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용어사전
문화 관련 예술용어사전을 공유합니다.
- 자연주의
- 자연주의
- 자연주의
- 자오선
- 자율미학
- 작법
- 잔혹연극
- 잡귀풀이
- 장악서
- 재단비평
- 재단비평
- 재담
- 재수굿
- 재퍼니즘
- 재현예술
- 저음
- 전기정량기보법
- 전례극
- 전악서
- 전위연극
- 전자울림악기
- 전자음악
- 절대주의
- 절충주의
- 점묘주의
- 점묘주의
- 정농악회
- 정률음악
- 정밀주의
- 정상음
- 정선파
- 정신치료극
- 정지파
- 정치극
- 정치극
- 정치미술
- 정치시
- 정크아트
- 제1작법
- 제4의벽
- 제의의연극
- 제주굿
- 조광
- 조사
- 조상연극
- 조선문단
- 조선성악연구회
- 조양구락부
- 조율
- 조형
- 조형예술
- 종족음악학
- 종합예술작품
- 종합주의
- 좌상
- 주기파
- 주아주의
- 주파수
- 죽간자
- 줄타기
- 중국고전극
- 중세미술
- 중세연극
- 즉흥극
- 지각
- 지방주의
- 지역극단
- 진경산수
- 진단학회
- 집단창조
자연주의
- 장르
- 미술 /미술사 /서양미술사
- 요약설명
- 양식과 관념화를 거부하고 보이는 대로 묘사하는 예술경향.
- 상세설명
-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이는 리베라/미술(Jusepe de Ribera)와 만프레디/미술(Bartolommeo Manfrei)등과 벨로디/미술(Giovani Pietro Bellori)이다. '자연주의 미학'이란 용어는 에밀졸라/문학(Emile Zola)의 문학에서 정점에 이른다. 자연주의는 현실에 대한 목적론적 설명을 거부하여 현실을 편견 없이 관찰하는 방법을 예술에 적용한다. 쿠르베/미술(Gustave Courbet)의 회화에 나타나는 이러한 성향에 상응하는 양식이 사실주의/미술이며 이것은 이상주의/미술에 대한 반발과 낭만주의/미술에 으해 촉발되었다. 자연주의는 예술비평에 있어서 이집트의 예술과 같이 양식화된 예술과 반대로 자연과 주변생활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예술의 유형을 지시할 때 쓰인다. 예술작품은 자연을 비추는 거울로 간주되며, 이런 의미에서 자연에 대한 이상화로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