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흥국사 대웅전 및 홍교

작품명
흥국사 대웅전 및 홍교
소재지
전남 여수시 중흥동
지정종목
보물 제396호, 보물 제563호
장르구분
불교건축
개요
진달래 꽃으로 유명한 영취산의 중턱에 자리잡은 흥국사는 1195년(명종 25)에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이 절의 승려들이 이순신 장군을 도와 왜적을 무찌르는데 공을 세웠으나 절이 모두 타 버려 지금 있는 건물들은 1624년(인조 2)에 사찰을 중수한 것을 시작으로 1800년대까지 계속 복구되었다. 대웅전은 1624년(인조 2)에 계특대사가 절을 고쳐 세울 때 다시 지은 건물로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절의 중심 법당이며, 조선중기 이후에 흔히 볼 수 있는 다포계의 화려한 양식으로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둥글게 높이 솟은 영취산을 배경으로 웅장하게 자리잡고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보물 제578호로 지정된 영산회상도가 봉안되어 있다. 석가모니 주위로 네 보살과 여섯 제자, 팔부신중, 분신불 등이 설법모임에 운집하여 법을 청해 듣고 있는 장엄한 광경을 그린 것이다. 이 불화는 원만한 형태와 고상한 색채의 조화로 17세기 후반기를 대표할만한 뛰어난 걸작이라 하겠으며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흥국사 입구에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인 홍교가 있는데, 이는 순천 선암사의 승선교와 함께 빼어난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639년(인조 17)에 세워진 다리로, 지금까지 알려진 무지개형 돌다리로서는 가장 높고 길며, 주변 경치와도 잘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다리이다. 이 다리는 절의 품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홍교를 사찰 복구초기에 건립한 것으로 보아 당시에 대단히 중요한 불사 중의 하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대웅전 기단은 긴 장대석으로 바른층 쌓기를 하여 그 위에 갑석을 깔았다. 특히 대웅전이 반야용선(般若龍船)을 상징하므로 그 기단은 바다를 상징해서 거북, 게, 해초, 등을 조각하고 정면계단 양편에는 용을 조각하여 호위하는 형태를 취했다. 정방형의 초석 위에는 배흘림의 원기둥을 세웠고, 기둥 위로는 창방과 평방이 연결되고 그 위에 주두와 공포가 결구되는데 출목수가 외3출목 내4출목으로 웅장하다. 첨차의 형식은 교두형이며 원호곡선을 비교적 짧게 처리하였다. 각기둥 사이로는 공간포를 3구씩 배치하여 건물 전체의 분위기는 매우 화려한 느낌을 준다. 공포와 공포사이의 내벽에는 원불벽화를 그리고 시주자의 명단이 적혀있다. 대웅전 내부 고주(高柱)의 후벽에는 흙벽에 한지를 덧붙여 반가사유(半迦思惟)의 백의관음(白衣觀音)벽화가 모셔져 있어 매우 특이하다.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정면 3칸은 기둥 사이를 같은 간격으로 분할하고 각각 4분합의 빗살과 정자살의 복합문을 달았는데 문 하단부 판장부분과 창살부분을 분리하여 창살부분만 열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 빗살문은 상부를 구분하여 교창(交窓) 모양으로 꾸몄으므로 문짝의 키가 높으며 따라서 기둥의 높이를 높게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고 있다. 내부의 대들보 위에는 우물 천장을 가설하였으며 바닥에는 마루를 깔았다. 지붕은 팔작이며 처마는 곡선이 경쾌한 겹처마로 되어 있고 네 모서리의 추녀마루에 활주를 세웠다. 그리고 홍교는 맑은 계곡물 양쪽을 기초로 삼아 잘 다듬은 86개의 장대석을 짜올리고 있는데 반원을 이루도록 하고 서로 맞물려 스스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절묘한 구성을 하였다. 계곡의 암반 위에 잘 다듬은 돌을 원으로 쌓아 올린 것은 선암사 승선교의 예와 동일하다. 다리 주위로는 자연석의 작은 돌들을 그냥 쌓아올려 아치형의 결구를 좀 더 튼튼하게 보완해주고 있어 다리의 면모를 한결 돋보이게 해주고 있다. 홍예의 중심 머릿돌은 용머리를 새겨 돌출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의장은 다리의 격을 높여주고 있는 것이다. 신앙적으로도 용이 불교에서 인식되는 것은 호법, 호국, 호민의 의미이므로 고통의 세계에서 불국의 세계로 건너는 다리로 모든 중생들을 보호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져 있어 외형적인 아름다움과 함께 신앙적인 내용까지 생각했던 조상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전남편>, 건축가협회, 1999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