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금삼의 피

저자
박종화(朴鍾和)
생애(1901~1981)
호는 월탄(月灘). 서울 출생. 소년시절 사숙(私塾)에서 12년간 한학을 수업한 뒤 1920년 휘문의숙을 졸업하였다. 1920년 문학동인지 <문우(文友)>를 발간하였고, 이듬해 <장미촌> 창간호에 <오뇌의 청춘>과 <우유빛 거리>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하였다. 시로 출발하였다가 1920년대 소설가로 전신하였으며 1935년 <금삼의 피>를 시작으로 역사소설 작가로서의 역량을 보였다. 광복 후에는 전조선문필가협회 부회장,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부위원장 등으로 민족주의 진영을 이끌었다. 동국대, 성균관대, 연세대 교수를 역임하였고, 대한민국예술원 종신회원 및 회장,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등으로 활동했다.
주요작품 및 작품세계
1921년 <장미촌>에 <오뇌의 청춘>, <우유빛 거리> 등을 발표하며 데뷔하였고, 1922년 <백조> 창간호에 <밀실로 돌아가다>, <만가> 등 두 편의 시와 <영원의 승방몽(僧房夢)>이라는 수필을 발표한 데 이어 평론 <오호 아문단>(1922)과 단편 <목매이는 여자>(1923), 시 <흑방비곡(黑房悲曲)>(1922), <사(死)의 예찬>(1923) 등을 발표함으로써 낭만주의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1924년에는 처녀시집 <흑방비곡>을 출간하였다. 초기의 시작품은 자아와 개성의 강조, 전적 생명의 갈구, 절대적 시계에의 동경, 죽음의 찬미라고 하는 연관된 주제로 볼 때 넓은 의미에서 낭만주의에 속하며, 흑방·밀실 등의 상징적 세계를 통해 3·1운동 실패 후의 회의와 좌절을 형상화하였다. 단편 <아버지와 아들>(1924), <여명>(1925) 등 소설 창작에 손을 대기 시작하였으며 문단시평이나 문단회고담도 발표하였다. 1930년 무렵부터 서재에 칩거하여 한국의 역사와 고전의 연구에 몰두하였고, 이를 통해 풍부한 사실에 입각한 역사소설을 창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금삼의 피>(1935)를 발표한 이후, 주로 역사소설로 전향하여 <대춘부(待春賦)>(1937), <전야>(1940) 등의 장편대작을 정력적으로 발표하였다. 이러한 역사소설의 저류에는 민족주의가 흐르고 있고, 역사 속에서 민족의 얼을 찾고, 선과 악의 대결 속에서 인간성을 탐구 개조하려는 문학관이 밑받침되어 있다. 그의 역사소설은 일제식민지시대 민족의식의 소설적 추구라는 점에서 존재의의가 인정되지만, 한편으로는 역사의 사유화에 떨어지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박종화는 그의 문필 생활의 반 이상을 역사소설을 쓰는 데 바쳤다. 여기서 역사소설이란 것이 근대문학의 차원에서 양식의 의미를 띨 수 있는가를 따져야 한다. 그러나 역사소설이 양식의 기미를 띠려면 역사를 전진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사회적 등가물로서 자아 각성의 의미를 포착하는 근대소설이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한국 신문학은 단 한 편의 역사소설도 가졌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일단 역사소설을 해양소설이나 농촌소설이라는 정도의 구분으로 받아들이기로 한다면, 춘원(春園), 김동인(金東仁), 월탄(月灘) 등의 역사소설에서 중요한 것은 그러한 작품이 씌어지게 된 시대적 이유이다. 그 동기에 관해서 월탄 스스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역사소설의 형태를 빌어서 문학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역사소설의 주인공을 통해서 나는 현대인간들과 대화를 하면서 이 땅, 이 조국을 아름답게 건축해보자는 것이다.” (……) 월탄의 낭만적인 기질은 <백조> 때와 마찬가지로 그의 역사소설에서도 변질되지 않음은 “조국을 아름답게 건축해보자”라는 그의 말에서도 드러난다. 