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쇳물처럼

작품명
쇳물처럼
구분
1987년~1992년
작품소개
정화진의 동명소설을 각색하여 1987년 봄 대림동의 문화공간인 살림마당과 공단주변의 문화공간 등에서 공연되었다. <어떤 생일날>과 마찬가지로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전에 생산된 것으로 미조직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주로 일상적 문화공간에서 공연되었다. 관념성의 폐해를 극복하고 노동자적 리얼리티를 획득한 1980년대 후반의 민족극운동을 여는 작품 중 하나다. 이 작품은 패기 있는 젊은 노동자 칠성과 근욱, 탄광에서 일하다 주물공장으로 밀려온 중년 노동자 작업반장 천씨, 기회주의적으로 보이기도 하나 삭막한 현장생활에 웃음을 가져다 주는 밉지 않은 이씨 등의 인물을 설정하여 소규모 하청업체인 주물공장에서 벌어지는 김장보너스 투쟁을 그리고 있다. 이 작품은 처음에 소설의 구성방식을 그대로 빌어와 회상장면으로 시작되었고 조명의 빈번한 점멸과 잦은 장면전환이 있었다. 또한 사실주의적 연기와 무대극인 형상화의 경향이 짙었으나 노동자 대중들을 만나는 횟수가 거듭되면서 보다 마당극적인 형상화로 바뀌어갔고 술집 장면이나 축구시합 장면들이 보충되어 극의 재미와 흐름을 매끈하게 해주고 노동자적 낙관성과 리얼리티를 보강해주었다. - <민족극 대본선 3 – 노동연극 편>, 민족극연구회 엮음, 풀빛, 1991
작품내용
[제1장] 노동자들은 김장보너스를 받아내고 들뜬 마음으로 술을 마시러 간다. 1 칠성 입사 : 회사 태양주물에 칠성이가 새로 들어온다. 상무는 머저리 같은 놈이 들어와서 월급 타령이나 할 것이라며 욕을 한다. 2 작업장의 탈의실 : 태양주물의 노동자들은 보너스 하나 없이 일만 시키는 회사에 대해 불평한다. 3 작업장 - 김장보너스를 기대하는 노동자들에게 상무는 불량품이나 내지 말라고 윽박지른다. [제2장] 천씨는 술에 취한 칠성을 집에 데리고 온다. 천씨 부인은 단칸방에 애까지 아픈데 사람을 데리고 왔다며 불평을 한다. 천씨는 가불이라도 해볼 테니 아이를 병원에 데려가라고 한다. [제3장] 1 운동장 - 칠성과 근욱은 태안정밀과의 축구시합을 위해 연습을 한다. 다같이 즐거운 마음으로 <사노라면>을 부른다. 2 상무의 사무실 – 상무가 노동자들이 보너스 얘기를 꺼낼까봐 걱정한다. 3 술집 – 노동자들이 김장보너스를 꼭 받아내기로 한다. [제4장] 1 작업장 - 천씨를 비롯한 조형반 노동자들은 일손을 놓고 김장보너스 지급을 요구한다. 불량률이 높다는 상무의 말에 노동자들은 안전장치 부재로 반발한다. 2 사장실 - 사장은 일단 김장보너스를 지급하라고 지시한다. [제5장] 1 술집 - 김장보너스를 받은 노동자들이 싸우던 이야기를 하며 즐겁게 술 한잔씩 마신다. 월급 인상이며 안전장치에 대한 요구도 하기로 한다. 2 마무리 - 천씨의 딸이 술집으로 아빠를 찾아온다. 천씨는 딸에게 햄버거를 사주겠다고 약속한다. 천씨 부녀가 걸어나갈 때 <사노라면>이 크게 울려 퍼진다.
