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창경궁(昌慶宮) 명정전(明政殿) 및 명정문(明政門)

작품명
창경궁(昌慶宮) 명정전(明政殿) 및 명정문(明政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지정종목
보물 제226호
장르구분
관영건축
개요
서울에는 현재 5개의 궁궐이 남아 있다. 현존하는 궁궐은 경복궁(景福宮, 사적121호)과 창덕궁(昌德宮), 창경궁(昌慶宮), 덕수궁(德壽宮), 경희궁(慶凞宮)이다. 창경궁은 원래 수강궁(壽康宮)이 있었던 곳으로, 1418년 세종이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해 고쳐 지었다. 그러다가 성종조에 대왕대비와 대비를 모시기에 부족한 궁궐을 보충하기 위해 수강궁터에 새로이 창경궁을 창건하였다. 창경궁은 서울의 다른 궁궐과 같이 임진왜란 때 불탔으나, 광해군이 주요 건물들을 중창하였다. 창경궁의 명정전과 명전문 그리고 홍화문이 그 때 중창된 건물들로 아직까지 남아 있는 것이다. 창경궁은 그 후 일제감정기를 거치면서 본격적으로 파괴되어 궁궐로써의 면모를 많이 잃었다. 1909년 창경궁은 동물원과 식물원을 개원하면서 많은 전각들이 헐려 버렸고, 1911년에는 이름마저 창경원으로 바뀌었다. 해방 후에도 창경원으로 계속 존속해 오다가 1984년부터 복원을 통해 비로소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명정전은 창경궁의 정전으로서 나라의 공식적인 행사가 이루어지던 곳이며 명정문은 명정전에 들어가기 위한 정문이다. 궁궐의 정전에서는 신하들의 조하(朝賀) 또는 국왕의 즉위식, 외국 사신의 접견 등의 행사가 이루어졌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창경궁의 정문인 홍화문에서 옥천교를 건너면 바로 명정문이 있고 명정문을 들어서면 명정전이 있다. 명정문의 위치는 명정전의 동서 중심축선 상에 정확히 놓이지 않고, 남쪽으로 약 1.2m 벗어나 있다. 보통 다른 궁궐의 경우 정전에 이르기 위해서는 3개의 문을 지나야 하지만, 창경궁의 경우는 홍화문과 명정문 2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창경궁의 특색 중 하나이다. 또한 창경궁은 다른 궁궐과 다르게 유일하게 동향을 하고 있는 궁궐로써 명정전도 정문과 함께 동향을 하고 있다. 명정전은 창경궁의 정전(正殿)으로 정면 5칸 60.4척, 측면 3칸 32.28척 규모의 단층 팔작지붕 집이다. 뒷면에 따로 지은 퇴칸이 부속되어 행각으로 연결되었다. 화강석으로 조성된 넓은 이중 월대 위에 낮은 장대석 기단을 만들었다. 명정전 터는 뒤쪽이 높게 경사져 있으므로 월대는 뒤를 제외한 3면에만 조절하여 쌓았고 정면 중앙과 북쪽 중앙에 화강석의 계단이 시설되어 있다. 계단 중앙에는 한쌍의 봉황을 돋을 새김한 답도를 박았으며, 월대에 난간은 설치하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다른 궁궐에 비해서는 다소 격식이 약화된 모습이다. 건물의 구조는 16개의 평주(平柱)와 4개의 고주(高柱)로 형성되었다. 고주는 전면에만 배치되어 내부의 전면이 퇴칸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정면 중앙 3칸은 분합문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 퇴칸의 하단에 적벽돌이 약 12층 쌓여 있다. 공포는 다포계 형식으로 내4출목, 외3출목의 포작을 평방 위에 촘촘히 조립했다. 공포의 짜임새는 대단히 견실하고 쇠서의 곡선은 경직하며 초각 솜씨도 힘차고 긴장미가 있어 조선 초기의 수법을 발견할 수 있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각 마루는 양성을 하였다. 또한, 용마루에는 취두를, 합각마루 끝에는 용두를 올리고 추녀마루에는 잡상을 두었다. 이 건물은 기둥 사이의 문얼굴과 광창의 구성은 재건 당시의 것으로 근정전(勤政殿)이나 인정전(仁政殿) 등과 같은 모양을 하여 다른 궁전의 모범이 된다. 명정문은 정면 3칸, 측면 2칸, 단층 팔작지붕이며 좌우는 행각으로 연결되었다. 행각은 2칸폭의 복랑(復廊)이며, 경복궁의 것에 비해 높이가 낮다. 이 문의 공포는 다포식 공포를 갖고 있으나, 매우 희귀한 형태로 꾸며져 있다. 공포는 내3출목, 외2출목으로 일반적인 수법이지만, 특이하게도 외부의 구성에서 출목(出目)을 하나 생략하고 제공을 하나만 두었다.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하고 합각머리 밑의 복잡한 가구 구조를 편천장(片天障)으로 숨기고 있는데 이것도 특이한 수법이다. 전체적으로 건물의 짜임이 건실하고 알찬 것으로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문이라 하겠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서울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문화재 서울편>, 홍대형, 기문당, 1999 <한국의 건축>, 김봉렬, 공간사, 1994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궁궐길라잡이
관련사이트
궁궐지킴이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