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용어사전
문화 관련 예술용어사전을 공유합니다.
- 5음음계
- 가면극
- 가부끼
- 가야미술
- 가전체
- 가정극
- 가정비극
- 가정비극
- 가청한계
- 감상
- 감상희곡
- 감상희극
- 감정미학
- 감정이론
- 감정이입
- 감정이입미학
- 강령탈춤
- 강릉관노탈놀이
- 강릉단오제
- 강서화파
- 개관진동
- 개념미술
- 개벽
- 개벽
- 개화가사
- 거리미술
- 검무
- 경극
- 경기굿
- 경기입창
- 경기체가
- 경향극
- 계관시인
- 계몽주의
- 계몽주의
- 고대가요
- 고려가요
- 고려무용
- 고려미술
- 고려불화
- 고른음
- 고분벽화
- 고성오광대
- 고수
- 고음
- 고전
- 고전발레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전주의
- 고정선율
- 고정형식
- 공간주의
- 공기울림악기
- 공명
- 공연양식
- 관습도감
- 광대
- 교겐사쿠샤
- 교육무용
- 교육연극
- 교회연극
- 구비문학
- 구성주의
- 구성주의
- 구성주의
- 국악사장
- 국제연극연구소
- 굿
- 궁정가면극
- 궁정발레
- 궁체시
- 귀족무용
- 그로테스크
- 그로테스크
- 그리스미술
- 그림자연극
- 극사실주의
- 극예술
- 근대문학
- 금석문
- 기계미술
- 기교
- 기록극
- 기방무용
- 기악
- 기악
- 기저막
- 기적극
- 기질희극
- 기질희극
- 기행가사
- 기호
- 기호화작용
- 길놀이
- 꼭두쇠
- 꼴라쥬
- 꽁뜨르
- 꽹과리
- 나비파
- 나이브아트
- 나치미술
- 남녀상열지사
- 남사당패
- 낭만주의
- 낭만주의
- 낭만주의
- 낭만주의
- 낭만주의
- 낭만주의
- 낭만희극
- 내간체
- 내교방
- 내림굿
- 내용미학
- 네오다다
- 농악
- 뉴아트
- 뉴페인팅
- 다다이즘
- 다다이즘
- 다다이즘
- 다다이즘
- 다리춤
- 단막극
- 당악정재
- 대성아악
- 대성악
- 대악서
- 대잡이
- 대중극장
- 대지미술
- 덧뵈기
- 데시벨
- 데카당스
- 도덕극
- 도상학
- 도상해석학
- 도약춤
- 도큐멘트
- 도화서
- 독립극단운동
- 독일공작연맹
- 독일표현주의
- 독창미학
- 동래야유
- 동래학춤
- 동물춤
- 동반작가
- 동음집
- 동인문학상
- 동작학
- 두시언해
- 딜레마
- 로마네스크
- 로마무용
- 로마미술
- 로마연극
- 로코코
- 롱가
- 르네상스
- 르네상스
- 리가투라
- 리듬선법
- 리토르넬로
- 마네
- 마임
- 마임
- 막
- 막대인형극
- 막울림악기
- 만석중놀이
- 말뚝이
- 맥놀이
- 멜로드라마
- 멜로드라마
- 명대미술
- 모노드라마
- 모노코드
- 모더니즘
- 모더니즘
- 모더니즘
- 모방
- 모방미사
- 모방미학
- 모방춤
- 모파상
- 목가
- 목각화운동
- 몸울림악기
- 몸짓춤
- 묘사
- 무갈회화
- 무기춤
- 무당
- 무당굿
- 무도병
- 무반향실
- 무속무용
- 무언극
- 무용광
- 무용비평
- 무운시
- 무한선율
- 문묘제례악무
- 문인화
- 문장
- 뮤지컬
- 뮤지컬
- 뮤직홀
- 미래주의
- 미래주의
- 미래주의
- 미래파
- 미술공예운동
- 미의식
- 미적감각
- 미적관조
- 미적대상
- 미적범주
- 미적이념
- 미적정관
- 미적직관
- 미적체험
- 미적판단
- 미적향수
- 미적형식원리
- 미학
- 미화
- 민속극
- 민속무
- 민족주의
- 민중극
- 민중극
- 바로크
- 바로크
- 바르비죵파
- 바우하우스
- 바우하우스
- 바탕음
- 박인환
