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나주향교 대성전(羅州鄕校 大成殿)

작품명
나주향교 대성전(羅州鄕校 大成殿)
소재지
전남 나주시 교동
지정종목
보물 제394호
장르구분
유교건축
개요
나주향교는 나주의 주산인 금성산의 줄기인 장원봉의 남사면에 기대어 있으나 향교가 자리한 대지는 지형의 경사가 거의 없는 완만한 평탄지이다. 그 규모나 격식 면에서 전남 제일의 향교일 뿐 아니라, 남아 있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전국의 향교 가운데서도 수위(首位)에 해당된다. 이는 1398년(태조 7)에 창건되었다 하나 정확한 근거자료는 확인할 수 없다. 단지 동재·사마재의 상량문과 문묘 중수상량문이 있고, 1597년(선조 31)에 교복(校僕)인 김애남이 정유재란으로 향교가 위태롭게 되자 죽음을 무릅쓰고 성묘(聖廟)의 위패를 금성산으로 옮겼다가 왜병이 물러간 후 다시 안전하게 봉안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조정에서 듣고 그를 위해 사우를 건립토록 하였다는 내용의 충복사유허비(忠僕祠遺墟碑)가 있다. 이 사료들을 종합하면 고려·조선시대의 나주가 전남지방의 중심지로서 면면이 이어져 왔음을 감안할 때 나주향교는 조선초기에 창건되었으나 선조때의 왜란으로 피해를 입었고 인조 때에 중수 중건의 역사가 있었으며, 현종·숙종 때에도 중수 중건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대성전은 이때 중수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 그러나 1900년대에 사마재·수복청·양사재 등이 헐리고 1920년대에는 서재와 충복사가, 1952년에는 동·서무와 동재 등이 헐리게 됨으로써 위축된 모습으로 남게 되었던 것을 1959년 동·서재를 중건하고 1980년 명륜당과 동·서익당을 보수하였다. 그 후로 1981년 담장 개축, 대성전 및 동·서재의 보수가 있었고 1986년 관리사를 신축하여 지금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민가가 꽉 들어찬 가운데 대성전과 명륜당 영역을 앞뒤로 두고, 그 측면에 지금은 없어졌지만 사마재와 고직사 등을 배치하였다. 외삼문과 내삼문은 모두 평삼문의 형식을 하고 있다. 내삼문을 지나면 대성전과 동ㆍ서무로 이루어진 제향공간이 나타나고, 명륜당 및 동ㆍ서재는 협문을 지난 그 뒤 공간에 위치한다. 교직사는 동재의 오른편 담장 밖에 위치하며, 명륜당과 서재 사이에는 연지(蓮池)를 만들어 관상공간을 삼았다는 점도 나주향교의 특색이다. 나주향교 대성전은 전국에 있는 대성전 가운데 가장 장엄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성전은 측면 4칸 가운데 전면의 제1칸을 개방하여 전퇴공간으로 삼았고 나머지 3칸은 우물마루를 깐 내부공간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연화문양을 새긴 굽이 높은 원형 초석위로 배흘림이 강한 원기둥을 세웠고, 기둥 위에는 출목을 갖는 3익공식 공포를 사용하였다. 특히 기둥머리에서 튀어나온 초제공에 첨차 없이 소로만을 두어 주심포식에서의 헛첨차와 같이 처리하였고 2제공에 행공첨차를 두어 외목도리를 받쳤는데 도리 역시 굴도리를 사용하였다. 가구방식은 제2열과 제4열 기둥을 고주로 처리하고 전면 제1칸과 후면 제1칸을 각각 외진 평주 위에 툇보를 걸어 전체적으로 2고주 7량가의 짜임새 있는 가구기법을 보여준다. 향교 대성전 건물 가운데 2고주를 둔 예 역시 나주향교가 유일하며, 그 결과 내부 공간에 후면의 고주열이 나란히 노출되게 되었다. 기단은 전면 기둥열에서부터 약 7m 가량 전면으로 돌출된 월대 형식의 기단을 두고, 툇간과 처마 밑의 공간으로는 이보다 한 단 높게 올리고 전돌을 깔아 이중 기단의 형식을 취하였다. 월대의 공간은 향사시의 공간적 수요를 고려한 것이다. 월대로 오르는 계단석은 전면에 두 개,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두었는데 특히 전면 계단에는 소매돌을 두어 보강하였고 월대의 축성은 장대석을 바른층쌓기로 처리하였다. 전면의 창호는 정면 5칸 중 가운데 중앙의 어간과 양쪽 마지막 칸에 출입을 위한 골판문을 두고, 사이에 낀 두 칸에는 세 살을 박는 광창을 중방 위로 설치하였다. 대성전은 평면과 세부기법에서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향교 대성전 양식을 찾아볼 수 있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전남편>, 건축가협회, 1999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