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서울동묘(東廟)

작품명
서울동묘(東廟)
소재지
서울시 종로구 숭인동
지정종목
보물 제142호
장르구분
유교건축
개요
서울 지하철 1호선 신설동역에서 동대문 쪽으로 가다보면 높은 담장으로 둘러쳐진 곳 숭인동에 삼국지의 영웅인 중국의 관우를 모신 동묘(東廟)가 위치하고 있다. 이 건물의 정식 명칭은 동관왕묘(東關王廟)이며 조선 말기에는 관왕을 관제로 높여 불렀던 관계로 관제묘(關帝廟)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문묘의 상대적인 말로 무묘(武廟)라고 칭하기도 한다. 임진왜란 후인 1599년(선조 32)에 관우의 영혼이 왜병을 물리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여 명(明)의 신종(神宗)이 난후(亂後) 창건비용과 친필로 쓴 현액(懸額)을 보내와서 착공되기 시작하였다. 1602년(선조 35)에 완성된 건물로 중국 묘사 건축의 형식을 본받았으므로 그 평면이나 외관은 한국의 다른 건축물들과 비교하면 매우 색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동묘의 건축은 남묘(南廟), 북묘(北廟) 등 서울에 창건된 관우를 모신 묘사 중 가장 웅장하고 거대한 대표적인 건물이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배치는 일반 문묘의 배치와 유사해 정문인 외삼문(外三門), 중문인 내삼문(內三門)을 두고, 그 안에 이들 문과 정전을 잇는 중심축선에 좌우대칭으로 동무(東廡)와 서무(西廡)를 배치했다. 이곳 동묘는 남쪽 담 한가운데에 낸 삼문으로 드나들게 되어 있다. 낮은 기단 위에 세워진 외삼문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가운데 세 칸에 널문을 달았고, 좌우 한 칸에는 사고석으로 벽을 치고 살문을 단 마루방을 꾸몄다. 공포는 다포계(多包系)이며 연등천장을 하였고 겹처마로 되어 있다. 지붕마루는 양성(兩城)을 하고 취두(鷲頭)와 용두(龍頭)를 각각 설치하였고, 이 대문 좌우에 일각문(一角門) 모양의 협문(夾門)을 두고 담장에 연결되었다. 대문을 들어서면 중문(中門)인 내삼문이 있고 그 좌우에 담장을 쳐서 안팎을 구분하고 있다. 이 중문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단층 팔작지붕이며 7량(樑) 구조로 주심포(柱心包)를 얹고 측면은 벽을 쳤다. 천장은 연등천장에 겹처마이며 지붕마루는 양성을 하고 취두, 용두, 잡상을 얹었다. 중문 안뜰에는 동ㆍ서에 동무와 서무가 있고 이들의 안쪽에 한층 높게 꾸민 기단(基壇)위에 정전(正殿)이 남향하고 있다. 정전은 보기 드문 중국식 건물로서 평면구성, 지붕구조, 외장(外裝)기법 등이 우리의 건축과는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평면이 앞뒤로 길쭉한 장방형을 이루고 내부는 본실과 전실 두 부분으로 구분된다. 각각 3*2칸의 규모를 가졌으며 중간에는 문짝을 달아 두 실의 사이를 막아놓았다. 좌우 측면과 뒷면은 전벽(塼壁)을 쌓았고, 앞면에는 살문을 달았으며, 주위에는 앞면을 제외한 삼면에 회랑같이 트인 좁은 툇간을 두었다. 공포는 익공계(翼工系)이며 낮고 넓은 기단을 앞에 두고 건물을 앉혔는데,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치장하였다. 건물의 내부바닥에는 전을 깔았는데 본실은 전실보다 한 단 높게 하고 중앙 뒤쪽에 단(壇)을 만들어 관우의 목상(木像)을 안치해 놓았다. 그 좌우에 네 명이 무장(武裝)하여 마주보고 있는데, 오른쪽에는 관평(關平)과 주창(周倉) 상(像)이 있고 왼쪽에는 옥보(玉甫)와 조루(趙累)상이 나란히 서 있다. 이들은 모두 소조상(塑造像)들로 판상(板床)위에 제각기 무기를 들고 서 있다. 정전 앞면은 기단의 면적을 넓게 하고 평면과 내부공간 분위기가 중국식인데 비하여, 지붕은 전통적인 궁궐건축 기법을 따라 대조를 이룬다. 내부가 전실과 주실로 구분된 것에 따라, 지붕도 두 개의 팔작지붕을 T자형으로 합친 것같이 특이한 형태다. 그러나, 하나 하나의 지붕은 모두 지붕마루를 양성하고 잡상을 장식하는 등, 전형적인 한국 궁궐형식의 수법을 볼 수 있다.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서울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문화재 서울편>, 홍대형, 기문당, 2001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