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자료관
다채로운 문화 기록자료를 한데 모아 선보입니다.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남은들상여재질 : 복합 연대 : 1840년 ~ 1852년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이구(李球, ?~1822)의 시신을 장지까지 운반했던 상여이다. 행상, 영여, 온량거라고도 한다. 긴 멜대를 중심으로 한 기본틀 위에 관을 싣는 몸체를 조성하고 맨 위에는 햇빛을 가리기...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남은들상여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재질 : 직물 연대 : 19세기 말
총 333점으로 일괄지정된 이 유물에는 왕과 왕비가 사용하였던 곤룡포와 적의, 그리고 왕자가 사용하였던 자룡포가 포함되어 있다. 적의는 고려시대 말 부터 전해내려오는 왕비의 궁중의례복식인데 특히 영친왕비의...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재질 : 금속 연대 : 1897-1910년
대한제국의 고종황제의 어새이다.어보는 조선시대 의례용 도장으로 황제의 인장에는 '새(璽)'를 사용하여 어새라고 한다.고종 황제어새는 귀뉴형(龜?形) 금보(金寶)로서 금과 은의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글자가...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대한제국 고종 황제어새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은제이화문탕기재질 : 금속 연대 : 1910년
대한제국 황실에서 사용하였던 은으로 만든 탕기(湯器)이다. 황실연회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표면을 망치로 두드린 단조(鍛造)기법으로 제작하였다. 덮개와 몸체 중앙에 대한제국 황실의 문장인 오얏꽃(李花)을...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은제이화문탕기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재질 : 종이 연대 : 1613년
이성윤(李誠胤, 1570~1620)이 1613년(광해군 5)에 위성공신(衛聖功臣) 2등(等)에 녹훈(錄勳)될 때 하사받은 위성공신교서(衛聖功臣敎書)와 관련 유물이다.광해군(光海君, 재위1608~1623)은 1613년 임진왜란을...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이성윤 위성공신교서 및 관련 유물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연잉군 초상재질 : 견본(비단에 채색) 연대 : 1714년
영조가 즉위하기 전 연잉군(延?君)이었던 시기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이다. 숙종은 당시 병상에 있었던 자신을 밤낮으로 시중을 들었던 21세의 연잉군과 연령군(延齡君, 1699~1719)을 기특하게 여겼기에 1714년...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연잉군 초상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철종어진재질 : 비단에 채색 연대 : 1861년
철종(哲宗, 재위 1849~1863)이 31세 때인 1861년의 모습을 그린 어진이다. 전신 교의좌상 어진이다. 철종은 공작 깃털이 달린 전립을 쓰고 가슴과 어깨에 용보가 달린 전복(戰服)을 착용하고 있으며, 의자에...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철종어진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마천목좌명공신 녹권재질 : 종이 연대 : 1401년
조선 태종 1년(1401) 공신도감에서 절충장군 웅무시위사상장군(折衝將軍 雄武侍衛司上將軍) 마천목(馬天牧, 1358~1431)에게 발급한 필사본 녹권이다. 이 녹권은 후에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이 되는...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마천목좌명공신 녹권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은입사귀면문 철퇴재질 : 금속 연대 : 조선시대
19세기 경 의장용으로 제작된 무기이다. 철퇴는 쇠로 만든 망치라는 뜻으로 짧은 자루 끝에 무거운 쇳덩이를 달아서 그 무게로 적에게 타격을 가하는 무기이다. 이 철퇴의 손잡이와 몽둥이 끝은 은입사기법으로...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은입사귀면문 철퇴 자세히 보기 -
이미지 문화유산 문화재/유물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재질 : 석제 연대 : 1395년
천체의 형상을 직육면체의 돌에 새겨 놓은 지도이다. 이 지도의 내용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윗부분에는 별자리를 그리고, 아래부분에는 천문도의 이름, 작성 배경과 과정, 만든 사람의 이름과...
제공기관 : 국립고궁박물관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