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대편성의 관현악을 위한 ‘달하’-강석희

작품/자료명
대편성의 관현악을 위한 ‘달하’-강석희
작곡가
강석희
장르구분
1980년 이후
내용
이 작품에서의 근본적인 의도는 작곡가의 현대음악적인 언어와 우리 음악인 수제천과의 결합을 시도하는 것이다. 전통과 현대의 갈등이 줄거리가 되며, 이 갈등은 결국 현대가 전통속에 순화되는 것으로 해결된다. 중요한 부분은 마지막 2분간의 장대한 헤테로포니의 어울림이다. 국립교향악단이 미국ㆍ일본 순회공연을 위해 위촉한 곡이다. 1979년 대한민국 작곡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예술가
강석희 (姜碩熙 1934~ ) 작곡가. 서울 출생. 1955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 입학, 김세형, 정회갑에게 작곡을 배웠고, 1960년에 졸업을 했다. 60년대 초반부터 당대의 현대적인 작곡기법을 실험적으로 쓰기 시작했으며, 1966년 12월 <원색의 향연>이라는 전자음악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1968년 병석에 있는 윤이상과 만나 작곡을 배우기 시작했으며 <응신>(1968), <예불>(1968), <생성 ’69>(1969), <원음>(1969) 등을 작곡했다. 1969년 현재의 범음악제(Pan Music Festival) 전신인 한국 최초의 현대음악제인 ‘현대음악 비엔날레’를 주도했다. 1970년 일본 ‘오사카 Expo 70’의 한국관 음악을 맡으며 왕성한 작품을 생산해냈다. 1970년 4월 독일로 건너가, 1971년 사이 독일 하노버음악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윤이상에게 작곡을 배웠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베를린공과대학(Technische Universitaet) 통신공학과 및 음악대학(Musik Hochschule, Berlin) 작곡과에 수학했다. 베를린에서는 보리스 블라허(Boris Blacher), 프리츠 빙켈(Fritz Winkel)과 공부했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반사>(1971), <반야>(1973), <변용>(1974), <사슬>(1975) 등이 있다. 1976년 그의 <메타모르포젠>이 파리 작곡가 제전에 입상했으며, 1978년 <용비>로 대하민국 작곡상을 수상했다. 1979년 <달하>로 대한민국 작곡상 대통령상을 수상했고, <화려한 외출>로 한국일보 주관 영화음악상, <망명의 늪>으로 대종상을 각각 수상했다. 1976년 작품 <부루>, <대화>가 주목받는 작품으로 남아있다. 1980년 쾰른 WDR 방송국 위촉으로 그 곳의 전자음악 스튜디오에서 3개월간 작업 끝에 <청동시대>(1980)를 썼다. 1980년대에는 그의 전자음악에 대한 관심이 작품으로 전개된다. 1980년에서 1981년 사이 그는 DAAD 예술가 프로그램 초청으로 독일에 건너가 체류함과 동시에 베를린공대 전자음악 스튜디오 예술위원(1980~82), 실험음악제 인벤치오넨(Inventionen)의 공동 주관자로 일하면서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였다. 1982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울대 작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1985년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부회장으로 선출되어 1990년까지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리고 1969년부터 1991년까지 범음악제 감독을 수행했고, 1972년에서 현재까지 ISCM 한국지부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1990년 취리히 ISCM 작곡콩쿠르 심사위원, 1992년 가우디아무스 국제작곡콩쿠르 심사위원을 지낸 바 있으며, 1992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베를린 페스티벌’의 감독직을 맡고 있다. 1990년대에도 활발한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며, 최근작으로는 토쿄 챔버 오케스트라(Tokyo Chamber Opera Theater) 위촉의 오페라 <초월>이 있다.
