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공감 >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공감리포트

최신 문화이슈와 문화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문화공감

8개 도시에서 즐기는 8가지 목소리

문화포털 기자단 2015-07-20
8개 도시에서 즐기는 8가지 목소리

8개 도시에서 즐기는 8가지 목소리

- 2015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

 

 

온종일 내리는 비와 꿉꿉한 공기, 후덥지근한 장마철 때문에 불쾌지수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런 때 짜릿한 연극 한 편과 가벼운 산책이라면 우울함도 잠시, 금세 기분이 좋아지곤 합니다. 연극은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통해 우리에게 기쁨, 슬픔, 즐거움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게 해주며, 우리로부터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합니다. 연극은 늘어지기 쉬운 더운 여름 우리에게 딱 맞는 문화예술입니다.

 

그렇지만 오랜만에 특별한 연극 한 편을 보자 하니 색다른 곳으로 가야만 하고, 가까운 곳에서 연극을 보자 하니 선택의 폭이 너무 좁아 어딘가 만족스럽지 못할 때가 많은데요. 과연 다양한 극단들의 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연극제나 초청 공연만을 기다려야 할까요?

 

고민하시는 여러분들을 위해 전국의 소극장들이 뭉쳤습니다! 바로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인데요. 현재 8개 극단이 대구, 부산, 광주, 전주, 대전, 춘천, 구미, 안산, 전국 8개 도시를 순회하며 멋진 공연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더운 여름, 다양한 소재의 연극과 함께라면 틀림없이 2015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신나는 연극의 세계로 한 번 빠져볼까요?

 

 

 

2015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포스터 ⓒ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전국 8개 극단이 전국 8개 도시를 순회하며 연극 공연을 펼치는 작은 축제입니다. 2012년을 시작으로 올해 4회째를 맞은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전국 각지를 대표하는 극단들이 색깔 분명한 연극 작품들을 전국 관객들에게 선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기존의 대구, 부산, 광주, 전주, 대전, 춘천, 구미 총 일곱 개의 극단에서 안산의 극단이 포함돼 여덟 개 도시, 여덟 개 극단의 공연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국 방방곡곡에서 활동하는 극단들이 전국 각 지역에서 매주 다양한 공연을 소극장에서 선보이는데요. 각 극단이 여러 도시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공연을 진행함으로써 한 지역에서도 여러 종류의 공연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한 곳에서 여러 지역의 특별한 공연을 볼 수 있다니 연극을 찾아 이곳저곳을 떠나는 분들에게는 아주 좋은 기회가 아닐까요?

 

 

 

 

2012년부터 이어져 온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의 역사 ⓒ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구미 극단 ‘공터_다’, 부산 극단 ‘공간’, 대구 극단 ‘한울림’, 전주 극단 ‘명태’, 춘천 극단 ‘도모’로 총 5개의 극단의 모임으로 시작했습니다. 5개의 도시, 5개의 극단으로 시작한 이 모임은 점점 그 영역을 넓혀, 광주, 대전, 구미 3개의 도시가 추가 되어, 현재 8개 극단이 참여하는 축제로 자리 잡았는데요. 앞으로 더욱더 폭넓은 지역의 소극장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점차 참여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극단 도모의 공연 ‘작은방’ 스틸컷 ⓒ 극단 도모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여러 지역에 양질의 콘텐츠를 선보여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시작되었습니다. 제작 후 계속해서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는 영화와 달리, 공연예술의 경우 초연과 재연에 소요되는 크게 비용이 차이가 나지 않는데요. 그렇다 보니 공연예술의 경우 항상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기 마련입니다. 특히 연극의 경우 뮤지컬과 같은 대중예술에 비해 수요 또한 적기 때문에 최근 많은 소극장이 사라지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상황에 직면하여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연극예술의 기반이 되는 소극장의 활성화와 함께 연극인들의 창작기반 마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극의 차원을 넘어 지역민들에게도 이들의 다양한 시도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지방의 경우, 소수의 극단만이 있어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연극을 만나볼 기회가 많이 없습니다.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다른 지역을 방문하지 않으면 볼 수 없었던 공연들을 한자리에 선보이면서, 각 도시의 관객들에게 다양한 공연예술을 즐기고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도는 지역 문화 예술 활성화에도 많은 이바지를 하고 있습니다.

