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무량사 극락전(無量寺 極樂殿)

작품명
무량사 극락전(無量寺 極樂殿)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지정종목
보물 제356호
장르구분
불교건축
개요
무량사는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서쪽의 만수산 자락을 배경으로 구릉이 주위를 둘러싼 곳에 위치하고 있다. 무량사는 신라 범일국사(梵日國師, 810~889)가 창건한 사찰로, 여러 차례의 중건과 중수를 거쳤으나 현재까지 밝혀진 학술자료에 의하면 고려 초에 창건된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 말 고승 무염대사(無染大師, 801~888)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중창하였으며,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창건 후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된 것을 인조 대에 중건하였는데 극락전은 이때 중건된 것이다. 무량사는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을 들어서면 비교적 평탄하고 넓은 대지에 전각들이 여유 있는 배치를 하고 있다. 가운데 5층 석탑을 중심으로 북쪽에 주 불전인 극락전이 있고, 동쪽에 명부전, 서쪽에 영산전이 있다. 극락전과 가까운 서쪽에는 우화각(雨花閣)이 배치되어 있고, 우화궁과 영산전 사이에 영정각이 있다. 영산전 북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산신전이 배치되어 있으며, 천왕문 가까이에 'ㄱ'자 평면의 요사채가 있다.
건축물의 구조 및 특징
극락보전 혹은 극락전은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교주이시며, 중생들의 왕생극락을 인도하시는 아미타부처님을 주불로 하는 법당으로써, 미타삼부경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토신앙 계통의 종파나 화엄종 등 사찰의 주불전이 될 때는 무량수전(無量壽殿), 수광전이라고도 하며, 주불전이 아닌 경우에는 미타전 또는 아미타전(阿彌陀殿)이라 한다. 사찰의 불전 중에서는 보기 드물게 2층으로 지은 건물로 밖에서 보면 2층 건물이지만, 내부는 위아래층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고 하나로 통한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중층 건물로 2층은 1층의 내부고주를 상층으로 올려 2층 평면이 되게 했다. 따라서 상층 평면은 정면 2칸, 측면 2칸이다. 정면에는 기둥 사이에 모두 살문을 달았는데 가운데칸 4짝, 그 옆의 협간(夾間)에는 2짝, 그 옆의 툇간(退間)에는 1짝을 달았다. 또, 양측면의 앞쪽 1칸과 뒷면 가운데칸에는 출입문을 달았고,그 밖의 기둥 사이에는 모두 판벽(板壁)을 쳤다. 건물의 내부에는 바닥에 마루를 깔고 주위 4면에는 너비 1칸의 바깥둘레칸을 두고, 그 안쪽에 3×2칸인 평면을 구획하여 고주(高柱)를 둘러세웠다. 이 중앙부의 뒤쪽에 불단을 크게 마련하였으며, 그 위에 아미타삼존불(阿彌陀三尊佛)을 안치하였다. 위층은 아래층에 세운 고주가 그대로 연장되어 네 귀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2층의 각 기둥 사이에는 아주 낮은 벽면이 있고 이를 판벽으로 막아 놓았는데, 원래는 빛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광창(光窓)을 설치하였다. 공포는 기둥머리 사이에도 배열한 다포식(多包式)이며, 포작(包作)의 수는 아래층이 안팎 모두 삼출목(出目)인데 반하여 위층이 안팎 사출목이어서 출목수의 변화를 주고 있다. 공포의 양식적 특징은 맨 위의 쇠서[牛舌]의 형태가 초화형(草花形)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내부의 살미첨차가 한 장의 장식판처럼 연결되어 운공(雲工: 초새김한 짧은 부재)모양으로 처리된 점과 아울러 조선 중기 이후에 전개된 장식화 경향을 잘 보여 준다. 내부의 내진주 후면 3칸에 불단을 만들고 삼존불을 안치하였는데 아미타여래좌상과 좌우협시불에 관세음과 대세지보살이 정좌하고 있다. 특히 불단의 규모가 이처럼 큰 것은 그리 흔치 않다. 내부바닥은 우물마루를 깔고, 천장은 격자모양의 우물반자로 하였다. 내부의 살미첨차는 운공으로 조각하고 측면으로 걸어둔 충량에는 용두를 조각하여 매우 화려한 모습이다. 이 건물은 조선중기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낸 불교 건축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 건물이며, 장식적인 특징이 풍부하게 보이는 중요한 건물이다.
도면 및 이미지
연계정보
관련도서 <전국 건축문화자산 충남편>, 건축가협회, 1999 <한국의 건축>, 김봉렬, 공간사, 1994 <한국의 건축문화재, 충남편>, 이왕기, 기문당, 1999 관련사이트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