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영상

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체육
  • 제주

(문화PD) 직관의 새로운 정의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3:13
등록일
2025-10-16

더이상 평범한 경기장으로는 사람들을 사로잡을 수 없다?! 스마트해진 우리 일상 만큼 경기장도 스마트해지고 있는데...

스마트 경기장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제주월드컵경기장에 들려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고지 사항>

- 사용 음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대구광역시(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63559&division=img)]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인천광역시(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31268&division=img)]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19684&division=img,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39631&division=img)]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제주콘텐츠진흥원(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61591&division=video, https://www.kogl.or.kr/recommend/recommendDivView.do?atcUrl=personal&recommendIdx=86856&division=vide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사용 폰트

아래 첨부된 모든 폰트는 라이선스를 확인 후 무료 사용 가능 확인 절차를 거쳤음을 고지드립니다

Kopub 서체 (한국출판인의회), 이사만루체 (공게임즈 X 폰트릭스), MBC 1961(문화방송), 이서윤체 (흥국생명), 비트로체 (학산), tt투게더 (투게더그룹) 조선신명조 조선일보사)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제주SK FC, Drone High의 자료를 일부 사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제주월드컵경기장 표지판 앞)
가연 : 여러분! 제가 지금 있는 이곳이 어디인지 아시겠나요?
저는 지금 한국에서 가장 똑똑한 경기장에 나와있는데요
‘스마트 경기장’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제주 월드컵 경기장에 나와보았습니다!
[문화PD 인트로]
(제주월드컵경기장 인서트)
가연 : 이곳은 제주의 자연과 문화를 품은 경기장인 제주 월드컵 경기장인데요. 
경기장의 진입로는 제주 전통 초가집의 ‘올레’와 ‘정낭’을 형상화했고, 
경기장 형태는 360여 개의 오름을 닮은 오목한 구조로, 
지하 14m에 위치한 그라운드는 강풍을 막아줍니다. 
경기장 북쪽에는 한라산, 남쪽에는 바다가 보이는 독특한 구조 덕분에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기장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그래픽)
가연 : 스포츠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면서 ‘직관’에 대한 관심도 함께 커지고 있죠.
이제는 구단만의 특색 있는 ‘경기장’이 팬심을 잡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 프로스포츠 업계는 ‘초개인화 마케팅’으로 팬들과의 접점을 늘려가고 있는데요,
이곳 제주 월드컵 경기장은 스마트 티켓처럼 모바일 기반의 기술은 물론,
제주에서만 사용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김가연PD가 직접 등장해 소개를 한다)
가연 : ‘스마트 경기장’, 들어보셨나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프로스포츠협회와 함께 2018년부터 추진한 데이터 기반 지능형 경기장인데요,
(제주월드컵경기장 인서트)
가연 : 제가 있는 이곳 제주월드컵경기장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제주 SK FC 어플리케이션 실사용 모습)
가연 : 관중들은 짧은 설문을 통해 제주 월드컵 경기장 와이파이에 10초 만에 로그인할 수 있고, 
제주 구단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팬 맞춤형 서비스와 마케팅에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경기장을 체험해본 결과 ‘나의 좌석 구역 선택’ 시스템이 
경기장 좌석을 간단한 도식 형태로 시각화해주고,
내가 어디에 앉았는지 단번에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 월드컵경기장을 방문한 사람들도 쉽게 자리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홈 팬 뿐만 아닌 원정 팬들에게도 꽤 유용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편의시설 혼잡도 상태’를 통해 경기장에 있는 편의시설, 
(관련 인서트 사진)
가연 : 매점과 화장실 등에 대한 혼잡도 상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도입한 ‘스마트 게이트’로도 빠르고 정확한 입장과 다양한 혜택, 실시간 정보 제공으로 새로운 경기장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장 인서트)
가연 :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는 전광판을 올려다볼 필요가 없었는데요
와이파이만 연결하면 앱 설치 없이도 접속 가능한 ‘내 손안의 전광판’ 서비스 덕분이었죠.
(내 손안의 전광판 사용 영상)
가연 : 당시 이 서비스는 선발 라인업, 실시간 경기 분석, 선수 위치 정보는 물론, 벤치 캠까지
모두 스마트폰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됐습니다.
하이라이트 장면은 실시간으로 리플레이되었고,
이벤트 참여나 인근 맛집 정보도 함께 제공돼
관중은 축구 외에도 다양한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경기장 곳곳 와이파이 AP 설치 장면)
가연 : 이 서비스는 2020년 와이파이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경기장 내에 총 66대의 AP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2021년 3월 광주전에서 처음 정식 도입되었으나, 현재에는 아쉽게도 서비스가 진행중이지 않다고 합니다
(VR 체험하는 사진)
가연 : 앞으로는 VR 체험, 라커룸 라이브처럼
팬이 직접 ‘경기장 안으로 들어가는’ 색다른 콘텐츠도 준비 중이라고 하는데요.
이제 경기는 단순히 ‘보는’ 것을 넘어,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시작점에 있는 제주 월드컵 경기장을 소개해드렸습니다!.
[문화PD 아웃트로]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직관의 새로운 정의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