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용어사전
문화 관련 예술용어사전을 공유합니다.
- 가면극
- 가부끼
- 가야미술
- 가전체
- 가정극
- 가정비극
- 가정비극
- 가청한계
- 감상
- 감상희곡
- 감상희극
- 감정미학
- 감정이론
- 감정이입
- 감정이입미학
- 강령탈춤
- 강릉관노탈놀이
- 강릉단오제
- 강서화파
- 개관진동
- 개념미술
- 개벽
- 개벽
- 개화가사
- 거리미술
- 검무
- 경극
- 경기굿
- 경기입창
- 경기체가
- 경향극
- 계관시인
- 계몽주의
- 계몽주의
- 고대가요
- 고려가요
- 고려무용
- 고려미술
- 고려불화
- 고른음
- 고분벽화
- 고성오광대
- 고수
- 고음
- 고전
- 고전발레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정선율
- 고정형식
- 공간주의
- 공기울림악기
- 공명
- 공연양식
- 관습도감
- 광대
- 교겐사쿠샤
- 교육무용
- 교육연극
- 교회연극
- 구비문학
- 구성주의
- 구성주의
- 구성주의
- 국악사장
- 국제연극연구소
- 굿
- 궁정가면극
- 궁정발레
- 궁체시
- 귀족무용
- 그로테스크
- 그로테스크
- 그리스미술
- 그림자연극
- 극사실주의
- 극예술
- 근대문학
- 금석문
- 기계미술
- 기교
- 기록극
- 기방무용
- 기악
- 기악
- 기저막
- 기적극
- 기질희극
- 기질희극
- 기행가사
- 기호
- 기호화작용
- 길놀이
- 꼭두쇠
- 꼴라쥬
- 꽁뜨르
- 꽹과리
가면극
- 장르
- 연극 /연극사 /한국연희
- 요약설명
-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가면극은 형성시기에 따라 서낭제 가면극과 도시형 가면극으로 분류되는데, 다른 동양연극과 마찬가지로 공연성이 희곡성보다 강하다.
- 상세설명
- 현존하는 가면극은 형성시기에 따라 서낭제 가면극/연극과 도시형 가면극/연극으로 나뉜다. 서낭제 가면극은 13세기 무렵 민속부 제의 하나로 행해져 제의와의 분리측면은 불분명하다. 하회, 병산, 주곡, 동해안의 별신굿놀이/연극와 강릉단오굿/연극의 관노탈놀이/연극가 있다. 현재 전하는 것은 하회 별신굿놀이와 동해안 별신굿의 탈놀음굿과 병탈굿이다. 도시형 가면극은 조선시대 연회를 관장했던 산대도감의 혁파와 사회변혁으로 인해 18세기경 주로 도시에서 발생했다. 도시형 가면극은 제의와 분리되어 공연되면서 연극적 발전을 보였다. 가면극은 다른 동양연극과 마찬가지로 공연성이 강해 춤, 노래, 곡예 등이 어우러지고, 공연의 템포는 음악반주가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