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둥근 바닥 토기(3000974) 크게보기 3D 뷰어
둥근 바닥 토기(3000974)
국적/시대
한국/삼국
재질
토제/경질
용도
저장, 운반
소장처
부산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레진(SLA/DLP)
원천유물설명
토기는 진흙으로 빚어서 유약을 사용하지 않고 높은 불에 구워 만든 그릇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토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는데 항아리도 이때 생겨났으리라 짐작한다. 신석기시대에는 빗살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덧띠 무늬 토기 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며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토기로 나눈다. 본 토기는 경북 청도 오진리고분에서 출토되었는데 최하층에서 출토된 토기 중에서 유일하게 완전한 기형으로 복원되었다. 몸통의 위쪽은 거의 직립하면서 아가리에서 약간 안으로 오므려드는 옹형(甕形)이다. 입술 지름이 좁고 그릇의 높이가 높아 소위 포탄형에 가깝다. 문양은 수직 되게 전면 시문하였으나, 몸통 아랫부분에는 표면이 박리되어 잘 관찰되지 않는다. 외면은 오진리 최하층에서 출토된 다른 토기와 달리 다른 시문 도구를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마 철(凸) 부분보다 요(凹) 부분의 폭이 넓은 목판을 이용하여 위에서 아래로 길게 그었다고 보인다. 내면은 주로 가로 방향의 목판 긁기로 다듬었고 아가리 내 외면을 다시 물 손질로 다듬었다. 아가리 바로 아래의 원공(圓孔)은 내 외면에서 각각 1/2씩 마주 뚫었다. 바닥에는 중심에서 직경 3㎝정도까지 태토 속의 석립이 동심원상으로 밀려 이동한 흔적이 관찰된다.
활용설명
바닥이 둥근 토기의 형태를 그대로 재현해 생활소품을 개발하였다. 둥근 바닥, 포탄과 닮은 토기의 형태에 집중한 모습이다. 깨진 부분이나 접합된 부분 등을 완형으로 만들고 정리하여 보기 좋게 만들었다. 토기의 길쭉한 형태를 통해서 당시 사람들의 미감을 엿볼 수 있으며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 가치가 높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