- 박첨지
- 반연극(反演劇)
- 반예술
- 반향시간
- 반향실
- 발리춤
- 발림
- 발해미술
- 배음렬
- 배치
- 백제미술
- 백제음악
- 백조
- 베르가마스카
- 변조음
- 복수미술
- 봉산탈춤
- 부식기법
- 부조리주의
- 북방르네상스
- 북종화
- 북청사자놀음
- 분리파
- 분산양식
- 분석미학
- 분장사
- 분할주의
- 불교가사
- 불교미술
- 붙임줄
- 브나로드
- 브로드웨이
- 비교음악학
- 비극
- 비더마이어양식
- 비디오아트
- 비브라토
- 비적극
- 비학파
- 사교춤
- 사대기서
- 사부악
- 사상극
- 사상희극
- 사설극장
- 사설시조
- 사슬춤
- 사실주의
- 사실주의
- 사실주의
- 사이음
- 사이코드라마
- 사인파
- 사회극
- 사회희극
- 산대잡극
- 산신문
- 살롱음악
- 삼당시
- 삼일치법칙
- 상음
- 상징주의
- 상징주의
- 상황연극
- 상황희극
- 색면회화
- 색소폰
- 생명파
- 생체역학
- 샤코나
- 서사극
- 서정주
- 서정추상
- 설치미술
- 설화
- 성격희극
- 성음주파수대
- 소극
- 소극
- 소극
- 소극장운동
- 소리춤
- 소외효과
- 소외효과
- 소재
- 소품담당
- 손인형극
- 솟대쟁이패
- 송신무
- 수공예론
- 수난극(受難劇)
- 수사학
- 수심가
- 수용미학
- 수정사실주의
- 순수미
- 순수주의
- 순정율
- 순환극
- 쉬르레알리즘
- 시나위
- 시대정신
- 시문학파
- 시민극
- 시용향악보
- 시이론(詩理論)
- 시인부락
- 시작동기
- 시조
- 시편창
- 시학
- 시학(詩學)
- 신경향파
- 신고전주의
- 신고전주의
- 신고전주의
- 신고전주의
- 신낭만주의
- 신디사이저
- 신라음악
- 신무대기술
- 신무용
- 신문연극
- 신비극
- 신성비평
- 신소설
- 신음악
- 신의론
- 신인상주의
- 신조형주의
- 신조형주의
- 신즉물주의
- 신즉물주의
- 신즉물주의
- 신체미술
- 신체시
- 신체언어
- 신춘문예
- 신표현주의
- 신플라토니즘
- 신형식주의
- 신흥사진운동
- 신희극
- 실용음악
- 실존주의
- 실험미술
- 씻김굿
- 아동극
- 아방가르드
- 아악대
- 아악서
- 아치춤
- 아카데미즘
- 악극
- 악보인쇄
- 악장
- 악장가사
- 악학
- 악학궤범
- 앙소문화
- 양주별산대놀이
- 양주별산대놀이
- 언문일치
- 언어연극
- 에로티시즘
- 여성국극단
- 역사극
- 역할극
- 연극기호
- 연극기호학
- 연극예술
- 연등회
- 연쇄극
- 연작미사
- 열광주의
- 영남화파
- 영웅극
- 영웅비극
- 영웅비극
- 영웅시형
- 예술미
- 예술비평
- 예술사회학
- 예술심리학
- 예술의욕
- 예술지상주의
- 예술창작
- 예술철학
- 예술철학
- 예술학
- 오광대
- 오르피즘
- 오리엔탈리즘
- 오신무
- 오언고시
- 오페레타
- 옥타브
- 왈츠
- 왜곡
- 외래악
- 원각사
- 원근법
- 원무
- 원시동경
- 원시주의
- 원시탈춤
- 원체화
- 월주요
- 위구르미술
- 위구르미술
- 위장악
- 위항문학
- 유머
- 유미주의
- 유미주의
- 유희
- 윤무
- 은유
- 음
- 음계
- 음고
- 음색
- 음색선율
- 음성서
- 음악교육학
- 음악극
- 음악미학
- 음악비평
- 음악사회학
- 음악시학
- 음악심리학
- 음악이론
- 음악치료학
- 음악학
- 음악해석학
- 음정
- 음향학
- 음형이론
- 이동파
- 이명동음
- 이미지즘
- 이상문학상
- 인도미술
- 인상비평
- 인상비평
- 인상주의
- 인상파
- 인터르메조
- 인형극
- 인형극
- 인형조정자
- 일필서
