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공감 > 공감마당 공감리포트

공감리포트

최신 문화이슈와 문화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문화공감

현재를 사는 청년세대의 자화상

문화포털 기자단 2015-06-15
현재를 사는 청년세대의 자화상

현재를 사는 청년세대의 자화상
-두산아트센터,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두산아트센터

 

 

히키코모리, 이 시대 외톨이를 부르는 가장 적절한 용어입니다. 방구석으로 들어가 타인과의 소통을 차단한 이들을 우리는 ‘히키코모리’라고 부릅니다. 한 개인이 히키코모리의 상태를 겪는 기간은 짧게는 몇 개월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년까지 매우 다양합니다.

 

극 중에서 타로의 엄마는 자신의 아들이 히키코모리인 것을 숨기고 살아왔노라고 고백합니다. 히키코모리는, ‘ひきこもる(히키코모루; 틀어박히다)’라는 자동사에 뿌리를 두고 있는 명사인데요. 그 뜻과 정체성만큼이나, 히키코모리라는 존재 자체도 숨겨지기에 급급하며 소외당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두산아트센터는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라는 연극을 통해, 2015년 6월 20일까지 스스로 숨어버린 존재들, 어쩌면 우리 사회가 숨겨버리고 있을지도 모르는 존재들, 히키코모리에 대한 반성적 사유를 들춥니다.

 

 

* 히키코모리와 그들을 돕는 출장 상담원


히키코모리의 시절을 이미 겪어낸 인물, 겪고 있는 인물들을 통해 연극은 히키코모리에 대한 우리의 보편적인 인식들을 되비춰봅니다. 일본의 사회적 표현에 따르면, 히키코모리란, “타인과의 교류와 경제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사회적 문제로 여겨짐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직종도 생겨났는데요. 바로 ‘히키코모리 출장 상담원’ 입니다. 이들은 ‘병들고 상처받은’ 히키코모리들을 방 밖으로 끌어내어 소위 말하는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 두산아트센터



그러나 상담원들에 의하여 점차 호전되어가던 히키코모리 카즈오는 결국 자살을 하고 맙니다. 카즈오의 장례식장에서 상담원 쿠로키는 “(카즈오가 자살하리라는 것을) 알면, 알았으면 막을 수 있었겠어? 우리가 뭘 할 수 있었겠어. 우리는 단지 그들을 세상 밖으로 나오는 일만 도와주는 거야.”라고 외칩니다. 따뜻해 보였던 쿠로키가 무정하고 매몰차 보이던 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곧 ‘히키코모리 출장 상담원’의 정체성을 내포하는 대사임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모든 사람은 반드시, 예외 없이, 집 밖에서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야 한다”는 단 한 가지의 원리. 이것이 우리 사회에 팽배해있는, 아주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는 인식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히키코모리 출장 상담원’이라는 직업을 허락하고, 심지어 그들의 치료 활동을 당연하게 여기기까지 합니다. 따라서 단 한 가지의 원리에 기초한 상담사들의 역할은, 히키코모리를 ‘세상 밖으로’ 구원해내기만을 염두에 두고 있을 뿐, 히키코모리를 ‘절망적인 세상에서’ 구원해내고자 하지 않는 것입니다.

 

 

* 삼포, 오포, 그리고 칠포세대


히키코모리는 마치 우리 청년 세대, 더 나아가 인간의 정체성을 되돌아보게 해주는 거울 같습니다. 히키코모리를 향한 질타, 비난의 시선이, 곧 무기력한 현대 청년세대를 바라보는 사회의 아니꼬운 시선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 두산아트센터



현재 대한민국의 청년 세대를 일컫는 단어가 있습니다.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삼포세대’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오포세대, 칠포세대’라는 단어까지 등장하며 우리 청년들이 스스로 ‘포기’해가고 있는 것들이 점차 얼마나 많아지고 있는지를 여실히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연애, 결혼, 출산, 내 집 마련, 인간관계, 게다가 취업과 희망까지. 더 이상 이들이 포기할 수 있는 것이 있기는 할까요.

 

가까운 나라 일본을 살펴보면, 이곳에서도 특별히 청년세대를 일컫는 신조어가 등장하며 청년세대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다루고 있는 추세입니다. 파트타임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프리타(free+arbeiter)’,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신조어인 ‘니트’(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그리고 ‘히키코모리’까지.

