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예안이씨충효당(禮安李氏忠孝堂)

작품명
예안이씨충효당(禮安李氏忠孝堂)
소재지
안동시 풍산읍 하리
지정종목
보물 제553호
장르구분
주거건축
개요
안동에서 예천 방향으로 34번 국도를 따라 가다 보면 풍산의 제일 아래쪽에 있는 마을인 하리에 닿게 된다. 주변에 넓은 풍산들이 펼쳐져 있어 뚝방 길에 오르면 일대가 한 눈에 들어오고 넓은 풍산들의 동쪽 끝자락에 나지막한 산이 감싸고 있는데 이 곳에 예안 이씨 충효당이 위치하고 있다. 이 집은 처음 풍산에 내려온 근재 이전(近齋 李筌)의 둘째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왜적을 막다가 순국한 풍은 이홍인(豊隱 李洪仁) 선생의 종택이다. 이홍인은 무예(武藝)와 병술(兵術)에 능숙하였고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의병장(義兵將)으로 풍천구담(豊川九潭)에서 왜적과 싸워 많은 전공을 올린 다음 진중(陳中)에서 순국(殉國)하였다. 1551년(명종 6)에 지은 건물이며, 충효당(忠孝堂)이라 부르는 까닭은 이홍인의 충과 그의 8대손인 이한오의 효를 기리기 위해서이다. 이 집은 안동 풍산에 낙향한 중시조의 집이기에 ‘예안이씨종택’은 정확한 표기가 아니며, ‘충효당종택’이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부분적으로 수리를 하고 변형도 되었으나 나직한 야산을 배경으로 하고 풍산평야를 바라보며 자리잡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상류주택과는 달리 소박하고 서민적인 민가 성격이 강하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이 집은 ‘ᄆ’자형 평면의 몸채와 ‘―’자형 평면의 별당이 따로 건축되어 있다. 몸채는 서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왼쪽에 사랑방과 대청으로 구성된 사랑채를 두고 그 옆에 중문과 마구간, 방을 두어 안채와 연속시키고 있다. 안채는 ‘ᄆ’자형의 동북쪽에 자리잡고 있는데 동북쪽 안쪽에서부터 부엌·안방·대청·건넌방을 두고 다시 ‘ᄀ’자로 꺾여서 부엌·방·부엌을 두어 중문간채와 연결시키고 있다. 부엌 앞쪽으로는 곳간이 2칸 설비되어 있으며 이는 사랑대청과 연결되어 있다. 사랑대청은 전면과 측면을 창호 없이 개방하였고 사랑방은 띠살여닫이창을 달았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ᄆ’자형 평면 모두를 한 지붕 속에 둔 관계로 우진각지붕 형식과 맞배지붕형식으로 마무리하였다. 안채도 막돌허튼층쌓기를 한 기단 위에 네모기둥를 세웠는데 안방 전면과 대청 전면의 기둥들은 원기둥을 세웠다. 가구는 오량으로 대들보를 앞뒤의 평주 위에 놓고 그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받치고 다시 판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치고 있으며, 처마는 홑처마이다.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된 몸채의 북쪽 떨어진 곳에 정면 3칸, 측면 2칸 크기의 별당인 백원당(百源堂)이 있다. 이의 평면에는 북쪽인 왼쪽에 정면 2칸, 측면 2칸의 누마루를 두고 남쪽인 오른쪽에 한 칸 반 크기의 온돌방과 반칸폭의 퇴를 두었다. 구조는 막돌허튼층쌓기를 한 기단 위에 막돌초석을 놓고 원기둥을 세워 창방으로 결구하였고, 주두를 얹어 쇠서를 내민 이익공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기둥 사이의 창방 위에 소로를 놓아 굴도리의 장여를 받쳤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사이트
안동대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