- 입사춤
- 입체주의
- 자연주의
- 자연주의
- 자연주의
- 자오선
- 자율미학
- 작법
- 잔혹연극
- 잡귀풀이
- 장악서
- 재단비평
- 재단비평
- 재담
- 재수굿
- 재퍼니즘
- 재현예술
- 저음
- 전기정량기보법
- 전례극
- 전악서
- 전위연극
- 전자울림악기
- 전자음악
- 절대주의
- 절충주의
- 점묘주의
- 점묘주의
- 정농악회
- 정률음악
- 정밀주의
- 정상음
- 정선파
- 정신치료극
- 정지파
- 정치극
- 정치극
- 정치미술
- 정치시
- 정크아트
- 제1작법
- 제4의벽
- 제의의연극
- 제주굿
- 조광
- 조사
- 조상연극
- 조선문단
- 조선성악연구회
- 조양구락부
- 조율
- 조형
- 조형예술
- 종족음악학
- 종합예술작품
- 종합주의
- 좌상
- 주기파
- 주아주의
- 주파수
- 죽간자
- 줄타기
- 중국고전극
- 중세미술
- 중세연극
- 즉흥극
- 지각
- 지방주의
- 지역극단
- 진경산수
- 진단학회
- 집단창조
- 차폐
- 찬미가
- 참여미술
- 창극
- 창극
- 창조
- 창조사
- 채색조각
- 처용무
- 천재성
- 청기사파
- 청대미술
- 청록파
- 청소년연극
- 청신무
- 초현실주의
- 초현실주의
- 초현실주의
- 총렬주의
- 추상미술
- 추상표현주의
- 춘추전국시대미술
- 취향
- 칠부기
- 칠언율시
- 카프
- 컨셉트
- 코러스
- 쾨헬
- 퀼른화파
- 큐비즘
- 타시즘
- 탈
- 탈놀이
- 탈춤
- 탈춤
- 태서문예신보
- 템푸스
- 토론연극
- 통일신라미술
- 퇴폐주의
- 트루베르
- 특성미
- 파괴미술
- 판놀음
- 판소리
- 판소리
- 판토마임
- 팔관회
- 팔관회
- 팝아트
- 퍼포먼스
- 펑크아트
- 폐관진동
- 폐허
- 포비즘
- 포스트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폴로네즈
- 표제교향곡
- 표현미학
- 표현주의
- 표현주의
- 표현주의
- 풍물굿
- 풍물놀이
- 풍속희극
- 풍습희극
- 프리미티비즘
- 하회별신굿탈놀이
- 학교극
- 한국정악원
- 한시
- 합성음
- 해금
- 해상화파
- 해석학
- 해외문학파
- 해체
- 행동미술
- 향가
- 향악정재
- 향찰
- 허무주의
- 허튼춤
- 헥사코드
- 헬레니즘
- 현울림악기
- 협화
- 형식
- 형식
- 형식미학
- 형식주의
- 형식주의
- 혹성춤
- 혼례춤
- 혼합극단
- 홍동지
- 화정파
- 환경디자인
- 환경미술
- 환경연극
- 환상미술
- 황산화파
- 회귀춤
- 훈민정음
- 흑인미술
- 흑인연극
- 흥분양식
- 희극
- 희비극
- 흰색소음
- 히스토리아
기악
- 장르
- 무용 /무용사 /기타
- 요약설명
- 중국 중부의 오(吳)지방의 음악을 말하며 오악(吳樂)이라고도 부름.
- 상세설명
- 중국 중부의 오 지방의 음악을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추고천왕 20년(612)에 백제인인 미마지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앵정에서 진야라는 수제자와 신한제문(新漢濟文)에게 전수하였다. 기악은 법륭사 정창원 등에 남아있는 가면이나 법륭사, 서대사 등의 자재장에 의하면 사자(師子) 사자아, 치도 오공, 오녀, 금강,가루다, 곤륜, 역사, 바다문, 대고, 대고부,취오왕, 취호종등이 가면을 쓰고 행진하며 어떤 사물을 흉내내는 희극/연극적인 무언극/연극이라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