 

 

 

 

전국 극단이 모여 준비를 했던 연극 ‘별어곡’ 포스터 ⓒ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멋진 공연을 선보였던 공연 ‘별어곡’ 스틸컷 ⓒ 극단 한울림

 

 

올해 초에는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에 참여하는 극단들이 함께 힘을 모아 합동 공연 ‘별어곡’을 선보였습니다. 안산 극단을 제외하고 7개의 극단, 7개의 도시, 7개의 사투리가 오가는 아주 특별한 공연이었는데요. 이 공연은 광주에서 첫 공연을 올린 후 대전, 전주, 구미, 대구, 부산을 거쳐 춘천에서 순회의 마지막을 장식했습니다. 시인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를 이미지화하고 소설가 임철우의 소설 ‘사평역’을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이별과 만남의 장소인 간이역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오늘날 우리네 삶을 대변했습니다.

 

전국 각지의 지역색을 지닌 배우들이 모여 조화로운 하나의 작품을 이루어낸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었던 공연인데요. 재미있는 점은 7개 지역 배우들이 저마다 사는 지역의 고유 사투리를 구사한다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색깔을 지닌 팀이 모여 만든 이 합동(띄어쓰기)공연은 방언과 방언을 결합한 새로운 연극적 언어를 창출해내며,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의 취지와 공연의 의미를 더욱 부각했습니다.

 

 

 

 

고심해서 공연을 준비하는 배우와 제작진의 모습 ⓒ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올해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은 예상치 못한 ‘메르스’ 때문에 난항을 겪기도 했는데요. 행사 진행 여부를 놓고 여러 이야기가 오가던 중에서도 그들의 연극에 대한 열정은 막을 수가 없었습니다. 이처럼 상업연극에 밀려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대한민국 전역의 소극장들이 함께 힘을 모아 극복하고 호흡하고자 하는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습니다. 대중성과 예술성을 두루 갖춘 이들의 작품은 소극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며, 앞으로도 창작된 작품들이 더 많은 관객과 만날 수 있도록 지속해서 행사를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다가올 미래에는 분명 이들의 노력이 소극장들의 현실에 작품적으로나 재정적으로나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번 주말 연극 한 편 어떨까요? 8개의 도시, 8개의 극단, 8개의 사투리, 8가지의 목소리가 가득한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에서 짜릿한 희열을 느껴보세요.

 

 

* 2015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공연 정보

- 일시 : 2015년 6월 19일(금)~2015년 7월 26일(일)

- 주최 : 연극 협동조합,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 장소 : 카페 떼아트르(안산), 봄내 극장(춘천), 소극장 핫도그(대전), 소극장 공터_다(구미), 아하 아트홀(전주), 한울림 소극장(대구), 씨어터 연바람(광주), 공간 소극장(부산)

- 티켓 가격 : 일반 20,000원 / 학생 15,000원  * 사랑티켓과 인터파크를 통해 예매 가능

- 문의 전화 : 051-611-8518(부산)

- 공식 사이트 : http://cafe.naver.com/smalltheatre

 

 

* 참고 사이트

대한민국 소극장 열전

- url : http://cafe.naver.com/smalltheatre

[광주 극단] 푸른연극마을

- url : http://cafe.daum.net/pyj2023

[대전 극단] 놀자

- url : http://cafe.daum.net/TheatreGroupNOLJA

[대구 극단] 한울림

- url : http://www.hanwoollim.com/

[전주 극단] 명태

- url : http://www.mtplay.co.kr/main

[부산 극단] 어니언 킹

- url : http://cafe.naver.com/ggtheater/

[춘천 극단] 도모

- url : http://artdomo.net:40210/_www/main/

[구미 극단] 공터_다

- url : http://cafe.daum.net/gumire

[안산 극단] 걸판

- url : http://blog.naver.com/gulpans

 

 

- 작성자 : 문화포털 기자단 한지현(글) / 정미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