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한글날에 어울리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보세요!
-제7회 전국 상품 전시회('67)-펄벅 희망센터 기공('67)-여류 비행사의 비행('67)-미스코리아 선발('67)(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정한 거래('82)-제1회 대한민국 봄 미술 대전('82)-제1회 무궁화배 대상전 경마대회('82)(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양잠 시범대회('74)-도자기 전시('74)-한국의 경영자상 시상식('74)-제2회 전국 새마을 씨름 경연대회('74)-제8회 박정희 대통령배 쟁탈 고교 야구경기('7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길 따라 풍물 따라('81)-이색 수출('81)-대한민국 미술전람회('8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1회 운전사의 날 기념식('71)-제10회 향토문화공로상 수상자('71)-학생들의 장병 위문('71)-이 닦기 대회('71)-국악예술제('71)-제2회 보림문화제('71)-외국인의 우리나라 국악·무용·가요 경연대회('71)(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영국의 공중쇼('63)-여자 기성복 패션쇼('63)-딸기 요리 강습('63)-연고 축구전('63)-제2회 전국 학생 특수체육 경조대회('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강 보건 주간('68)-적성검사 세미나('68)-제1회 사무기기 전시('68)-전국 상품 전람회 개관('68)-오늘의 저축 내일의 행복('68)(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총리 지방 시찰('66)-신인예술상 시상식('66)-이원등 상사 동상 제막식('66)-영중교 가설공사 기공식('66)-제주도 어업전진기지 기공식('66)-부대 대항 태권도 시합('66)(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만 쌀 도입('63)-신합의 제기 기념 공연('63)-제13회 백림영화제 참가를 위해 출국('63)-일일 파출소장으로 임명된 배우들('63)-미스코리아 선발('63)-엘리자베스 여왕 직위 10주년('63)(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 개발 감사 세미나('84)-서울시립무용단 창단 10주년 기념 공연('84)-보렴 승무 공연('84)-제14회 대통령배 축구 결승전('84)-제39회 청룡기 쟁탈 전국 고교 야구 선수권대회 결승전('84)(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버트 케네디 미 법무부장관 내한(64')
*시사 줌인-로버트 케네디 미 법무부장관 내한(64') *시사 줌인-모범운전사 표창(64') *시사 줌인-수출목표 10억불(70')*시사 줌인-우리는 건설한다(70') *그때 그 시절-설날(92') *문화예술-성서의 글자로 된 성화(58')(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정책방송원
내일을 잡(job)아라 21부 - 이런 직업 보셨나요?
내일을 잡(job)아라 21부 - 이런 직업 보셨나요?(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휴폐업 가장에게도 '긴급생활비'지원
*휴폐업 가장에게도 '긴급생활비'지원*믿을 수 있는 직거래장터, 농수산물 사이버거래소*노인 맞춤형 일자리 창출, 시니어 클럽(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에게 듣는다
전재희 보건복지가족부 장관에게 듣는다(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9 국립극단 특별기획공연 스튜디오 배우열전 - 통닭
2009 국립극단 특별기획공연 스튜디오 배우열전 - 통닭(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문경새재를 넘어 과거로 떠나는 여행!
*문경새재를 넘어과거로 떠나는 여행!*생명을 불어넣는 손끝의 예술목조각장 박찬수*김종관 감독의 '낙원'(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디어산업, 세계적인 추세는?
미디어산업 발전법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방송시장의 진입문턱을 낮추는 것이 이번 신문법과 방송법 개정안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미디어선진국이라고 할 수 있는 다른 나라의 상황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신문과 방송의 벽을 허무는 이른바 신방겸영. 방송법 개정안 논쟁에서 주요 쟁점 가운데 하나는 과연 신방겸영이 미디어산업 경쟁력을 높여주는지, 실제 국제표준은 어떤가 하는 문젭니다. 미디어 산업의 선진국 미국의 경우 동일지역이 아니라면 신문과 방송의 겸영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기업과 경영의 측면에서 보자면 이를 막을 명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부산에서 방송업을 하는 경우 부산지역신문은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이고 광주나 대전 신문운 소유할 수 있죠. 그런 부분적 제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신문방송 겸영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렇게 단언적으로 얘기하는 것은 오해죠.” 즉, 동일지역 내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는 금지하고 있지만 특정 기업이나 신문사의 방송시장 진입은 활짝 열어 놓고 있습니다. 영국도 전국 신문시장 점유율 20%를 넘는 신문사는 지상파 방송 채널의 면허 취득을 제한하고 있지만 신문과 방송사간 지분의 교차소유는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이 규정으로 지상파 진입을 제한받는 곳은 언론재벌 머독이 소유한 더타임즈 한 곳 뿐입니다. 법의 취지가 한개사에 의한 여론 과점을 최소한 막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외에도 유럽의 대다수 미디어 선진국들도 우리나라처럼 엄격한 칸막이를 치고 있지는 않습니다. “대부분 신문이나 방송의 교차 소유가 허용이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만이 원천적으로 신문이나 대기업의 방송진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를 원천적으로 금지
국회의원 국군 위문(64')
*시사 줌인-국회의원 국군 위문(64') *시사 줌인-수출진흥(64')*시사 줌인-확장되는 철도건설(64') *그때 그 시절-수재민에 무료 진료(63')*그때 그 시절-워커힐 준공(63') *문화 예술-영사 기술 강습(60')*문화 예술-체육상 시상(61') *해외 토픽-무너진 댐(64')(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자의 일생
1968년 개봉 감독 :신상옥 주연 : 최은희, 남궁원 KTV 시네마에서 함께 합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 - 여자의 일생(1)
주부가 웃으면 대한민국이 행복하다
-주부가 웃으면 대한민국이 행복하다-이남훈 과장/여성부 여성정책국 성별영향평가과(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520 www.ktv.go.kr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해외 선진국, 브랜드 제고 위해 총력
앞서 국가브랜드위원회 출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국가브랜드는 한 국가에 대한 호감도와 신뢰도를 총칭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국가브랜드 가치는 어느 정도 수준이고, 해외 선진국은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가브랜드는 그 나라의 역량을 평가하는 무형의 자산으로 그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13위의 경제규모에 비해 매우 낮게 평가받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2008년 안홀트 국가 브랜드 지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조사 대상국 50개 나라 가운데 33위에 그쳤습니다. 이같은 국가브랜드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제품은 모든 면에서 동일한 미국산 제품과 비교해 66%수준으로 저평가되고 있습니다.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가부끼, 스시, 기모노와 스모처럼 가장 일본적인 것을 가장 세계적인 것으로 만든 일본은 전통문화를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키는데 성공했습니다. 일본은 지난 2005년 신일본양식이라는 국가브랜드를 만들어 일본 전통문화의 현대적 디자인과 기능으로 재 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고, 이후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신일본양식협의회를 구성해 구체적인 사업을 진행중입니다. 일본의 생활문화에 녹아있는 장인정신을 내세워 정교함을 자랑하는 스위스와 더불어 일본의 기술력 또한 자동차와 전자제품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세계 정상으로 평가받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유대인 대량학살, 나치 등 두고두고 영화 소재로 사용되는 독일의 부정적 이미지는 지난 2006년 독일 월드컵을 계기로 변화를 맞았습니다. 독일은 국가브랜드 LAND of IDEA 캠페인을 시작한 데 이어 민관 공동기구를 설치해 국가브랜드 캠페인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
관련기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