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료관
다채로운 문화 기록자료를 한데 모아 선보입니다.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우주무한론’을 펼친 홍대용의 《의산문답?山問答》작가 : 홍대용 제작연도 : 조선후기
홍대용洪大容(1731~1783)은 당시 팽배해 있던 사회적 허위의식과 미신을 극복하고 백성들의 일상생활에 쓸모 있는 이용후생학을 주창한 실학자였습니다. 그는 이를 위해서 중국의 선진문물과 서양 과학기술을 적극...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우주무한론’을 펼친 홍대용의 《의산문답?山問答》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다산의 부국강병의 꿈을 담은 《경세유표經世遺表》작가 : 정약용 제작연도 : 1817년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저술한 ‘정법삼집政法三集’ 중의 하나입니다. 《목민심서》가 현행법을 전제로 인민의 휴양休養 방안을 제시한 것이라고 한다면, 《경세유표》는 현행법의 개혁을 전제로 국가체제의...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다산의 부국강병의 꿈을 담은 《경세유표經世遺表》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박지원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박지원 초상朴趾源肖像작가 : - 제작연도 : 20세기 초
연암 박지원朴趾源(1737~1805)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그의 아들인 박종채가 회상하고 있는 아버지의 모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큰 키에 살이 쪄 몸집이 매우 크셨습니다. 얼굴은 긴 편이었고, 안색이 몹시...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박지원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박지원 초상朴趾源肖像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중국 열하熱河까지 몇 천리의 대장정, 《열하일기熱河日記》작가 : 박지원 제작연도 : 18세기 후반
박지원朴趾源(1737~1805)은 홍대용·박제 등과 이용후생파를 주도하면서 중국과 서양으로부터 선진적인 문화를 수용하여 조선의 문화를 부흥시키자는 북학론北學論을 주장하였습니다.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은...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중국 열하熱河까지 몇 천리의 대장정, 《열하일기熱河日記》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짙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가진 박제가, 박제가 초상朴齊家肖像작가 : 라빙 제작연도 : 1790년(정조 14)
박제가朴齊家(1750∼1805)는 그가 가지고 있던 진취적인 생각만큼이나 호탕하고 괄괄한 성격을 가졌던 것 같습니다. 짙고 덥수룩한 턱수염도 그렇고, 거칠 것이 없어 보이는 눈매, 풍만하고 여유로워 보이는 볼 선...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짙고 덥수룩한 턱수염을 가진 박제가, 박제가 초상朴齊家肖像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실용의 실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걸작, 《북학의北學議》작가 : 박제가 제작연도 : 1778년(정조 2)
박제가朴齊家(1750∼1805)는 청년기에 19세 때를 전후하여 서울에서 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 등과 교유하였습니다. 그리고 1778년(정조2)에 채제공蔡濟恭을 대표로 하는 외교사절단의 일원으로...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실용의 실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걸작, 《북학의北學議》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농촌생활의 모든 정보를 담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작가 : 서유구 제작연도 : 조선후기
서유구徐有?(1764∼1845)는 집안 대대로 전해오던 가학家學을 이어 특히 농학農學에 큰 업적을 남긴 실학자입니다. 전라감사로 있을 때는 흉년을 당한 농민의 구황을 위해 구황식물 고구마 재배에 도움이 되도록...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농촌생활의 모든 정보를 담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북한산 비봉碑峰의 비석이 진흥왕순수비임을 밝힌 김정희의〈북한산순수비 발문...작가 : 김정희 제작연도 : 조선후기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가 북한산 정상에 있던 오래된 비석을 찾아간 것은 31세 때였습니다. 이전에 이 비석은 무학대사無學大師와 관련된 비석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1816년 7월 어느 날...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북한산 비봉碑峰의 비석이 진흥왕순수비임을 밝힌 김정희의〈북한산순수비 발문...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한글을 독창적으로 연구하여 자모字母를 분류하고 해설한 책, 《언문지諺文志》작가 : 유희 제작연도 : 1824년(순조 24)
조선의 정체성을 일깨우는 대표적인 주제로는 우리의 말과 문자를 들 수 있습니다. 많은 실학자들은 생활에서 사용하는 말과 글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습니다....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한글을 독창적으로 연구하여 자모字母를 분류하고 해설한 책, 《언문지諺文志》 새창 이동2222 -
이미지 문화유산 연구/자료 우리나라 역대 서울을 시로 읊은 《이십일도회고시주二十一都懷古詩註》작가 : 유득공 제작연도 : 조선후기
유득공柳得恭(1749∼?)은 발해의 역사를 정리한 《발해고渤海考》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그가 고조선부터 고려시대까지 우리나라의 역대 서울에 대한 역사를 읊은 시를 짓기도 하였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제공기관 : 실학박물관 우리나라 역대 서울을 시로 읊은 《이십일도회고시주二十一都懷古詩註》 새창 이동2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