출연/스태프
스태프 작/공동창작 연출/공동연출
예술단체
극단 천지연 1986년 대학의 연극반, 탈반 출신들이 모여 민족극연구회 산하 극단 천지연을 결성하여 활동을 시작하였다. 당시 연극운동을 주도해 온 마당극과 서구 무대극의 이상적인 결합을 시도하였고 진보적인 리얼리즘 정신을 연극이념으로 삼았다. 그 후 1988년 2월 극단 ‘한강’으로 재정비되어 직업적 연극단체로 출발하였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이들의 삶을 진실하게 다루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
예술가
정화진(1960~ ) 소설가. 본명 황의돈. 경기도 파주 출생. 1987년 서강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야학 활동을 통해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인천에서 노동자(선반공)으로 일하면서 단편 <쇳물처럼>을 <민족문학의 현단계>에 발표했다(1987). 이 작품은 1987년 노동자대투쟁의 과정에서 배출된 의미 있는 노동문학으로 평가된다. 이후 <규찰을 서며> 등의 단편을 발표했고 <철강지대>, <우리의 사랑은 들꽃처럼> 등의 소설을 출간했다. 1990년대 이후 정화진은 대기업으로 생활의 터전을 옮긴 뒤 이렇다 할 작품을 생산하지 못하면서 독자 대중들로부터 잊혀져 갔지만 그의 작품들은 1980년대 후반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평가된다.
비평
(……) 극이 관중들의 관심사와 어긋나 있으면 관중들은 그 극을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기 십상이며, 그나마 내용이 관중들의 관심사에 접근해 있는 경우라면 관중이 적극적 반응으로 드러내어 극 진행에 개입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분절과 틈을 억지로 만들어낸다. 예컨대 1987년 초 극단 ‘천지연’에서 만든 <쇳물처럼>이라는 작품은 장면의 짜임새나 연기 등이 준(準) 사실주의적인 작품이었고 마당극적인 분절성과 틈을 지니지 않았는데, 공단지역에서 집단성이 강한 노동자 관중들 대상의 공연을 하면서 이들의 적극적인 반응을 만나게 되었고, 4, 5회 공연을 거듭하면서 저절로 틈과 분절이 생겨 마당극적인 질감을 부분적으로 갖게 되었다. (……) - <마당극양식의 원리와 특성>, 이영미, 시공사, 2001 (……) 1985년 경 서울에서 서울대, 고려대, 이화여대, 숙명여대 등의 연극반 출신 3세대들이 주축이 되어 ‘민족연구회’가 창립되었다. 이들은 창립선언문을 통해 ‘기존 연행예술운동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올바른 예술활동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토대를 마련하여 연극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도모한다’고 자신들의 포부를 피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연극이념을 실천적인 것으로 검증하기 위해 극단 ‘천지연’을 등록하고 기존 연해예술운동 집단에 대해 작품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겠노라고 ‘선전포고’하였다. 그리하여 첫 작품으로 영등포 성문밖교회에서 <선봉에 서서>를 공연하였다. <선봉에 서서>는 그들 자신의 표현을 빌리자면 85년 구로지역 연대투쟁을 ‘노동자 주체선언’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여 사건 재현극의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는 두번째 작품으로 주물공장 노동자들의 임금협상 투쟁을 극화한 <쇳물처럼>을 공연하였다. 이들은 짧은 기간 동안 나름대로 일관된 이론과 실천을 병행하였으니 그 성격은 한마디로 ‘진보적 리얼리즘’ 혹은 ‘비판적 리얼리즘’이라 칭할 수 있는 이념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진보적 리얼리즘에 입각하여 주위에 대해 포문을 열기 시작했는데 제도권 연극을 향해서도 사격을 가했지만 정작 융단폭격을 한 것은 그들의 직계선배랄 수 있는 마당극패를 향해서였다. (……) - ‘80년대 연희예술운동의 전개 – 마당극·마당굿·민족극을 중심으로’, 임진택, <창작과 비평> 69호, 창작과비평사, 1990.가을
관련도서
<민족극 대본선 3 – 노동연극 편>, 민족극연구회 엮음, 풀빛, 1991 <마당극양식의 원리와 특성>, 이영미, 시공사, 2001 <창작과 비평> 69호, 창작과비평사, 1990.가을
연계정보
-노동자를 싣고 가는 아홉 대의 버스
관련멀티미디어(전체2건)
이미지 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