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공감 > 문화TV 문화영상

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 문화산업
  • 전체

(문화PD) 한일 양국이 함께 써 내려갈 이야기 |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제작
문화포털
재생시간
4:55
등록일
2025-10-01
 
2025년 문화체육관광부 주요 정책 중 하나인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계기 문화, 스포츠 등 분야의 교류 확대를 소개한다.
생생한 소식과 함께 두 손을 맞잡고 미래로 나아갈 한일 관계 이야기를 만나본다.
#한일국교정상화60주년 #문화체육관광부 #문체부
[고지 사항]
[사용 음원]
▶본 저작물은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에서 자유이용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김재영의 NEWS 2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에서 자유이용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김성원의 City Key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에서 자유이용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김성원의 Make It Happen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에서 자유이용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김성원의 Maiden Road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저작권위원회 공유마당(gongu.copyright.or.kr)에서 자유이용 라이선스로 제공되는 김성원의 Dreams를 이용하였습니다.
[사용 글꼴]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www.kotra.or.kr)의 공공저작물 코트라 볼드체(2021년 제작)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www.jeongseon.go.kr)의 공공저작물 정선아리랑체(2019년 제작)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keris.or.kr)의 공공저작물 학교안심 여행(2024년 제작)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SIL OFL(Open Font License)에 따라 Pretendard 글꼴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SIL Open Font License, Version 1.1에 따라 IBM Corp.에서 제공하는 IBM Plex Sans JP 글꼴을 이용하였습니다.
[사용 이미지 및 영상]
▶본 저작물은 외교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TF의 협조를 얻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공식 로고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제7조에 의한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및 제35조5에 의한 저작물 이용, 저작권법 제39조에 의한 저작자 사후 70년이 지난 만료저작물(퍼블릭 도메인)인 태극기 이미지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일본 저작권법 제13조 2호에 해당하여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된 일장기 이미지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평화의 사절단, 200년 역사 길을 다시 걷다 - 2025 조선통신사 축제 공연 사진을 이용하였습니다.
▶Paper Texture, Paper Background(By ED-DAHBY) - Envato Elements LICENSE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한국학중앙연구원(www.aks.ac.kr)의 공공저작물 조선통신사 행렬도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조선통신사 축제의 꽃 행렬, 광복로에서 상설 재현되다 - 조선통신사 약식 행렬 사진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국제교류의 상징, 북항에서 조선통신사 축제를 열다 - 조선통신사 축제 포스터를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국제교류의 상징, 북항에서 조선통신사 축제를 열다 - 조선통신사 행렬 사진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국제교류의 상징, 북항에서 조선통신사 축제를 열다 - 조선통신사선 사진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 [보도자료] 평화의 사절단, 200년 역사 길을 다시 걷다 - 2024 쓰시마 행사 조선통신사선 사진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부산문화재단(www.bscf.or.kr)의 공공저작물[보도자료] 조선통신사, 유네스코 등재 소식에 다시 주목받아 - 유마도 포스터를 이용하였습니다.
[썸네일 사용 저작물]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keris.or.kr)의 공공저작물 학교안심 여행(2024년 제작)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SIL OFL(Open Font License)에 따라 Pretendard 글꼴을 이용하였습니다.
▶본 저작물은 외교부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TF의 협조를 얻어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공식 로고를 이용하였습니다.

(테이블에 앉아 진행하는 PD의 모습)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다양한 문화, 스포츠 등의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자세한 소식 전할 홍준서 기자 연결합니다

 

[문화PD 인트로가 재생된다]

 

(PD가 서서 내용을 이야기 한다)

한일 관계는 흔히 일의대수(一衣帶水)

물 한 줄기를 사이에 둔 가까운 이웃으로 표현되고는 합니다

바다를 사이에 둔 이웃 국가인

대한민국과 일본은 다양한 문화를 주고받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으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착용하고 있는 배지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공식 로고 배지인데요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공식 로고는

양국의 국기 문양을 활용해

한국과 일본이 한데 어울리는 가운데

서로 존중하며 함께 협력해 나가자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합니다

공모전을 통한 공식 로고 선정 이외에도

서울 · 도쿄타워 동시 점등

한일 양국 전용 입국심사대 운영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외교부를 비롯한 여러 정부 부처와 더불어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계기

문화, 스포츠 등 교류 확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문화PD 뉴스 홍준서입니다

 

(행사 이미지와 겹쳐지는 PD의 모습)

아니, 여기 많은 사람들의 모습이 보이는데요

지금 이곳에서 과연 무슨 행사가 열리고 있는 걸까요?

