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주인공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음식’. 우리를 웃고 울게 했던 영화, 드라마, 그리고 책 속'맛있는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화면 너머 우리 마음까지 채워주었던 그 음식을 만나보세요.
당신의 출퇴근길은 어떤가요? 이동 시간을 채우는 문화생활 지난 8월, '지루한 이동 시간을 즐겁게 만드는 나만의 문화생활'을 주제로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꽉 막히는 도로, 만원 지하철 속에서도 알차게 문화를 즐기는 4가지 유형의 꿀팁을 소개합니다.
스스로의 삶을 개척하며 우리 문화사에 뚜렷한 이름을 새긴 여성들이 있습니다.편견과 한계에 맞서 붓과 펜으로, 목소리로, 그리고 카메라로 자신만의 역사를 써 내려간 네 명의 선구적인 예술가를 만나봅니다.
어릴 적 골목을 가득 채웠던 아이들의 정겨운 소리를 기억하시나요?스마트폰 너머, 함께 어울리는 즐거움을 되찾을 수 있는 '전통놀이' 명소 네 곳을 소개합니다. 이번 주말, 우리 놀이의 매력에 푹 빠져보세요!
긴장과 대립의 상징이었던 DMZ가 평화와 생명이 숨 쉬는 예술의 땅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문화예술을 통해 만나는 DMZ의 새로운 얼굴, 평화와 희망을 이야기하는 네 곳을 소개합니다.
반려인 1,500만 명 시대, 이제 문화현장도 ‘펫-프렌들리’가 대세인 요즘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문화생활'을 주제로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소중한 참여 덕분에,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문화생활을 위한 4가지 핵심적인 바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바다속의 숨은 이야기, 우리 바다가 품고 있는 다채로운 문화유산을 만나러 떠나볼까요?과거와 현재, 유물과 사람이 공존하는 특별한 바다 이야기 속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공공예술이 도시를 새롭게 숨 쉬게 합니다. 색과 이야기가 덧칠되어 ‘새로운 도시’로 재탄생한 4곳을 소개합니다.이번 주말, 과거와 현재가 겹쳐진 예술 지도 속으로 들어가 보는 건 어떨까요?
익숙한 동네 속에 이런 곳이? 도시의 숨겨진 보물 같은 문화 장소들을 발견해 보세요! 낡은 산업 시설이 예술과 문화로 숨 쉬는 공간으로 탈바꿈한 네 곳을 소개합니다.
현실 여행만으론 부족하다면? VR·AR·3D 디지털 공간으로 확장된 메타버스 문화 체험이 기다립니다.화면 한 켠에서 시작해 실제 공간까지 이어지는 ‘하이브리드 문화 여행’ 가족과 함께 떠나도, 집에서 편히 즐겨도 좋은 문화 체험. 올여름엔 가상 세계로 발걸음을 옮겨 보세요.
야외 문화활동이 늘어가는 6월을 맞아 ‘문화생활을 즐기며 실천하는 친환경활동‘에 대한 대국민 문화수요조사를 진행했습니다.많은 분의 참여에 감사드리며, 문화생활, 이제는 ‘친환경’이 필수인 시대! 6월 문화수요조사에서 꼽은 4대 그린 실천을 만나보세요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민족의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특징과 민족문화의 정수를 찾기 위해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민족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간적ㆍ시간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온 문화 중 대표성을 가진 100가지 상징을 말합니다.
'한국문화 100' 이란?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민족의 기저에 흐르는 문화적 특징과 민족문화의 정수를 찾기 위해 100대 민족문화상징을 선정하였습니다. 이는 우리민족이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공간적ㆍ시간적 동질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온 문화 중 대표성을 가진 100가지 상징을 말합니다.
대한민국 100대 민족문화 상징아래 목록 중 밑줄이 있는 민족문화상징을 클릭하면 해당 소재로 제작한 동영상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 백두대간, 백두산, 금강산, 동해, 대동여지도, 황토, 갯벌, 풍수, 소나무, 진돗개, 호랑이, 한우, 천상열차분야지도, 거북선, 측우기, 물시계와 해시계(자격루와 앙부일구), 수원화성, 정보통신(IT)
역사상징고인돌, 빗살무늬토기, 서울, 경주(서라벌), 평양(아사달), 단군, 광개토대왕, 원효, 세종대왕, 퇴계(이황), 이순신, 정약용, 안중근, 유관순, 석굴암, 비무장지대(DMZ), 길거리 응원
사회 및 생활상징오일장(장날), 잠녀(해녀), 강릉 단오제, 영산 줄다리기, 솟대와 장승, 두레, 정자나무, 돌하르방, 한복, 색동, 다듬이질, 김치, 떡, 전주비빔밥, 고추장, 된장과 청국장, 삼계탕, 옹기, 불고기, 소주와 막걸리, 냉면, 자장면, 한옥, 온돌, 제주도 돌담, 초가집, 동의보감, 인삼, 태권도, 씨름, 활, 윷놀이, 서당, 한석봉과 어머니
신앙 및 사고상징선(禪), 미륵, 효(孝), 선비, 종묘와 종묘대제, 굿, 서낭당, 도깨비, 금줄
언어 및 예술 상징한글(훈민정음), 한지, 조선왕조실록, 팔만대장경, 직지심체요절, 고구려 고분벽화, 반가사유상, 백제의 미소(서산마애삼존불), 고려청자, 백자, 분청사기, 막사발, 풍물굿(농악), 탈춤, 판소리, 아리랑, 거문고, 대금, 춘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