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분청자인화문대접(3001018)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자인화문대접(3001018)
국적/시대
한국/조선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대접은 입지름이 넓고 바닥은 입지름보다 좁은 그릇을 말한다. 분청사기는 분장회 청사기의 줄임말이다. 분청사기는 청자와같이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 위에 백토로 표면을 바르고 그 위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 구워낸 것이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 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 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 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 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이 분청사기대접은 일반적인 대접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입술 부분이 살짝 반전된 형태이다. 대접의 내부와 바깥 부분에 동일한 인화(印花) 기법을 사용하였다. 인화는 고려 말의 상감청자에서 부분적으로 등장하여 조선 분청사기에서 활짝 꽃피웠는데 인화문 분청사기는 세조 연간에 절정을 맞이하며 그 소재로는 국화문이 가장 애용되었다.
활용설명
대접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인화 기법을 사용한 문양을 원형 그대로 표현해 분청사기의 담백한 아름다움을 드러내도록 만들었다. 대접은 요즘에도 사용하는 식기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식기의 전통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이나 소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