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공감 >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공감리포트

최신 문화이슈와 문화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문화공감

천만의 버무림, 대한민국 김장 시작하는 날 - 2014 서울김장문화제 -

문화포털 기자단 2014-11-27
천만의 버무림, 대한민국 김장 시작하는 날 - 2014 서울김장문화제 -

2014년 11월 14일부터 16일 3일간 서울 광화문 광장, 서울광장, 청계광장, 태평로, 세종로 공원에서 '2014 서울 김장문화제'가 열렸습니다.


한국의 김장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주년 기념행사로 마련된 이번문화제는 우리나라 김장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동시에 소규모 가정 증가와 생활방식의 변화로 사라져가는 김장문화를 다시 찾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김장문화는 우리나라 고유의 '나눔의 정'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문화입니다.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것. 특히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김장은  한국인의 정체성을 엿볼 수 있는 일 년 중 가장 큰 행사입니다.


김장은 또한 자연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자연의 리듬에 맞춰 사는 것에 대한 인간의 독창성과 창조성을 보여주는 가장 우수한 사례로 지난해에는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쾌거를 이룩했습니다.


이렇듯 우리만 아는 김치의 예술성과 과학성, 역사가 함께 살아있는 김치의 세계화를 위해 서울시에는 서울의 중심부에서세계인과 함께 하는 '대한민국김장의 새로운시작- 2014 서울 김장문화제'를 개최했습니다.


나눔, 전시, 체험, 먹거리, 문화, 장터로 구분 지어 각각의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문화제를 찾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추억거리를 제공하였습니다.



                                                                        "나눔"



 '천만의 버무림 김장나눔'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서울광장과 청계광장에서는 사상 최대 규모로 국내 거주 외국인 중국인 관광객 다문화가정, 기업, 봉사단체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하여 김치 나눔 한마당 행사가 열렸습니다. 소외계층 및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6천여 명의 참가자들이 255톤이라는 어마어마한 양의 김치를 만들어 내며 '김장'은 곧 '나눔'이라는 우리 고유의 문화를 직접 실천하였습니다.


 '천만의 버무림 김장나눔'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문화"


 '서울 김치로(路) 달리자'의 배추팀과 무팀이 배추를 나르는 모습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서울 김치 路 달리자'는 동화 '의 좋은 형제' 의 스토리 라인을 접목시켜 장애물을 피해 상대의 진영에 배추를 이동시켜 더 많은 양의 배추를 확보한 팀이 승리하는 방식의 게임입니다. 남녀노소, 외국인 관광객들까지 힘을 합쳐 김장의 노동과 협동심을 몸소 체험합니다. 레이스가 끝난 후 보쌈 파티와 클럽 DJ의 공연으로 분위기는 한층 무르익었습니다.




 김치아트프로젝트 '이것이 김치다'  손동주 사진작가의 작품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김치아트프로젝트 '이것이 김치다' 옥근남 아트디렉터의 '김치몬스터'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대한민국의 젊은 아티스트들이 이야기하는 김치의 새로운 해석, 그리고 세계인과 교감하는 축제장 전체에서 체험 할 수 있는 대규모 김치 아트 프로젝트 "이것이 김치다"입니다. 아트디렉터, 사진작가, 설치 및 그래픽 작가들이 모여 김치와 관련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문호리 리버마켓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다양한 아티스트와 젊은 셀러들 그리고 지역주민들이 직접 만든 음식과 오래 수집해 온 빈티지 소품 등을 판매하는 '문호리 리버 마켓'은  김장문화제에 마련된 또다른 문화 행사입니다. 캔들, 패브릭, 인테리어 소품, 차, 먹거리등 준비되어있어서 또 다른 즐거움을 주고 있습니다.             



                                                                   "전시"



 서울의 겨우살이 이야기, 김장을 재연한 현장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전시장 입구에는 한옥마을을 배경으로 세대가 함께 실제로 배추를 다듬고, 무를 썰고 속을 만들며 김치를 버무리는 김장의 전과정을 보여주는 김장문화 재연장이 마련되었습니다. 특히 김치가 생소한 외국인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던 생생한 현장이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궁중 김치들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사찰김치 전시관 모습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천년의 맛, 천만의 그릇에 담기다.' 김장문화 고유의 정을 바탕으로 하는 공동체 문화를 알리고, 김치의 역사와 미래 그리고 다양성을 전시를 통해 만나봅니다. <김장, 시간의 지혜>에서는 마음을 담은 김치 '궁중김치', 산사의 맑은 맛 '사찰김치', 지켜온 약속'종가김치', 남도김치의 진한 맛 '광주김치' 를 전시하였습니다. 이 전시회를 통해  김치의 역사를 되짚고 현재와 미래를 내다보는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체험"



 열려라 오감, 어린이 김장체험 현장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김치 재료를 손으로 만지고, 냄새 맡고 소리로 듣는 김치의 새로움을 발견하는 어린이 오감체험교실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제일 맛있게 김치를 담그는 남자라고 소개하신 김치 명인께서 아이들에게 김치 담그는 법을 알려주고 계십니다.



김치고수의 비밀노트, 유정임 명인의 웰빙 포기김치 체험전시현장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이번 김장문화제에서는 김치는 보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교실을 만들어 많은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행사를 계획했는데요 바로 '김치 고수의 레시피'입니다. 선재 스님의 '사찰김치'을 비롯하여 김순자의 '100년 포기김치', '유정님 명인의 웰빙 포기김치', '이하 연명사의 명품 총각김치'등 전국 곳곳의 김치 명인들과 함께 그들의 레시피로 김치를 직접 만들어 보는 이 행사는 내가 원하는 이색적이고 새로운 김치를 직접 배워서 만들어 가져갈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따뜻한 겨울김치 이야기 전시회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김장, 시간의 지혜> 전시장 한켠에 김치와 관련된 사전 공모를 통해 접수한 애틋하고 특별한 사연을 선정하여 특별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각 가정마다 김치 맛이 다르듯이 이야기도 다 다르지만 김치의 추억은 우리 모두를 따뜻하게 해줍니다. 본선 진출작 14편이 소개되었습니다.

    

엑설런트 김치, 대한민국 김치 선두기업 및 김치 세계화에 앞장서는 단체들의 전시/체험코너 ⓒ 문화포털 기자단 이정아


대형 김치 제조업소가 참여하는 '엑셀런트 김치'에서는 어린이부터 외국인 그리고 어르신까지 전 연령층이 함께 한 배우는 무료 김치교실과 전시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 김치 파스타, 김치 주먹밥, 삼색김치 등 창의적으로 변신한 김치요리 시식으로 사람들의 발길을 잡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