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80년 전 그날, 오늘 우리가 걷는 이유”
1919년의 봄,
아우내 장터에 울려 퍼진 “대한 독립 만세”의 외침.
그 중심에는 한 소녀가 있었습니다.
작은 생가에서 시작된 저항은 지금도 천안의 땅 위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이 영상은 유관순 열사 생가, 기념관부터 아우내 장터, 독립기념관까지
현재 살아가는 우리가 천안 곳곳에 남겨진 과거 독립운동의 흔적을 따라가는 여정입니다.
- 사용 음원
본 콘텐츠는 공유 마당의 기증 저작물에 따라 [공유마
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304489&menuNo=200020#self
저작권자: 소향 외 11]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공유 마당의 CC BY 라이선스에 따라 [공유마
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48780&menuNo=200020 저작
권자: 임다솔]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사용 폰트
조선100년체 - 조선일보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선스 정책 확인 완
료)
부크크 명조 - (주)부크크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선스 정책 확인 완
료)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VOLI의 AI보이스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독립기념관과 천안 사적관리소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
니다
대본
1919년의 봄,
아우내 장터에 울려 퍼진 “대한 독립 만세”의 외침.
그 중심에는 한 소녀가 있었습니다.
작은 생가에서 시작된 저항은 지금도 천안의 땅 위에 고스란히 남아 있습니다.
이 영상은 유관순 열사 생가, 기념관부터 아우내 장터, 독립기념관까지
현재 살아가는 우리가 천안 곳곳에 남겨진 과거 독립운동의 흔적을 따라가는 여정입니다.
- 사용 음원
본 콘텐츠는 공유 마당의 기증 저작물에 따라 [공유마
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304489&menuNo=200020#self
저작권자: 소향 외 11]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공유 마당의 CC BY 라이선스에 따라 [공유마
당: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13048780&menuNo=200020 저작
권자: 임다솔]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사용 폰트
조선100년체 - 조선일보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선스 정책 확인 완
료)
부크크 명조 - (주)부크크 (기관 및 영리적 사용 가능, 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선스 정책 확인 완
료)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VOLI의 AI보이스를 활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독립기념관과 천안 사적관리소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
니다
대본
00;00;01;05 - 00;00;03;05우리의 시간이 멈췄던 날00;00;04;00 - 00;00;05;49한(恨) 맺힌 침묵을 깨고00;00;09;32 - 00;00;11;29울려퍼졌던 한(一) 목소리00;00;13;05 - 00;00;14;53대한독립만세!00;00;16;03 - 00;00;18;11우리는 그들의 목소리를 따라00;00;18;36 - 00;00;19;48오늘을 걷습니다00;00;30;19 - 00;00;32;36그들이 외친 독립을 기념하는 곳00;00;33;17 - 00;00;34;44독립기념관입니다.00;00;39;12 - 00;00;41;10나라를 수호하려는 결의와00;00;44;04 - 00;00;45;29피로 지켜낸 태극기00;00;48;02 - 00;00;50;051919년 3월 1일00;00;50;40 - 00;00;52;47모두가 한 마음 한(韓) 뜻으로00;00;53;16 - 00;00;54;59독립을 말하고 있었습니다.00;01;16;25 - 00;01;18;22그날의 현장 한가운데에00;01;18;41 - 00;01;20;34한 소녀도 있었습니다.00;01;25;30 - 00;01;28;16유관순은 그날의 한 뜻을 이어받아00;01;29;59 - 00;01;31;39병천의 작은 집에서00;01;32;19 - 00;01;35;19거대한 저항을 준비했습니다.00;01;37;55 - 00;01;40;55열여섯, 어린 소녀의 저항은00;01;42;10 - 00;01;45;10나라를 빼앗긴 서러움이자00;01;45;22 - 00;01;48;22그녀가 문을 나서게 했던 원천이고00;01;51;11 - 00;01;53;11독립 열사의 길이었습니다.00;01;57;19 - 00;01;59;241919년 4월 1일00;02;04;36 - 00;02;06;55유관순과 3천 군중의 외침00;02;07;35 - 00;02;09;14대한독립만세!00;02;09;56 - 00;02;11;38대한독립만세!00;02;12;12 - 00;02;13;07만세!00;02;13;38 - 00;02;14;33만세!00;02;15;37 - 00;02;18;37두려움보다 절박함이 앞섰던 그 순간00;02;19;31 - 00;02;23;14유관순은 그 함성에 한복판에 서 있었습니다.00;02;24;45 - 00;02;28;44그날의 소리는 오늘도 이곳을 스쳐 갑니다.00;02;29;40 - 00;02;32;52보이지 않아도 들리는 기억 속 그날처럼00;02;36;15 - 00;02;38;20이제 그들의 곁에 휘날리는00;02;38;20 - 00;02;41;21태극기는 한 점의 부끄러움이 없습니다.00;02;45;51 - 00;02;46;53유관순00;02;48;37 - 00;02;50;02순국자를 추모하며00;02;52;05 - 00;02;54;40그들의 이름을 마음 깊이 새깁니다.00;02;59;20 - 00;03;02;24그들이 있었기에 피어날 수 있었던 우리가00;03;03;00 - 00;03;04;33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니까00;03;28;18 - 00;03;30;54그들의 영을 위로하는 추모의 자리에서00;03;33;09 - 00;03;34;57우리는 굳게 다짐합니다.00;03;38;22 - 00;03;39;59피땀으로 지켜00;03;39;59 - 00;03;44;17이 터전을 물려주신 가신 임들의 고마움을 되새겨00;03;44;17 - 00;03;45;24겨레여00;03;45;24 - 00;03;47;06이 나라를 길이 빛내자00;03;50;52 - 00;03;53;07독립 열사의 희생이 이뤄낸 광복00;03;54;37 - 00;03;56;53우리의 다짐으로 지켜낸 80년00;03;58;36 - 00;03;59;09오늘00;03;59;46 - 00;04;02;17우리의 시간은 계속 흐릅니다.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광복의 길, 오늘의 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