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심청전-김동진

작품/자료명
심청전-김동진
작곡가
김동진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배경 우리 것을 찾자는 운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작곡자는 한국의 전통음악에 깊은 관심을 갖고 착상한지 40년 만에 <심청전>을 가극화하여 선보이게 되었다. 한국의 고전인 심청전은 주로 판소리로 불리워지던 것인데 이것을 발전, 조화시켜 현대화하는데 초점을 둔 작품이다. 내용 한국 사람이라면 대부분 고전 소설 심청전과 판소리 심청가를 훤히 알고 있다. 그 심청전의 내용을 기본 줄거리로 하고 있다. 전 4막으로 구성되었다. 제1막 몽은사 절 몽은사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복을 기원하고 있다. 심청은 눈먼 아버지를 모시고 함께 절을 찾아왔다. 심봉사는 공양미 300석을 시주하면 눈을 뜨게 된다고 하자 권선책에 시주하기로 약속을 해버렸다. 제2막 심청은 공양미 삼백석 때문에 애태우는 아버지를 재운 뒤 유명한 아리아 '비나이다‘를 부른다. 선인들이 15-6세의 처녀를 구한다는 말을 듣고 뺑덕어멈과 함께 계약해버린다. 선인들에게 끌려가기 전날밤 ‘닭아 닭아 울지마라’라는 비장한 노래를 하며 조반을 짓는다. 선인들이 나타나 심청을 데려가고 늦게야 모든 사실을 안 심봉사는 발버둥치지만 결국 헤어지게 된다. 제3막 심청이 인당수에 뛰어들자 파도는 잠잠해진다. 거북을 타고 깊은 바다 속으로 내려온 심청을 보고 용왕은 옥황상제에게 효성을 귀히 여겨 다시 세상으로 내보내달라 한다. 선인들이 장사를 마치고 돌아오다 인당수에서 옥정연화를 발견하고 이것을 귀히 여겨 왕에게 바친다. 제4막 왕이 연꽃을 보고 있는데 연꽃이 벌어지며 심청이 나오자 모두 놀라며 심청의 사연을 듣고 왕후로 삼으며 심봉사를 찾도록 8도에 수배를 한다. 맹인잔치는 시작되었으나 심봉사가 나타나지 않아 애를 태우다가 결국 마지막 날에 심봉사가 나타나 부녀상봉을 하며 부녀상봉 2중창이 불리워진다. 드디어 심봉사가 눈을 뜨게 되고 맹인잔치에 모인 모든 맹인들도 눈을 떠 환희의 합창이 울리는 가운데 막이 내린다.
예술가
김동진 (金東振 1913~ ) 작곡가. 평남 안주(安州) 출생. 평양숭실전문학교 문과를 1936년에 졸업하고 1929년부터 1936년까지 숭실전문학교 음악선생이었던 미국인 말스베리(Malsbary)에게 바이올린, 피아노, 화성학, 작곡법을 배웠다. 그 사이 1933년 가곡 <가고파>를 지었다. 그 뒤 일본으로 건너가서 일본고등음악학교 기악과(바이올린 전공)를 1938년에 졸업했다. 만주 신경교향악단에서 바이올린 연주와 작곡을 담당하면서 서곡 <양산가> 및 교향시곡 <제례악>을 작곡ㆍ지휘했다. 1953년 서라벌예대 교수를 거쳐 1963년부터 경희대학교 음대 교수, 1974년에는 경희대학교 음대 학장을 지냈다. 1969년에 경희대학교 창립 20주년 기념 교향곡 <대학찬가>를 작곡ㆍ발표하였다. 1978년에는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가극 <심청전>을 상연했다. 작곡집으로는 <내 마음>(세광음악출판사, 1973), <목련화>(세광음악출판사, 1978), <한국정신음악, 신창악(新唱樂)곡집>(주류출판사, 1986)이 있고 자전 에세이 <가고파>(1986)를 출간했다. 1986년 한국정신음악 <신창악집>이 음반으로 나왔다. 현재 경희대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신창악회 회장과 예술원 정회원으로 활동중이다. 부산영화음악상, 서울시문화상, 국민훈장 목단장, 3ㆍ1문화상, 대한민국 예술원상을 수상했다.