따라서 그의 역사소설은 대개 실록에 근거한 정사적(正史的) 소설일지라도 작가 자신의 낭만적 정신의 기초에서 착상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의 묘사에 있어서 객관성이 결여된 점이 적지 않다는 것이 그의 한 결함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의 역사소설의 또 하나의 결함은 민족적 영웅이나 위인을 주제로 한 것이 많은 것에 반하여 한 시대의 역사를 직조해나가는 근원적인 주체인 평민을 의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그의 최초의 장편 역사소설 <금삼의 피>는 1935년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는데, 이 작품은 연산군을 소재로 한 것이다. 작가는 역사의 실제적 인물인 연산군을 포악무도한 왕으로만 처리하고 있지 않다. 연산군의 광적인 정사(情事) 상태는 선천적인 것이 아니고 후천적인 동기, 즉 비명에 죽은 친모의 비참한 최후를 알게 된 데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연산군의 반항적이며 복수적인 성격의 성장과정에 대한 묘사나 연산군의 폭정에 항거하는 반정(反正)거사에 대한 서술 등은 작가가 지닌 낭만 정신의 표상이며 그는 폭군을 조형함에 있어서 그 난폭한 행동의 이면에 인간적인 오뇌와 고독을 그리려고 애쓴다. 실록에도 단죄되어 있는 연산군의 생모를, 그리고 연산군을 신성화하려 한 이러한 노력은 민족의식의 보루인 역사를 생활화해야 하는 사명감 내지 당위에 의한 일면적 진실을 지닌다. - <한국현대문학명작사전>, 김윤식, 일지사, 1979월탄 박종화가 역사소설로 전신하면서 본격적으로 독자의 관심을 끌어 크게 평판된 것이 <금삼의 피>이다. (……) 월탄의 역사물로는 처녀작이기도 한 <금삼의 피>가 쓰여지기까지의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매일신보> 사장이었던 이상협(李相協)이 편집부장 염상섭(廉想涉), 학예부장 조용만(趙容萬), 전속화가 이용우(李用雨), 이승만(李承萬) 등을 통해 월탄에게 소설 연재를 여러 차례 간청해서 썼다고 전한다. 특히 이용우가 월탄을 찾아와 삼고초려(三顧草廬)를 빙자해서 강권에 못 이겨 연재를 시작하게 되었다고 알려졌다. (……) 폭군 연산군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 <금삼의 피>는 우리나라 신문소설로서 효시가 되는 작품이다. 연산군이 자기의 생모인 ‘윤씨’를 복위시키고자 일으킨 갑자사화(甲子士禍, 1904년~연산군10년)를 작품화시킨 것이다. 월탄은 이 소설을 쓰기 시작하면서 폭군 연산의 삶을 회상하는 대목에서 “지금에 이르러서는 그 모두가 한바탕 꿈자리에 지나지 않음을” 실토한다. 이 장편소설은 ‘서사(序詞)’를 비롯, ‘장한편(長恨篇)’, ‘사모편(思母篇)’, ‘필화편(筆禍篇)’, ‘척한편(滌恨篇)’, ‘실국편(失國篇)’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미 <폭군 연산>이란 제명으로 널리 소개된 이 작품에서 작가는 연산을 하나의 광인으로 처리하지 않았다. 연산의 횡포적인 망발은 비명에 죽은 어머니의 비참한 최후를 알게 된 데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혀주고 있다. 말하자면 역사의 이면에 비친 인간성을 생생하게 추구해본 것으로서 연산군의 온갖 잔인한 행동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긍정적 서술 태도로 인하여 연산에 대한 일말의 연민을 유발케 한다. (……) 비록 정사(正史)로는 폭군인 연산의 인간상을 낭만적 문장과 풍부한 상상력으로 승화시킨 <금삼의 피>는 폭넓은 독자들의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할 것이다. 