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부석사 조사당(浮石寺 祖師堂)

작품명
부석사 조사당(浮石寺 祖師堂)
소재지
경상북도 영풍군 부석면 북지리
지정종목
국보19호
장르구분
불교건축
개요
부석사는 676년(문무왕 16) 의상(義湘)국사가 왕명으로 창건한 사찰이다. 이절의 본전인 무량수전은 1916년 해체 수리 시 발견된 묵서명에는 1376년에 재건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다. 부석사에는 선묘(善妙)낭자와 부석(浮石)에 얽힌 전설이 있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 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의상대사는 태백산맥 일대의 대찰들을 대부분 창건한 것으로 전하여지는데, 대표적인 사찰로써 부석사(浮石寺), 봉정사(鳳停寺), 불영사(佛影寺) 등을 들 수 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성
부석사는 깊은 산중임에도 앞이 터진 넓은 형국의 구릉지에 입지한다. 국(局)의 주축이 정남향이 아니고 일직선이 아니어서 사찰 전체의 주축도 중간에 17˚ 정도 꺾어진다. 배치 뿐 아니라 공간 구성 방법도 지형을 최대한 이용한 전형적인 산지사찰이다. 일제 때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조사당의 건립연대는 1373년(선광 7), 1377년(홍무 10)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조사당 어간 도리에 명기된 조사당 중창기에는 홍치 3년 경술(弘治)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1493년(성종 24)에 개체하였고 1573년(선조 6)에 서까래를 다시 걸었다고 하지만, 정확한 건립연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다. 조사당(祖師堂)은 고승대덕의 영정을 모시는 전각으로써, 부석사 조사당에는 개창자인 의상의 진영이 봉안되어있다. 조사당의 내부바닥은 전돌을 깔고 정면 어간에 쌍여닫이문을 내고 좌우협간에 광창을 두었다. 평범한 맞배집으로 겹처마이고 7량집이지만 규모가 작아서 서까래를 장, 단연으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통 서까래를 쓴 점과 4분변작법으로 가구한 점등은 재치 있는 처리이며, 부재를 다듬는데 있어 뛰어난 솜씨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조사당의 건축기법은 도갑사 해탈문(道岬寺 解脫門)이나 송광사 국사전(松廣寺 國師殿)과도 유사한 점도 있지만 나름대로의 독특한 수법이 더욱 이채로운 건물이다. 조사당 전면 처마 아래에서 자라고 있는 나무는 의상대사가 꽂은 지팡이였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으며, 건물 안쪽의 좌우에는 사천왕상·보살상 등 고려 후기에 그려진 벽화가 있다. 이것들은 고려시대 회화 가운데 매우 희귀한 것으로, 고분벽화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채색 그림 중 하나였다. 원본은 보호각에 보관되고 있으며, 지금의 그림은 본떠 그린 그림으로써, 당시 벽화의 모습을 잘 전해주고 있다. 부석사 조사당은 무량수전과 더불어 몇 안 되는 고려시대의 건축문화재로써, 간결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첨차 밑 단면을 2단으로 사절한 포작기법은 아직까지도 그 예를 찾아보지 못할 정도로 건축사적으로 중요한 건축 문화재이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경북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 김봉렬, 공간사, 1994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