작품목록
관현악곡 1. 양산가 (1943년) 2. 제례악 (1943년) 3. 만가 (1942년) 4. 동양적 조곡 (東洋的 祖曲) (1957년) 5. 방아타령 6. 신아리랑 7. 밀양아리랑 8. 조국찬가 (1943년) 교향곡/칸타타 1.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모윤숙 시, 1943년) 2. 조국 (유근주 시, 1958년) 3. 대학찬가 (조병화 시, 1969년) 4. 대학송가 (조영식 시, 1974년) 5. 평화 (조영식 시, 1974년) 6. 민족의 축원 (박목월 시, 1967년) 7. 민족의 행진 (모윤숙 시, 1971년) 8. 조국이여 겨레여 인류여 (조영식 시, 1994년) 협주곡 1. 가야금 협주곡(가야금 산조에 의한) (1958년) 2. 가야금 협주곡 (1959년) 가곡 1. 봄이 오면 (김동환 시, 1931년) 2. 뱃노래 (김형승, 양병문 시, 1933년) 3. 발자욱 (양주동 시, 1932년) 4. 당달구 (조인택 시, 1942년) 5. 가고파 (이은상 시, 1933년) 6. 파초 (김동명 시, 1934년) 7. 내 마음 (김동명 시, 1934년) 8. 수선화 (김동명 시, 1941년) 9. 신아리랑 (양병문 시, 1942년) 10. 신밀양아리랑 (1946년) 11. 부끄러움 (주요한 시, 1946년) 12. 섬색시 (김영삼 시, 1947년) 13. 오월의 순풍 (김영삼 시, 1947년) 14. 내 조국 (모기윤 시, 1951년) 15. 샘가에서 (양명문 시, 1951년) 16. 칠월의 노래 (양명문 시, 1952년) 17. 낙동강 (양명문 시, 1951년) 18. 조국찬가 (양명문 시, 1954년) 19. 명태 (양명문 시, 1954년) 20. 농부가 (양명문 시, 1954년) 21. 솔메골 (양명문 시, 1954년) 22. 나들이 (양명문 시, 1954년) 23. 낯선 마을에서 (양명문 시, 1954년) 24. 풍년가 (양명문 시, 1955년) 25. 추석 (양명문 시, 1954년) 26. 바다로 가자 (박두진 시, 1955년) 27. 풍년가 (김용호 시, 1955년) 28. 농민의 노래 (이병기 시, 1955년) 29. 닐닐리아 (유달영 시, 1956년) 30. 길 (김소월 시, 1957년) 31. 님의 노래 (김소월 시, 1957년) 32. 진달래꽃 (김소월 시, 1957년) 33. 자나깨나 앉으나 서나 (김소월 시, 1957년) 34. 못잊어 (김소월 시, 1957년) 35. 초혼 (김소월 시, 1957년) 36. 창문을 열면 (박두진 시, 1958년) 37. 떡타령 (박우보 시, 1958년) 38. 돌아가지 내 고향으로 (박두진 시, 1958년) 39. 그리움 (양명문 시, 1959년) 40. 저 구름 흘러가는 곳 (김용호 시, 1960년) 41. 너는 (박두진 시, 1961년) 42. 동해바다 (박두진 시, 1962년) 43. 밤이 내리면 눈이 내리면 (이진섭 시, 1963년) 44. 그 강물 다시 흐르리 (박두진 시, 1964년) 45. 충무공의 노래 (이은상 시, 1966년) 46. 충무공 (이은상 시, 1966년) 47. 앞을 보고 살아가자 (조영식 시, 1967년) 48. 잘살기 노래 (조영식 시, 1967년) 49. 탄금대 (이은상 시, 1968년) 50. 한산섬 (이은상 시, 1968년) 51. 사월의 왈쯔 (이효선 시, 1970년) 52. 망향가 (조영식 시, 1971년) 53. 자장가 (이원수 시, 1970년) 54. 목련화 (조영식 시, 1974년) 55. 봄의 왈쯔 (조영식 시, 1974년) 56. 우리강산 (이은상 시, 1974년) 57. 베들레헴의 종 (조영식 시, 1977년) 58. 청춘의 기를 세워라 (조병화 시, 1968년) 59. 봄은 개나리 (조병화 시, 1968년) 60. 평화의 기도 (조영식 시, 1968년) 61. 평화의 노래 (조영식 시, 1982년) 62. 근로의 노래 (이인석 시) 63. 별은 창 너머로 (양명문 시) 64. 백치 아다다 65. 축배의 노래 66. 첫사랑 67. 가고파 (후편) (이은상 시, 1973년) 68. 민들레꽃 (유경환 시, 1984년) 69. 도봉(道峯) (박두진 시, 1985년) 70. 새로운 계절 (김경옥 시, 1985년) 71. 소리 (박화목 시, 1987년) 72. 백두산 (김원희 시, 1990년) 73. 하나가 되라 (조영식 시, 1991년) 74.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시편, 1993년) 75. 남산이여 영원하라 (이광녕 시, 1994년) 76. 겨울의 아침 (원택히 시, 1994년) 77. 서소문 길섭 눈물다리 (이극녀 시, 1994년) 78. 달아달아 밝은 달아 (전래동요가사, 1994년) 79. 통일이여 어서오라 (김기호 시, 1994년) 80. 망향가 (홍송식 시, 1985년) 81. 평양경개가 (홍송식 시, 1985년) 그 외 교가, 사가(社歌), 국민가요, 500여 편의 동요, 군가 200여 편, 극영화 음악 50여 편 신창악 1. 사철가 (딴가, 1988년) 2. 천하태평 (단가) 3. 진국명산 (단가) 4. 긴농부가, 자진농부가 (민요, 1988년) 5. 새타령 (민요) 가극 1. 심청전 (1978년) 2. 춘향전 (1993년) 작곡집/저서 1. 가곡집 <내마음> (세광출판사, 1973년) 2. 가곡집 <목련화> (세광출판사, 1978년) 3. <한국정신음악 신창악곡집> (주류출판사, 1986년) 4. 자전 에세이 <가고파> (1986년) 음반목록 1. 한국정신음악 신창악집 (1986년) 2. 신창악집회 정기연주회 (1994년까지 27회 계속)
관련멀티미디어(전체12건)
이미지 12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