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5중주곡-김달성

작품/자료명
5중주곡-김달성
작곡가
김달성
장르구분
1954년~1979년
내용
두 개의 악장으로 된 이 작품은 작곡가가 1960년 빈 국립음악원 유학 당시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음악으로 표현해보고자 작곡했다. 한국적 정서를 느끼게 하는 오보에의 밝은 음색과 투명한 플루트가 전체 선율을 이끌어 가고 있으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의 현악기들이 전체 텍스처를 받쳐주어 유려하면서도 따뜻한 음감을 느끼게 한다. 작품의 기법면에서는 그 당시 유럽 음악계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아우어의 12음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있으며 선율과 리듬에서 한국 전통음악의 단편들을 들을 수 있다.
예술가
김달성 (金達聲 1921~ ) 작곡가. 함경남도 함흥 출생. 1951년 서울대 음대 작곡과를 졸업하고, 1961년에 오스트리아 비인 국립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했다. 1958년에 첫번째 개인발표회를 가졌다. 역서와 저서로 <화성법>, <12음기법 연구>, <작곡기법>, <20세기 음악의 이해>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와 한양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단국대학교 교수와 한국음악협회 이사, 한국음악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1986년에 정년퇴임 기념 교수음악회를 가졌다.
작품목록
실내악 1. 피아노3중주곡 (1958년) 2. 관과 현을 위한 5중주곡 (1961년) 3. 관ㆍ현ㆍ타악기를 위한 9중주곡 (1962년) 가곡 1. 연가곡 <먼 후일> 전 24곡 작곡 (김소월 시, 1962년) 2. 연가곡 <사랑이 가기 전에> 전 12곡 작곡 (1958년) 3. 2개의 플룻과 2인의 소프라노를 위한 <2가곡> (1966년) 오페라 1. 오페라 <자명고(自鳴鼓)> (유치진 원작, 1961년) 2. 오페라 <자명고> (박만규 극본, 1985년) 피아노 1. 피아노를 위한 4개의 환상곡 (1961년) 2. 피아노 소나타 (1961년) 3.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음희곡(音戲曲)> (1968년) 현악곡 1. 현악 4중주곡 (1961년) 무용곡 1. 민속무용을 위한 관현악곡 <초라니> (이두현 원작, 1965년) 전통악기를 위한 곡 1. 국악기를 위한 <동(童)> (1972년) 2. 국악기를 위한 <만보산견(漫步散見)> (1979년) 3. 국악합주곡 <추야상(秋野想)> (1986년) 4. 오케스트라를 위한 한국민요연곡 (1) (1993년) 교성곡 1. 남해찬가(南海讚歌) (1981년) 관악곡 1. 관악기를 위한 <태비(態飛)> (1984년) 음악극 1. 옥포찬가(玉浦讚歌) (1994년) 작곡집 1. <김달성 가곡집> (예술교육출판사, 1958년) 2. 가곡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69년) 3. 가곡집 <사랑이 가기 전에> (1975년) 4. 가곡집 <국화 옆에서> (1975년) 5. 가곡집 <모란이 피기까지는> (1977년) 6. 가곡집 <방황하는 이의 노래> (1981년
연계정보
음반정보 <한국의 작곡가> (21세기를 위한 KBS-FM 한국의 작곡가 시리즈 2) 수록곡 (오보에 : 임은희, 플루트 : 김대원, 바이올린 : 김현미, 비올라 : 조명희, 첼로 : 박경옥)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