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문화유산
- 경기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디지털시대, 우리가 역사 속 인물을 기억하는 방법
- 제작
- 문화포털
- 재생시간
- 2:38
- 등록일
- 2025-08-08
경기도 화성시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전시가 열린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방문한 김진경 문화PD..!
독립운동가 ‘조문기’의 독립운동 정신을 전시를 통해 배우고 언리얼 엔진으로 ‘조문기’의 메타휴먼을 제작한다!
[고지사항]
- 사용 음원 1. On DeadIy Land
- 브금대통령 2. In Desert
- 브금대통령 3. 6.6
- 브금대통령 **Music provided by
- 브금대통령**Track : 6.6 - https://youtu.be/LrtnRjRTADE?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On Deadly Land - https://youtu.be/qfbt2catqVg? feature=shared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Track : In Desert - https://youtu.be/DEBEMV27sL4? feature=shared
- 사용 폰트 프리텐다드 - 길형진(orioncactus)(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한글재민체3.0
- 박재갑(2025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KCC손기정체 - 한국저작권위원회(출처(저작자)만 밝히면 상업/비영리목적으로 이용가능, 2025 년 8월 해당 기관 라이센스 정책 확인 완료)
- 사용 생성형 AI 본 콘텐츠는 생성형 AI OOO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 사용 이미지, 영상 등 자료와 촬영 협조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기획전시의 자료를 일부 촬영하여 제작 하였습니다.
본 콘텐츠는 사전동의를 구한 후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의 촬영 협조를 받아 제작하였습니다.
대본
(내레이션) 독립운동가 조문기는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 태어났다. 어린시절 함께 지낸 외할아버지의 항일애국정신에 영향을 받은 조문기는 일찍이 식민지 국가의 현실을 깨닫고 독립운동을 위해 일본으로 향했다.
1945년 3월 한국으로 돌아온 조문기는 유만수와 강윤국 등과 함께 비밀결사 ‘대한애국청년당’을 조직하여, 친일파 박춘금을 비롯한 친일 거두와 식민통치기관을 처단하는 목표를 세운다. 때마침 박춘금이 부민관에서 아세아민족분격대회를 개최한다는 소식을 접한 이들은 직접 제작한 시한폭탄을 대회장에 설치하여 박춘금이 연설하고 있을 무렵 폭탄을 터트렸다. 성공적으로 마친 부민관 폭파 의거는 일제의 패망 직전까지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를 보여준 마지막 의거였다.
부민관 폭파 의거 이후, 1945년 8월 15일 조문기가 그토록 바라던 독립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조문기는 부끄러웠다. 온전한 한 나라의 독립이 아닌 독립 이후 분단된 나라 그리고 친일파가 권력을 잡고 있는 현실에 독립운동가로서 통일된 자주 독립의 나라를 만들지 못한 죄책감 때문이었다. 광복 이후, 친일청산은 현시대의 독립운동임을 외치며 친일청산을 위해 끝까지 노력했다.
‘완전한 자주독립’이라는 목표를 이루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떳떳한 독립운동가가 될 수 없었던 조문기는 친일청산이라는 과업을 후대에라도 전수하겠다고 다짐했다.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광복 80주년 특집 ㅣ 디지털시대, 우리가 역사 속 인물을 기억하는 방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