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고지 사항
사용음원:
한국저작권위원회-임다솔의 "우리네 소리를 듣다" 은 CC BY라이선스로 제공됩니다.
사용폰트 :
고운바탕 ,에스코어드림, 굴림-Regular, KoPubWorld 바탕체-Medium, Noto Sans KR-Regular
사용 생성형 AI :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Kling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단재신채호생가지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광복 80주년을 맞이하는 2025년
바쁜 일상 속.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인물이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대전 중구 어남동
이곳은 단재 신채호가 1880년 태어난 생가지이다.독립운동가, 역사학자, 사상가 등 다양한 활동을 했던 신채호 그의 유년시절은 어떻게 기록되었을까?
신채호는 조부인 신성우로부터 유학교육을 받게 되었는데요. 손자인 신채호에게 6살 때부터 한학교육을 접할 수 있도록 유학교육을 시켰고, 그래서 이미 10세 전으로 신채호가 통감절요나 사서삼경
논어, 맹자, 대학, 중용, 시경, 서경, 역경을 이미 다 섭렵했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신씨 가문의 대단한 천재가 났다. (라는) 소문들이 자자했다고 합니다.
생가지 인근에는 홍보관이 있다. 이곳에는 신채호의 생애와 업적을 전시하고 있다. 제가 평소에 역사에 관심이 많아서 박물관도 다니곤 하거든요. 근데 집 주변에 신채호 선생님 생가지가 있다고 해서
관람 차 방문했습니다.
Q.신채호를 어떤 인물로 알고 있는지?
독립을 위해 (헌신)하신 독립운동가라고 알고 있어요.
1910년 일제 강점기 이후 신채호는 해외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이어나갔다. 특히 독립전쟁을 강조하는 독립운동을 강력히 추진하였으며, 1922년 의열단의 행동강령 조선혁명선언문을 작성하였다.
조선혁명선언문에서 신채호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무엇이었을까?
한마디로 줄여서 대답을 한다면, 폭력혁명으로 속박상태에 있는 식민지 상태를 벗어나야 된다 라는 것이었고요. 이런 폭력 투쟁론을 통해서, 제국주의 식민지 경영을 비판하고 그걸 통해서 모두가 자유로운 상태, 모두가 창조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상태 그런 상태를 성취해야 된다. (라는 것을)주장을 했던 것입니다.
1936년 신채호는 조국의 독립을 보지못한 채, 뤼순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신채호 선생이 광복 이후 생가로 돌아왔다면 어떨까?
생가지 보고 엄청 놀라시지 않으실까요?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단재의 발자취를 따라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