한편, 연산군의 반항적이며 복수적인 성격의 성장 과정이나 반정의 묘사 등에 대한 서술은 작가가 지닌 낭만정신의 표상이며, 주인공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도 난폭한 행위의 이면에 인간적인 오뇌와 고독을 그리려 한 점은 <금삼의 피>에서 강한 독후감으로 남는다. 이것은 바로 역사를 생활화하려는 작가 정신의 일면이라 할 수 있다. 월탄의 최초의 장편 역사소설 <금삼의 피>는 작품의 전편을 통해 연산군이란 특정 군왕의 성격 파탄에 대한 기록으로 일관된 느낌이지만 작가는 그 인물을 심리적으로 추적하여 횡포적 망발들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표현에 있어서도 서사시적인 방법으로 작품에 생기를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기에 족하다. 이런 시각에서 평가한 조규일(曺圭鎰)은 이 소설은 연산군의 자기파괴와 세계에 대한 파괴를 다룬 것이라 전제하고 구체적 실례로 세계에 대한 파괴는 김종직의 서적을 불태우면서 보여준 문명적인 것에의 거부로 나타난 점과 동시에 무수한 선비들을 살해하고 후궁들을 스스로 살육하는 데서 드러난다 했다. 한편 자기에 대한 파괴는 술과 여자에 대한 탐닉으로 방종과 타락을 되풀이하고 있는 양상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의 언급에서 주목되는 것은 이 소설이 주제에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지만 그 정조에 있어서 한과 복수의 연쇄고리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데, 이는 오랜 역사를 통하여 억압과 고통 속에서 살아온 우리 민족 정서의 한 양태임을 밝힌 대목이다. 이러한 정서는 당시 식민지 시대의 시대적 환경과 연계할 때 폐모는 빼앗긴 조국의 상징이 되며 연산군의 자기 파괴는 자폭적인 민족 개개인의 심성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 이러한 한은 반드시 복수되고 만다는 것으로 일제에 대한 한과 복수의 감정이 상징적으로 표출되었음을 말해준다. 실상 이와 같은 월탄의 <금삼의 피>가 보여준 주제의식은 일찍이 작가 자신의 역사소설관을 피력한 <민족문학과 나의 창작 태도>란 글 속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역사소설이 현대소설보다 가장 편의한 점이, 가령 민족혼을 은근히 일으킨다든지 정의감을 부채질해서 불의를 응징할 때라든지 이런 때 나는 많은 효과를 보았다고 생각합니다. 현대소설로는 도저히 추악상을 그릴 수가 없습니다. 그것은 곧 현대의 권력자 또는 권력자의 불의를 선양함으로써 당로(當路)의 비위를 거슬리기 때문입니다.” 월탄은 이 글 속에서 역사소설은 결코 현실도피가 아니고 역사소설이 주는 효과는 현대소설보다도 더 강한 것이라 역설했다. 그래서 시작(詩作) 생활에서 잠깐 휴식한 그가 역사소설로 붓을 돌리기 시작했다고 했다. 아무튼 <금삼의 피>는 월탄이 역사소설로 전신하는 획기적 작품이 되었고, 또 뒤에 <대춘부(待春賦)>와 <다정불심(多情佛心)>을 쓰는 동안 역사소설가로서의 기반을 확고히 굳혀간 것이다. (……) - <박종화의 삶과 문학>, 윤병로, 성균관대출판부, 1998
관련도서
<박종화의 문학과 사상>, 월탄박종화탄신100주년기념문집간행위원회 편, 범우사, 2001 <박종화의 삶과 문학>, 윤병로, 성균관대출판부, 1998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편, 서울대출판부, 2004 <국어국문학자료사전>, 국어국문학편찬위원회 편, 한국사전연구사, 1995 <한국근대문인대사전>, 권영민 편, 아세아문화사, 1990 <한국현대문학명작사전>, 김윤식, 일지사, 1979
연계정보
-연산군
-폭군 연산
-박종화(朴鍾和)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