작품목록
관현악 1. 관현악을 위한 <생성 ’69> (오사카 EXPO 70 위촉, 1969년) 2. 대관현악을 위한 <반사> (1971년) 3. 대관현악을 위한 <사슬> (졸링겐 시립관현악단 위촉, 1975년) 4. 대관현악을 위한 <달하> (대한민국 작곡상, 대통령상 수상, 국립교향악단 미국 순회연주 위촉작품, 1978년) 5. 대관현악을 위한 <긴 노래> (1980년 베를린 음악제 위촉작품, 1980년) 6. <교향적 진혼곡> (KBS 교향악단 위촉, 1985년) 7. 관현악을 위한 <계기> (베를린 호리존테 음악제 위촉, 1985년) 8. 국악관현악을 위한 <취타향> (1987년) 9. 대관현악을 위한 서곡 <계기>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음악제 위촉, 1987년) 10. 관현악을 위한 <가을의 축제> (1991년) 협주곡 1. 피아노 협주곡 (1995년) 실내악곡 1. 첼로,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응신> (1968) 2. 7주자를 위한 <원음> (오사카 EXPO70 위촉. 1969년) 3. 남성 독창, 남성 합창, 30인의 타악기 주자를 위한 <예불> (오사카 EXPO70 위촉. 1969년) 4. 플룻과 피아노를 위한 <농> (1970년) 5. 플룻과 오르간을 위한 <패로디> (1972년) 6. <오보에, 첼로, 하프를 위한 소품> (1973년) 7. 4대의 첼로를 위한 <구조> (1973년) 8. 8인의 주자를 위한 <반야> (1973년) 9. 플루트와 현악4중주를 위한 <변용> (1974년) 10.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대화> (1976년) 11. 4개의 훈, 대금, 가야금, 탐탐을 위한 <명> (1976년) 12. 인성과 5인의 주자를 위한 <부루> (1976년) 13. 현악합주와 타악기를 위한 <변용> (1976년) 14. 클라리넷, 트럼본, 첼로, 피아노, 테잎을 위한 <달하> (1980년) 15. 인성, 기타, 전자음향을 위한 <비젼> (1981년) 16. 독주 플루트와 플루트 합주를 위한 <만파> (동경 플루트 아카데미 위촉. 1982년 포르노바 출반) 17. 24주자와 전자음향을 위한 <항변> (1982년 ISCM 위촉. 1982년) 18. 피아노와 전자음향을 위한 <인벤치오> (1984년, 1986년 베를린 RZE 출반) 19. 클라리넷과 현악앙상블을 위한 <만파식적> (1985년) 20. <현악4중주 제1번> (베를린 VDMK 위촉. 1986년) 21. 12첼리스트를 위한 <노리> (!990년) 22. 6첼리스트를 위한 <노리-a> (1990년) 23.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파싸칼리아> (1991년) 24. 6개의 플루트를 위한 <변신> (1993년) 25. 바이올린, 피아노, 전자악기를 위한 <파싸칼리아> (1993년) 26. 플루트와 베이스 코르넷을 위한 즉흥곡 (1995년) 27.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Moulin D'Ande> (1995년) 전자음악 1. <원색의 향연> (한국 최초 전자음악. 1966년) 2. 1인의 타악기 주자와 전자음향을 위한 <청동시대> (쾰른 WDR 위촉. 1980년) 3. <모자이크> (1981년) 4. <향혼> (1981년) 5. 필름과 전자음향을 위한 <용> (1986년) 6. 필름과 전자음향을 위한 <봉황(불사조)> (1988년) 7. <프로메테우스 오다> (88 서울올림픽 성화음악. 1988년) 1) 불의 전설, 2) 조화 8. <석사자> (1990년) 독주곡 1. 피아노를 위한 <정점> (1972년) 2. 기타 독주를 위한 <아니리 I -a> (1981년) 3. 기타 독주를 위한 <아니리 I -b> (1981년) 4. 콘트라베이스 플루트를 위한 <탈> (1982년) 5. 인성과 테잎을 위한 <아니리> 6. 인성을 위한 <아니리> 7. 피아노를 위한 <인벤치오> (1985년) 8. 피아노를 위한 <소나테 바흐> (1986년) 9. 하프를 위한 <아니리> 10. 피아노를 위한 <겟 백> (1989년) 11. 1 또는 2의 소주자를 위한 <묘비명> (1994년) 교성곡 1. 칸타타 <용비> (세종문화회관 개관기념 음악회 위촉작품. 1978년) 2. 칸타타 <태양의 제전> (1985년) 3. 칸타타 <햇빛 쏟아지는 푸른 지구의 평화> (광복절 경축 위촉. 1992년) 영화음악 1. <화려한 외출> (1979년) 2. <망명의 늪> (1979년) 3. <오딧세이> (1984년) 음악극 1. <펜테질리아> 2. 실내오페라 (1995년) 음반목록 1. 인성과 다섯 주자를 위한 <부루> (미래악회, 창립 10주년 기념음반. 1987년) 2.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디알로그> (제17회 범음악제. 1989년)
연계정보
음반정보 <강석희 Prometheus Kommt> CD 2매, 회갑기념음반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