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통도사(通度寺) 대웅전(大雄殿) 및 금강계단(金剛戒壇)

작품명
통도사(通度寺) 대웅전(大雄殿) 및 금강계단(金剛戒壇)
소재지
경남 양산군 하북면 지산리
지정종목
보물 제144호
장르구분
불교건축
개요
통도사는 양산 영취산(靈鷲山) 밑 계곡을 따라 동서방향으로 길게 자리를 잡았다. 당나라 때 자장율사가 석가여래 진신사리를 모시고 와서 선덕여왕 말년(646)에 계단(戒壇)을 지었다고 전해지며, 기단은 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대웅전은 발견된 묵서명에 순치(順治) 2년, 즉 1645년(인조 23)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중기에 현재의 모습이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경내에는 용화전, 관음전, 응진전, 범종각 등 35동과 법등, 법탑이 있으며 절 주위에는 17개의 암자와 울창한 원시림이 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통도사는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동서방향의 진입축상에서 각 영역의 주 건물은 남북방향의 부축으로 배열되어 있다. 천왕문을 들어서면 먼저 3층탑을 중심으로 하여 영산전과 만세루 등으로 둘러싸인 내정을 만나게 된다. 이를 하로전(下爐殿)이라 부른다. 여기를 지나 불이문으로 경계지어진 중로전(中爐殿)은 대광명전을 중심으로 용화전과 관음전들이 배치되어 있다. 마지막은 대웅전과 금강계단을 중심으로 한 상로전(上爐殿)이다. 대웅전은 통도사의 주불전인 동시에 상로전의 주불전이기도 하다.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상로전의 가장 북측에 자리하며, 그 앞으로 대웅전이 있고, 중앙 마당을 중심으로 동서 양측에 응진전과 명부전이 있다. 금강계단을 제외한다면 세 불전이 마당을 둘러싸는 3불전형의 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대웅전은 내부에 불상이 없고, 개구부를 통하여 뒷편 금강계단을 배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불전이라기보다는 예불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배치에서 대웅전은 동측이 정면이어야 한다. 하지만 상로전의 진입축은 남북이기 때문에 대웅전의 정면은 또한 남면이 된다. 이러한 이중적 요구를 위하여 대웅전의 내부는 'ㄱ'자 형태의 기둥열을 둔 합성형 평면으로 구성되었고, 지붕은 '丁'자형으로 하였다. 합각은 정면과 좌우모두 세 면에 설치되어 세 면 모두 정면성을 두었다. 대웅전은 동서면 5칸, 남북면 3칸 규모이며 1고주 9량집이다. 주간이 넓고, 거대한 내부 공간을 만들기 위해 대들보를 포함한 4개의 보와, 외목도리를 제외한 9개의 도리로 구조틀을 만들었다. 포작은 다포계의 3출목으로서 첨차나 쇠서에 장식적 초각이 없어 초기적 수법을 보여주며 기단을 제외하고는 조선시대의 양식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통도사의 기단은 지대석(地臺石)위에 우주(隅柱)와 탱주(撑柱)를 세워 이 사이에 연꽃이 조각되어 있는 면석(面石)을 끼웠다. 상부는 상대갑석(上臺甲石)을 놓아 마무리하였다. 즉, 가구식(架構式)으로 기단(基壇)을 짰다. 기단 위에 놓은 초석의 일부는 주좌(柱座)를 쇠시리(나무의 모난 면을 모양지게 깎아 만든 것)한 고격(古格)의 것이고, 일부는 막돌초석이며, 이 위에 배흘림 두리기둥을 세웠다. 창호를 보면, 동측면의 중앙 어칸은 꽃살문에 꽃들을 촘촘히 초각하였다. 또한 좌우 협칸의 살대는 단순한 빗살이지만 궁창에는 꽃무늬로 조각하여 장식성을 높였다. 대웅전으로서의 품격은 내부공간에서 잘 나타나는데, 기둥머리에서 4출목으로 경사져 중앙을 향하다가 3단의 층급이 있는 소란반자를 꾸며 중심의 공간감을 강조하고 있다. 지붕에서 숫막새기와 마다 백자연봉을 설치한 것도 주불전으로서 품격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장식적 수단으로 보여진다.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층단천장을 이루면서 우물천장으로 마무리하였다. 한편, 금강계단은 초층 너비 약990㎝, 총높이 약300㎝이며, 이중의 넓은 방단(方壇)위에 석종(石鐘)의 부도를 안치하였다. 석단 네 귀퉁이에는 사천왕상을, 기단 상하 면석에는 비천상과 불보살상을 배치하였다. 석단 외곽에는 석조 난간을 돌렸고, 계단 정면에는 석문(石門)을 두었으며, 계단의 층면석에는 총 32구의 불보살상을 나타냈다. 계단의 상층 중심부에 위치한 석종부도는 복련과 앙련의 상하 연화대 위에 위치하며, 그 조각수법이 다른 조각들과는 달리 매우 우수하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경남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 김봉렬, 공간사, 1994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사이트
통도사
관련멀티미디어(전체7건)
이미지 7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