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 전통문양 용도별문양

용도별문양

백자청화산수운학문호(813) 크게보기 백자청화산수운학문호(813) 크게보기
백자청화산수운학문호(813)
문양설명
구부(口部)에는 간략한 당초문(唐草文), 구부(口部)와 견부(肩部)의 경계에는 여의두문(如意頭文)을 시문(施文)하였으며, 동부(胴部)에는 산수(山水)와 운학문(雲鶴文)을 청화(靑畵)로 그렸다. 당초는 연면을, 운학은 장수를, 여의두문은 만사가 마음먹은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는 뜻을 담고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