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쏠림' 막는다···박사후연구원 법적 지위 보장
임보라 앵커누리호 발사 성공 등으로 한국은 명실상부 과학 기술 강국의 반열에 올라섰습니다.문제는 앞으로 주요 첨단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들이 충분하지 않다는 건데요.특히 의대 쏠림 현상이 사회 문제로 거론될 만큼 심각합니다.한덕수 국무총리가 이공분야에 우수 인재가 유입되도록 처우를 개선하고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김용민 기자최근 대학 입시에서 의대 쏠림 현상이 심각합니다.다양한 경험을 해야 할 초등학생들이 의대 입시 학원에 다니고 국내 최고 대학의 이공계 진학자들이 자퇴 후 진로를 바꾸는 등 사회 문제로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이 같은 현상으로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핵심 인재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제2차 인재양성 전략회의(장소: 오늘 오전, 정부서울청사)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인재 양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녹취 한덕수 국무총리"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처우 개선과 함께 우수 해외 인재를 적극 유치하겠습니다. 또한 융복합 시대에 적합한 자율적이고 유연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학사제도를 대폭 개선하겠습니다."정부는 대학 구성원에 박사후 연구원을 명문화해 법적 지위를 보장하고, 이공계 석박사생 인건비와 장학제도도 확대합니다.비슷한 기간 의사의 초봉에 비해 이공계 석박사의 처우가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겁니다.또 지식재산권을 기반으로 한 보상 체계를 정비하고, 이공계 인재의 창업 지원 대책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정부는 이와 함께 에코업 인재 양성방안도 발표했습니다.기후, 물, 자원순환 등 유망한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해 2027년까지 8만 명의 녹색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습니다.원자력과 수소 등 14개 분야 로드맵을 마련해 에너지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하반기에 항공·우주 미래 모빌리티와 첨단부품 인
- 출처
- 한국정책방송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