일부였습니다.

도시 곳곳의 흔적과 사람들의 뜻이 모여 지금의 우리가 되었습니다.

 

기억은 연결될 때 힘을 가집니다.

우리가 기억할 때, 역사는 이어집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 기억광장을 걷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