 

프리타란, 일본 경제가 불황에 빠지기 직전인 1980년대 말 아르바이트 정보지로 창간된 <프럼에이(from A)>에서 유래된 말입니다. 당시 속박이 싫어 과감하게 정식 직업을 포기한 젊은이들을 일본식 영어 ‘프리 아르바이타(free arbeiter)'로 지칭한 것입니다. 니트족은 1990년대 경제상황이 나빴던 영국 등 유럽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일본으로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당시 일본은 고용환경이 악화되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실업자가 늘어나면서 니트족이 증가하였고, 그들의 존재에 대해 사회불안을 유발하는 사회병리현상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히키코모리라는 단어는 1970년대부터 일본에서 나타나기 시작해, 1990년대 중반 은둔형 외톨이들이 나타나면서 사회문제로 떠오른 용어입니다.

 

일본의 청년 세대도 ‘로스트 제너레이션(lost generation)’이라 불리며, 환멸과 좌절 사이에서 스스로를 ‘포기 세대’로 만들어가고 있었습니다. ‘로스트 제너레이션’이라는 용어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실업사회를 혐오해 파리에 쾌락적이고 허무적인 생활을 했던 미국 청년 지식인들을 지칭하면서부터 사용되었습니다. 20세기 인류 사상 최악의 전쟁을 겪어낸 미국의 젊은이들과 평탄해 보이지만 속으로 곪아가고 있는 21세기 일본과 대한민국의 젊은이들. 희망을 포기해버린 세대들에게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가 하고 싶었던 말은 무엇일까요.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 두산아트센터

 

 

히키코모리를 무조건 ‘밖’으로 끌어내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사회를 보며, 인간에 대해 예외 없는 시선들이 적용되고 있음을 유추해봅니다. 히키코모리 개인의 문제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히키코모리라는 집단을 정상적인 사회 구성원 범주 안으로 들어오게끔 하려는 인식이 곧, 인간의 개별성을 처참히 밟고 있는 사회적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많은 것을 포기한 세대, 아니, 많은 것을 ‘잃어버린’ 세대. 현재를 사는 우리나라 청년세대에게도 ‘히키코모리’는 더 이상 먼 나라 얘기가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이제는 잃어버린 세대와 히키코모리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이뤄지길 희망합니다.

 

다시 연극 속 이야기로 돌아오면, 출장상담원에 의해 순조롭게 세상으로 나온 것만 같던 카즈오는 결국 삶을 스스로 포기하고 맙니다. 그는 아직 ‘밖’보다는 ‘안’에서 더 단련하고 준비하는 시간이 필요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밖으로 나오길 강요받는 히키코모리, 어쩔 수 없이 나와 결국은 삶을 포기하고 마는 카즈오. 이것이 우리 ‘로스트 제너레이션’을 향한 시선이 아닐 수 있다고, 인간 존재에게 주어진 미래가 아닐 수 있다고, 그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의 칠포세대들에게 “끈기가 없다”거나 “눈만 높아졌다”고 아니꼬운 시선으로 바라보기 이전에, 청년세대들이 뼈아프게 겪고 있을 개개인의 고민들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제 2의, 제 3의 카즈오들을 막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마침내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는 우리에게 얘기합니다. 히키코모리가 밖으로 나오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히키코모리 스스로가 밖으로 나오고 싶은 의지를 심어주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올여름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젊은 청년들에게 진정 힘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를 보시며 지인과 이야기를 나눠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 공연 정보
- 공연명 : 연극 <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 기간 : 2015년 5월 26일(화)~06월 20일(토)
- 장소 : 두산아트센터 space 111
- 관렴시간 : 100분
- 공연시간
  1) 화, 수, 목, 금 오후 8시
  2) 토 오후 3시, 7시
  3) 일 오후 3시
- 공연요금 : 전석 30,000원 (대학생 및 60세 이상 15,000원 / 중고생 10,000원)
- 관람등급 : 만 13세 이상
- 찾아가기 :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 1번 출구
- 홈페이지 : http://www.doosanartcenter.com

 

* 참고 자료
-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 히키코모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5689&cid=40942&categoryId=31620

-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 니트족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69826&cid=42120&categoryId=42120

-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어: 프리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1326&cid=43667&categoryId=43667

 

 

·작성자 : 문화포털 기자단 장기영(글) / 장수영(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