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료관
다채로운 문화 기록자료를 한데 모아 선보입니다.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부여 무량사 석등(扶餘 無量寺 石燈)지역 : 충남부여군 관리자(관리단체) : 무량사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네모난 바닥돌 위로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연꽃...
제공기관 : 문화재청 부여 무량사 석등(扶餘 無量寺 石燈)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서울 장의사지 당간지주(서울 莊義寺址 幢竿支柱)지역 : 서울종로구 관리자(관리단체) : 종로구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서는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제공기관 : 문화재청 서울 장의사지 당간지주(서울 莊義寺址 幢竿支柱)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군산 발산리 석등(群山 鉢山里 石燈)지역 : 전북군산시 관리자(관리단체) : 군산시
원래는 완주지역에 세워져 있던 석등으로,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불을 켜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제공기관 : 문화재청 군산 발산리 석등(群山 鉢山里 石燈)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논산 관촉사 석등(論山 灌燭寺 石燈)지역 : 충남논산시 관리자(관리단체) : 관촉사
관촉사 앞뜰의 큰 석불 앞에 놓여있는 4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이 중심이 되어, 아래에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제공기관 : 문화재청 논산 관촉사 석등(論山 灌燭寺 石燈)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지역 : 경기여주시 관리자(관리단체) : 신륵사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으로,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제공기관 : 문화재청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지역 : 경기여주시 관리자(관리단체) : 신륵사
신륵사에 세워져 있는 비로, 극락보전 서쪽 언덕에 있었던 대장각(불경을 만들어 보관하던 곳)의 조성에 관한 여러 가지 기록을 적고 있다. 길쭉한 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받침돌을 놓고, 그 위로 비몸을 세운 후...
제공기관 : 문화재청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지역 : 경기여주시 관리자(관리단체) : 신륵사
신륵사에 모셔진 보제존자 나옹의 탑비이다. 보제존자 나옹은 선종과 교종을 통합하여 불교를 다시 일으켜 세우려 하였던 승려로, 양주 회암사의 주지로 있다가 왕의 명을 받아 밀양으로 가던 도중 이곳 신륵사에서...
제공기관 : 문화재청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碑)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驪州 神勒寺 多層塼塔)지역 : 경기여주시 관리자(관리단체) : 신륵사
아래로 한강이 굽어보이고 강 건너 멀리 평야를 마주하고 있는 경치좋은 바위 위에 이 전탑이 세워져 있다.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이르며, 우리나라에서는 경기도와 경상북도 안동지역에서...
제공기관 : 문화재청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驪州 神勒寺 多層塼塔)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지역 : 경기여주시 관리자(관리단체) : 신륵사
신륵사 뒷편에 모셔져 있는 나옹의 사리탑으로, 널찍하게 마련된 단층 기단(基壇) 위에 2단의 받침을 둔 후 종 모양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돌을 쌓아 넓게 만들고 앞쪽과 양 옆으로 계단을 두었다....
제공기관 : 문화재청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지역 : 경남창녕군 관리자(관리단체) : 창녕군
인양사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이 있는 여러 절의 범종, 탑, 금당 등의 조성연대와 쓰인 식량 등을 낱낱이 기록하고 있는 비로, 통일신라 혜공왕 7년(771) 인양사 종을 만든 일로부터 이 비석을 세운 신라 헌덕왕...
제공기관 : 문화재청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