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장곡사(長谷寺) 상대웅전(上大雄殿), <br> &nbsp;&nbsp;하대웅전(下大雄殿)

작품명
장곡사(長谷寺) 상대웅전(上大雄殿), <br> &nbsp;&nbsp;하대웅전(下大雄殿)
소재지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
지정종목
보물 제162호
장르구분
불교건축
개요
장곡사가 자리잡은 칠갑산은 해발 561m의 그리 높은 산은 아니다. 칠갑산이란 이름은 만물생성의 근원이 되는 땅과 불 그리고 물과 바람 등 일곱 가지 요소를 일컫는 칠원성군(七元星君)의 숫자 '칠(七)'과 천체운행의 원리가 되는 육십갑자의 첫 번째인 '갑(甲)'자를 써서 지었다 한다. 칠갑산은 만물생성의 근원과 천체운행의 으뜸이 되는 산이란 뜻이다. 장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로서 통일신라시대 통일신라시대 850년(문성왕 12)에 보조선사(普照禪師)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장곡사는 특이하게도 2개의 대웅전이 있는 절이다. 또한 경내에 탑이 없는 점도 특이하다. 경사진 대지의 아래쪽에 운학루(雲鶴樓), 하대웅전(下大雄殿 : 보물 제181호), 요사(療舍), 주지실이 있고, 그곳에서 돌계단으로 70여단을 올라가면 위쪽으로 상대웅전과 응진전이 있다. 상대웅전 안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철조약사불좌상부석조대좌(국보 제58호)와 철조비로자나불좌상부석조대좌(보물 제174호)가 봉안되어 있으며, 하대웅전에는 고려시대의 금동약사불좌상(보물 제337호)이 있다. 장곡사(長谷寺)는 이름은 긴 계곡에 자리잡았다는 뜻으로 절의 지리적인 특징이 이름이 되었다. 언제 두 개의 대웅전이 세워졌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상대웅전의 모습에는 부분적으로 고려시대의 형식이 남아 있어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판 기록에는 '건륭 42년(1778)'재건된 것으로 되어 있어 원래의 건물이 이 때 크게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일주문을 지나 한참을 올라가면 범종각과 운학루가 우뚝 서있으며, 오른쪽으로 난 길을 조금 오르면 네 갈림길이 나온다. 왼쪽에는 설선당이 있으며, 오늘쪽에는 하대웅전이 서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대웅전에는 보물 337호인 금동약사여래 부처님이 모셔져 있다. 하대웅전 우측에 있는 지장전과 편액이 걸려 있지 않은 전각 그리고 운학루와 설선당은 전체적으로 口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대웅전은 하대웅전 좌측의 돌계단 위, 우측으로 동남향으로 놓여 있다. 상대웅전은 비로자나부처가 주불로 모셔져 있으며 협시불로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가 모셔져 있다. 상대웅전 내부의 불상이나 석조대좌 방전 등이 모두 10~11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상대웅전도 이 때 처음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3칸, 측면 2칸, 무고주 5량집이며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상대웅전은 3단으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덤벙주초를 놓았다. 기둥은 강한 배흘림이 남아 있으며, 그 위에 다포로 공포를 짜 올렸다. 원래는 주심포식 건물이었으나 후일 다포식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상대웅전은 다포식 건물로 보기에는 어딘가 어색하다. 다포식 건물은 기둥 상부에서 창방 위에 평방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여기서는 창방만을 두고 평방은 생략했다. 주심포에서 다포로 변화되면서 공포를 다시 짜올리지 않고 주간포만 추가되었다는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둥 위에 짜올린 주포의 주두굽은 곡선이지만 기둥 사이의 공포인 주간포의 주두굽은 직선으로 만들어 주두 모양이 다르다. 또한, 첨차의 하단부가 곡선으로 마감되고, 측면 대들보의 단면이 항아리 모양인 것에서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닥에 마루를 깔지 않고 바닥벽돌을 깔아둔 점도 고려 때 흔히 사용하던 긴축기법이었다. 상대웅전 하단이 현재의 장곡사 중심가람인데, 이 중심가람의 주 불전이 하대웅전이다. 하대웅전의 정확한 건물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건물의 구조와 양식 수법은 조선 중기의 특징을 나타낸다. 자연석으로 2단의 축대를 쌓고 그 상단에 장대석 외벌대로 기단을 만들었다. 초석은 덤벙주초로 만들고 그 위에 약한 배흘림이 있는 원주를 세웠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겹처마 맞배지붕인데 특이하게도 사면에 공포를 배치하였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충남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 김봉렬, 공간사, 1994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