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영천향교 대성전(永川鄕校 大成殿)

작품명
영천향교 대성전(永川鄕校 大成殿)
소재지
경북 영천시 교촌동
지정종목
보물 제616호
장르구분
유교건축
개요
영천향교는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 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1435년(세종 17)에 창건되었으며, 중국 목수에 의해 건축된 특이한 구조의 건물이다. 1513년(중종 8)에 군수 김흠조(金欽祖)가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사인(士人) 이현남(李顯男)이 대성전에 봉안되어 있던 5성의 위패를 자양면 기룡산의 성혈암(聖穴巖)으로 옮겨 난을 피하였다가 환안(還安)하였다. 1622년(광해군 14)에 군수 황효의가 중건하였으며, 명륜당은 1546년(명종 1)에 군수 이중량이 창건하였는데, 1570년(선조 3)에 소실되었다. 임진왜란 뒤 1619년 군수 조명운이 중건하였다가 1782년(정조 6) 화재로 일부 건물이 소실되어 2년 뒤인 1784년 군수 심진이 다시 수축하였다. 그 뒤 현종~숙종 때 군수 한명원이 전사청(典祀聽)을 신축하였고 고종 때 군수 남필우가 보수하였다. 1970년에는 서재(西齋), 1972년에는 동재(東齋), 그리고 1973년에 전사청을 보수하였다. 문묘인 대성전에서는 공자를 비롯한 중국 성현 7인과 영천 출신 포은 정몽주 선생을 비롯한 우리 나라 성현 18인의 위패를 모시고 향사를 지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1908년에는 향교의 전답을 재정적 기초로 하여 사립 영흥학교(永興學校)를 설립, 새로운 근대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듬해에 명륜학교(明倫學校)로, 1910년에 봉명보통학교(鳳鳴普通學校)로 개칭되었다가 국권 상실과 함께 1911년에는 영천공립보통학교로 이관, 개편되었다. 현재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10칸의 명륜당을 비롯하여 동재·서재·삼일재(三一齋)·전사청·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경사지에 위치한 영천향교의 가장 안쪽에 자리잡은 건물로 남쪽의 명륜당과 문루인 유래루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영천향교 대성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을 구성한 겹처마 맞배집으로 양측 박공에 풍판(風板)을 달았다. 기둥은 민흘림한 원기둥이며 잡석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사용하였다. 주두(柱頭) 위의 결구방식은 초익공(初翼工)형식이나 살미 끝을 둥글게 굴려 외일출목(外一出目)으로 외목도리(外目道里)를 받게 하였으며 내부에는 간단한 보아지를 두어 대들보를 받게 하였다. 이 대성전은 앞간을 툇간으로 하여 외부가 되는 일반적인 평면과는 달리 측면 3칸 전체를 내부로 하였다. 이는 전퇴를 개방하는 일반적인 문묘건축과 다른 점이다. 어간과 협간에는 2분합 판문을 달았고 판문 윗부분에는 정자살의 광창을 달아 채광효과를 주었다. 구조는 5량가의 연등천정이며, 키 큰 원기둥을 사용하여 건물이 훤출하게 보이게 하였다. 내부의 가구는 전퇴가 없는 관계로 평주 위에서 시작되었다. 자연스럽게 휘어진 굵은 소나무를 대들보로 걸고, 삼분변작(三分變作)의 수법으로 종보을 놓고 마루대공을 받았다. 중대공은 동자주를 세워 접시받침을 놓고 양봉과 첨차로 구성한 포대공형이고, 마루대공은 파련대공이다. 전퇴를 두지 않고 정면 평주칸에 바로 창호를 설치하고, 기둥을 높게 하여 상부의 가구를 간결하게 처리하여 내부를 경쾌하게 구성한 것 등이 특이하다. 영천향교 대성전은 조선시대 향교의 공간 구성과 구조 형식을 잘 보여준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경북편>, 건축가협회, 1999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