이 행사는 바로 조선통신사의 행렬을 재현하는 행사인데요

문화체육관광부는 부산문화재단과 함께 2025년 전반에 걸쳐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는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선통신사가 무엇인지 궁금하시다고요?

제가 그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살펴볼까요?

 

(종이 배경 위로 조선통신사를 소개하는 내용들이 떠오른다)

조선통신사란 조선에서 일본 막부에 파견한 공식적인 외교사절단으로

임진왜란 이후 한국과 일본의 평화 사절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단순히 국서를 전달하고 선물을 주고받는 사절단을 넘어

예술, 학문, 문화를 아우르며

양국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한 조선통신사는

한일 양국 간 외교적 신뢰 그리고 문화교류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PD가 테이블에 앉아 이야기 한다)

이제 조선통신사가 무엇인지 알게 되셨는데요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는 행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만나볼까요?

424일 경희궁에서는

삼사 임명식과 취타대, 풍물패 공연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약식으로 재현하였고요

4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에서

거리공연, 드론쇼 등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고

부산에서 출항한 조선통신사선이

오사카까지 실제 이동한 경로를 따라

선상 박물관 전시와 공연을 펼쳤습니다

513일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 날에는

인근 선착장에서 입항 기념식과 공연을 펼치고

엑스포 공식 행진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하였고요

7월에는 부산국립국악원이 요코하마에서

통신사의 여정을 그리는 창작 무용극 유마도를 공연했습니다

조선통신사 행렬의 마지막 여정은 9월 말 도쿄에서

현지 어린이 참가자를 포함한 210여 명이 함께 대규모로 행렬을 재현하고

한일문화 콘퍼런스, 문화예술행사 등을 진행하며 마무리됩니다

 

(잠시 귀 기울이는 제스처를 취하는 PD)

또 다른 행사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하시다고요?

제가 알려드리겠습니다

 

(PD가 테이블에 앉아 이어서 이야기 한다)

조선통신사 재현 행사 이외에도

양국의 문화와 스포츠 교류가 진행됩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도쿄국립박물관의 소장품 교환 전시

그리고 국립현대미술관과 요코하마미술관의 한일 현대미술전

일본 에도도쿄박물관과 오사카 역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의 특별협력으로

한일 양국이 소장하고 있는

통신사 행렬도와 필담창화집 등 유물 전시가 진행되며

하반기에는 한국에서 한일 고교야구팀의 교류전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문화체육관광부의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계기 행사들을 소개드렸는데요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저도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계기 프로그램에 참여를 했었습니다

 

지난 1, 한국재팬리포터 방일단으로 9일간 일본에 다녀왔는데요

방일 일정 중에서도 특히 후쿠이현에서 홈스테이를 하며

일본 가정 속에서 함께 생활하고 지역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은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 시간 속에서 한일 양국 간 민간 교류와 상호 이해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도 다양한 교류 확대를 진행하고 있지만

한일 양국이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문화적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우리도 함께 관심을 가지는 것이 필요합니다

 

한일 양국이 앞으로 함께 써 내려갈 이야기 기대되시나요?

과거 그리고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지향적 협력을 확대해 나가는 여정에

우리의 역할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문화PD 홍준서입니다

 

[문화PD 아웃트로가 재생된다]

 

함께 볼만한 영상

공공누리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문화PD) 한일 양국이 함께 써 내려갈 이야기 |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감댓글

0
코멘트 입력
0/14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