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나자식물 송백류의 솔방울(3000883) 크게보기 3D 뷰어
나자식물 송백류의 솔방울(3000883)
국적/시대
아르헨티나/중생대
재질
화석
용도
연구용
소장처
문경석탄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소나무와 잣나무를 합쳐서 ‘송백(松柏)’이라고 한다. 송백류는 겉 씨 식물, 즉 밑씨가 씨방 안에 들어 있지 않고 드러나 있어 그 위에 꽃가루가 달라붙어 수정을 하여 종족을 보존시키는 식물이다. 이를 ‘나 자(裸子)식물’이라고도 한다. 겉 씨 식물에는 송백류 이외에도 은행나무와 소철 따위가 속하며, 속씨식물 즉 밑씨를 씨방 안에 넣어두고 있어서 곤충들을 이용하여 수정을 하게 하는 식물들보다 먼저 지구 상에 출현하였다. 송백류는 석탄기 말인 2억 8,600만 년 전에 출현하였다고 한다. 데본기에는 늪지대에 큰 삼림이 만들어졌다. 주로 원시 고사리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이 숲 속에는 전갈과 곤충, 거미가 살기 시작하였다. 석탄기에는 원시 고사리들이 더욱 번성하였으며 석송류인 레피도덴드론(Lepidodendron)과 쇠뜨기풀 종류로 속새류의 조상인 칼라미테스(Calamites) 등은 물론 송백류까지 등장하여 지구 위는 그야말로 식물의 낙원을 이루었다. 이러한 식물들이 오늘날 석탄층을 만드는 근원이 됨은 물론이다. 페름기에는 석탄기의 대형 식물들이 자취를 감추고 송백을 비롯한 은행과 소철 등 겉 씨 식물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 겉 씨 식물들은 중생대에도 크게 번성하였는데, 특히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발견된 트라이아스기 송백류의 화석(규화석)은 그 크기가 지름 약 3m, 높이는 무려 6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꽃이 피는 속씨식물들 곧 ‘피자 (被子)식물’들은 백악기 후기에 나타나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백악기 이후의 식물 상태는 오늘날과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낙엽수의 대부분은 이때 등장한 속씨식물로 식물 중에서는 가장 발달한 종류가 된다. 이 솔방울 화석은 중생대의 식물화석 가운데 구 과목의 한 종류이다. 이는 구 과목의 소나무에서 떨어진 솔방울이 화석이 된 것으로 그 모양은 지금의 솔방울과 다를 바 없다. 구 과목은 현생 나자식물 중 가장 중요한 종류이며, 대부분 솔방울 모양의 열매를 가지므로 구과 식물이라고 한다. 현생 구 과목 식물 중 대표적 종류는 소나무, 측백 나무, 주목 등이 있다. 상부 석탄계와 폐름계에서 산출되는 소나무류(Lebachia)는 코데이타목 식물과 전형적인 구 과목 식물의 중간형을 지시하며, 중생대 이후 여러 가지 종류의 구 과목 사이의 형태적 유사성과 화석 기록에서 이들이 거의 같은 시기에 출현하였으므로 코데이타목에서 구 과목으로의 진화라기보다는 석탄기 이전의 공통 조상형으로부터 각각 발전하였으니라는 것이 보편적인 해석이다. 트라이아스기를 지난 후, 이 구 과목은 매우 다양해져서 낙우송과, 나한송과, 측백 나무과, 소나무과 등으로 번성하였다. 중생대에서 자주 보고되는 구 과목 식물 잎 화석으로는 Brachphyllum, Podozamites 등이 있다. 신생대의 구과 식물은 현생 구과 식물과 매우 유사한 것이 특징이다.
활용설명
솔방울 화석을 활용하여 교육 및 학습 보조재로 개발하였다. 화석에서 보이는 솔방울의 형상을 그대로 재현한 것으로 화석에 대해 공부하고, 지질시대를 측정하거나 퇴적 당시의 환경을 해석하여 고기후를 알게 해준다. 솔방울의 생물학적 진화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