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소리굿 아구

작품명
소리굿 아구
구분
1970년대
출연/스태프
* 출연 이애주 채희완 임진택 김석만
내용
이 작품은 전통 연회 작품인 남사당 덧뵈기 중 먹중 마당 (봉산 탈춤의 노장 과장)의 극구조를 원용하여 이에 현실적인 내용을 담아 보고자 한 창작 탈춤 혹은 마당극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먹중(노장)을 쪽발이 사장으로, 피조리(소무)를 여공과 여대생으로, 취발이를 아구로 각각 대치하여 한국 청년 아구가 여공, 여대생 등 한국 여인을 가운데 두고 한국 여인을 데리고 희롱하는 쪽발이 사장을 물리친다는 것으로 당시의 사회 문제인 기생 관광을 풍자하는 내용이다. 먹중 마당에서 보듯이 먹중과 피조리가 붙어 지내면 취발이가 나와 먹중과 몇 차례 싸움 끝에 드디어 피조리를 빼앗아 산다는 줄거리를 그대로 따서 여공과 여대생이 수동적, 혹은 능동적으로 쪽발이 사장과 붙어 지내면 아구가 나와 쪽발이 사장과 맞붙는데 돈으로 싸워서는 당해내지 못하자 고사굿으로 싸워 드디어 한국여자를 되찾는다는 줄거리이다 참고: 문예진흥원 홈페이지
예술가
김지하 (1941~ ) 전남 목표 출생. 본명은 영일. 196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한 후 1969년 시 <서울길>로 등단하였다. 1970년 사상계 5월호에 권력 상층부의 부정과 부패상을 판소리 가락으로 담아낸 담시 <오적>이 발표된 후 반공법 위반으로 투옥되었다. 1971년 겨울 김지하를 중심으로 시인, 학자, 음악인, 영화인이 정기적으로 모여 한국문화의 방향에 대해 토론하는 모임 폰트라(PO-NTRA)을 만들어 활동하였다. 1970년 마당극과 마당굿 운동을 시작되면서 <나폴레옹 꼬냑> <구리 이순신>과 같은 작품이 공연되었다. 1975년 아시아 아프리카 작가회의 로터스(LOTUS)에서 특별상, 1981년 세계시인대회에서 위대한 시인상, 브루노 크라이스키상, 1993년 제5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1998년 율려학회를 발족하여 회장직을 맡고 있으며, 1999년부터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석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작품 <나폴레옹 꼬냑> <구리 이순신> <소리굿 아구> <진오귀> <밥> 놀이패 한두레 (1974~ ) 단체소개 한두레는 우리나라 전통연희를 밑바탕으로 한 우리의 연극 양식인 마당극 개념을 만들어내고 꾸준히 전개해온 단체이다. 1974년 창립된 이후 탈춤, 풍물, 민요, 놀이 등 전통 연희의 현대적 재창조 작업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하나되는 두레, 큰 두레, 두레 공동체’를 뜻하는 한두레는 ‘너와 나 하나되는 세상, 아름다운 세상, 살맛 나는 세상,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지향하며 작업하는 단체이다. 대표작품 <소리굿 아구> <공장의 불빛> <장산곶매> <예수굿> <소리없는 만가> <칼노래 칼춤-검결>
리뷰
<소리굿 아구>는 1974년 3월 ‘이종구 작곡 발표회’에서 음악 무용극의 형태로 공연되었다. ‘이종구 작곡 발표회’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진행되었는데 1부는 김지하의 시에 이종구가 작곡을 한 작품을 국악반주에 맞춰 김민기가 불렀으며, 2부는 한일관계의 문제를 특히 기생관광에 초점을 맞추어 풍자한 <소리굿 아구>가 공연되었다. 이 공연은 TV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녹화 도중에 공연윤리위원회의 검열을 통과할 수 없다는 이유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공연 자체는 대단한 성황을 이루었으며, 이 후 70년대 전반을 통해 크게 일어난 마당극운동의 결정적인 시발점이 되었다.
재공연
- 1974년 10월 <소리굿 아구> 단독 공연 - 1984년 5월 5일~5월 20일 애오개 소극장, 극단 10주년 기념 재공연
관련도서
<전통과 실험의 연극문화> 이상일, 눈빛, 2000. <마당극 리얼리즘 민족극> 이영미, 현대미학사, 1997. <서사극/마당극/민족극> 정지창, 창작과비평사, 1989.
관련사이트
한두레 홈페이지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